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반접근 지역거부(A2/AD) 전략에 대한 분석: 정보작전 수행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최근대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2

        Since 2010, China's economic rise, increased influence on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goal of countering U.S. military intervention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its Anti-Access Area Denial (A2/AD) capabilities have intensified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is has further heightened the instability of the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increasing the potential for military conflic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U.S. assessment of China's A2/AD strategy in terms of China's threat perception and its efforts to enhance military capabilities for future warfare. Additionally, this article aims to derive alternative im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Since 2004, China has pursued military modernization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zation, changing its military strategy guidelines to focus on victory in regional warfare through informatization. Since 2015, China has further enhanced its A2/AD capabilities by emphasizing information operations and establishing the Strategic Support Force to develop information-led operations and consolidate its capabilities in the space, cyber, and electromagnetic domains. U.S. experts and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estimate that over 40% of China's A2/AD capabilities may be employed through non-physical information operations. However, domestic studies tend to assert that over 80% of China's A2/AD capabilities will be used to deter U.S. access to the region through physical means such as missile systems and strengthened maritime and air forces.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information operations in modern warfare and enhance the South Korean military's information operation capabilities while developing a realistic assessment of China's A2/AD strategy. 2010년도 이후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 그리고 미국의 군사적 개입을 차단하기 위한 반접근 지역거부(A2/AD: Anti-Access Area Denial) 역량 강화는 미·중 간의 전략경쟁을 심화시켜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증대되는 등 지역 내 안보 환경의 불안정성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중국이 미래 전쟁에 대비하여 군사력을 전진시키는 방법 측면에서 중국의 A2/AD 전략에 대한 미국의 평가를 검토하고, 한국군에 주는 대안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중국은 2004년부터 군사전략지침을 ‘정보화(信息化) 조건 하 국부전쟁(局部战争)’에서의 승리로 변경하여 군 현대화를 추진해 왔으며, 2015년 이후 정보우위를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체계작전 수행개념 발전과 우주·사이버·전자기 공간에서의 작전수행 역량 결집을 위해 전략지원부대를 창설하는 등 정보작전에 주안을 두고 A2/AD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 미 국방부와 연구기관에서도 중국의 A2/AD 역량 중 40% 이상이 비물리적 정보작전 수단에 의해 수행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는 미군의 접근을 저지하는 데 사용되는 중국의 A2/AD 역량의 80% 이상이 미사일 시스템과 강화된 해·공군력 등 물리적 군사력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전에서 정보작전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적 이해와 이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역량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Simon의 합리적 선택 행위모형으로 본 6.25전쟁에 관한 미국의 군사전략 연구

        배상희 미래군사학회 2022 한국군사학논총 Vol.11 No.2

        US military strategy decisions also have an huge impact on South Korea, which faces North Korea as much as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There are also views that attribute the causes of the Korean War in the past to the U.S. decision to withdraw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cheson Line Declaration. The US military strategy, which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world still now, must have been decided through many analyses, and studied many alternatives to achieve the goal of protecting its territory, people, and interests. However, if we listen only to criticisms of the current military strategy as well as the US military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easy to dismiss the whole strategic planning process as if the wrong strategy was established, causing chaos and wa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military strategy,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trategy based on the result. But how can we establish a good strategy to achieve the strategic goal in the process of not knowing the future result? Existing studies on US military strategy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War, are mostly diplomatic and political studies. There are few studies through model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US military strategy establishmen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by Simon's rational choice behavior model.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uch as non-disclosure of data and relatively small research achievement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research in the military field, the Korean War was selected as a target study which has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search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explains why the United States withdrew US troops from Korea and why US chose the opposite action to deploying ground troops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what it had prepared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by Simon's rational choice behavior model. 미국의 군사전략 결정은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 곳곳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또한 예외가 아니다. 과거 그리고 현재에도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군사전략은 많은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을 것이며 그 군사전략은 자국의 영토, 국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대안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결정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의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군사전략은 물론 현재의 군사전략에 대한 비판의 견해만 듣다보면 모든 전략 구상과정은 무시되고 마치 잘못된 전략이 수립되어 혼란 또는 전쟁이 야기된 것으로 치부되기 쉽다. 예를 들면 6.25전쟁의 원인에 대하여 애치슨 선언 또는 미군의 한반도 철수 결정 때문이라는 견해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군사전략 수립과정은 결과의 내용으로 전략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결과를 알 수 없는 과정에서 어떻게 전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가가 연구되어야 한다. 기존의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군사전략 특히 6.25전쟁에 관련된 연구는 외교적, 정치적 연구로 이루어져 있어 정책 결정과정 모델을 적용한 군사전략 수립을 분석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imon의 합리적 선택 행위 모형을 통하여 미국의 한반도 군사전략 수립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25전쟁을 대상연구로 선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의 연구자료를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기존의 역사적인 외교적인 접근방법과 달리 합리적 선택 행위 모형으로 살펴봄으로서 전쟁 참전에 대한 정책 결정 연구에 또다른 틀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은 합리적인 선택의 대안으로 주한미군 철수를 하였으나 이후 막상 한국전이라는 전쟁이 발생되고 나서 준비했던 것과는 달리 지상군 투입이라는 행동대안을 왜 선택하게 되는지 Simon의 합리적 선택 행위모형을 통해 설명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개념에 기초한 한국군 군사교리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전정배 ( Jeon Jeong-bae ),박효선 ( Park Hyo-su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군사혁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군사교리를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군사교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와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투발전체계의 기준이 되는 개념발전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개념서를 기본개념서 외에 분야별, 기능별 또는 제대별로 구분해서 작성하고, 아울러 미래에 대한 효과적인 준비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에서 개략적으로나마 ‘중기개념서’를 추가로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개념과 연계된 군사교리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개념서를 평문과 비문으로 구분해서 작성하여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의 개념서를 어떻게 세분화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는 개념서의 작성 종류 및 확대 수준, 포함내용, 접근성 향상 방안 등을 연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litary doctrin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art of the military innovation of the Korean military, with a focus on ‘concept’ and to suggest effective military doctrine development plans. The research results and develop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concept development, which is the standard of the combat development system, in a concrete and systematic way, the concept book should be written separately by field, function, or army in addition to the basic concept book, and in the sense of suggesting effective preparation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medium term concept should be further developed. Second, the military doctrine related to the concept must be developed. Third, the accessibility should be improved by dividing the concept book into plain text and inscription. However, this study did not suggest how to subdivide the concept book of ROK military properly. Therefore, the author hopes follow-up studies will examine the kinds of concept paper worked out, the scope of its expansion, included contents, an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it.

      • KCI등재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국방혁신 4.0’에 주는 함의

        신치범,강현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2

        This paper analyzes how China, as a relative underdog in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nstructs and operates its military power to counter the military capabilities of the superpower United States. It focuses on four key factors that create asymmetry to analyze the reality of China's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asymmetry, which targets the vulnerabilities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asymmetry of means and subjects, China focuses on developing means and capabilities that exploit the relative weaknesses of the United States, such as satellite interception systems and deep-sea operational capabilities, and actively utilizes paramilitary organizations. In terms of cognitive asymmetry, China conducts cognitive warfare systematically by utilizing the Department of Cyber Systems at the national and Communist Party levels. In terms of strategic and tactical asymmetry, China employs an asymmetric strategy that maximizes the advantages of being a latecomer while utilizing all military and non-military means to target the weak points of the United States. Additionally, in terms of asymmetry of time and space, China concentrates on shortening the OODA (observe, orient, decide, act) cycle through military intelligence and seeks to maximize combat efficiency by actively utilizing all domains, including space, cyber warfare, electromagnetic spectrum, and cognitive domai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war games, China's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this asymmetry has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military pursue Revolution in Defense Affairs 4.0 in the form of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asymmetry. 본 논문에서는 미・중의 전략적 경쟁 속에서 초강대국 미국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 상대적 약자인 G2 중국이 어떻게 군사력을 건설・운용하고 있는지를 비대칭성 창출의 4대 핵심 요인으로 분석하여 미국의 급소(急所)를 찌르는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실체를 분석한다. 중국은 수단・주체의 비대칭성 측면에서 위성요격체계, 심해작전능력 등 미국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수단 개발 및 능력 확보에 집중하고, 준군사 조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지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국가 및 중국 공산당 차원에서 사이버시스템부를 활용하여 조직적으로 인지전을 수행 중이다. 전략·전술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큰 틀에서 후발주자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하면서, 점혈전 전략으로 군사적 또는 비군사적 모든 수단을 활용하여 미국의 핵심 취약점인 급소를 찌르는 비대칭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시·공간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군사 지능화를 통한 OODA 주기 단축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우주·사이버전자기스펙트럼·인지 영역 등 전 영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투 효율성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성과는 다양한 워게임 결과에 따르면 상당히 큰 성과가 있는 바, 한국군이 ‘국방혁신 4.0’을 비대칭성 기반의 군사혁신 형태로 추진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民族軍史)적 의의

        조필군 ( Cho Pilgun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대한제국은 당시 해양세력인 일본의 침략을 거부하고 동시에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종주국으로 여겨왔던 중국으로부터의 자주독립을 병행하면서 대륙세력인 러시아를 선택했던 것이 결국 국권의 상실로 이어졌다. 하지만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황제가 ‘러시아를 선택하여 대한제국이 실패했다’는 역사적 평가는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대한제국의 성격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군사력 증강을 위한 대한제국의 군사예산의 규모, 군사기구의 개편과 군사력 강화는 부국강병을 위한 핵심정책 사안이었다는 점에서 광무개혁의 산물이었다. 둘째, 항일독립운동사와 민족군사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국군은 대한제국군에서 의병으로, 의병에서 독립군 및 광복군으로 계승되어 오늘의 국군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국군의 뿌리는 대한제국군까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대한제국군의 군제개혁은 근대적 군사체제를 확립하고자 자주적 입장에서 실행하였다는 점이다. 고종 시대의 재조명과 대한제국의 평가는 현재까지도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으로 양립한 상태에서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라는 점에서 고종시대와 대한제국의 평가는 이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민족군사적 관점에서의 재조명이 필요하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도 한민족의 역사는 끊이지 않았으므로 민족군사적 관점에서 대한민국국군의 뿌리를 대한제국군까지로 확장함으로써 민족군의 정통성을 계승한 군대임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Korean Empire refused the invasion of Japan, the maritime power of that time, and attempted its independence from China that had been regarded as the suzerain state for long historically at the same time to go for Russia, the continental power, which led to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after all. However, the historical evaluation that emperor Gojong caused ‘the failure of Korean Empire by going for Russia’ in the era of Korean Empire needs to be reexamined. Paying attention to it, this author has drawn the ethnic arm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rmy of Korean Empire and the Korean Empire military academy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mpire. It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cale of military budget in Korean Empire to strengthen its military power, rearrangement of military organizations, and the enhancement of military power were the products of Gwangmu Reform as those were the issues of core policies for the sake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econ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and military history of ethnic army, today’s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has originated from the army of Korean Empire, loyal army,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Korean liberation army ; therefore, to discuss the root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we have to go down to the army of Korean Empire. Third, the reformation of the military system in the army of Korean Empire was done in the autonomous standpoint in order to establish a modern military system. Regarding the reexamination of emperor Gojong’s reign and evaluation of Korean Empi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have kept arising up until now while the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and that of colonial modernization coexisted. In the viewpoint of ‘ All history is the present history’, evaluation on the era of emperor Gojong’s reign and Korean Empire should be re-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 army history, not remaining in that dichotomous thinking. Also, because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did last ev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needs to be reestablished that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is the army transmitting the legitimacy of ethnic armed forces by extending it up to the army of Korean Empire.

      • KCI등재

        19세기 말 청일전쟁 시 양국의 군사전략 비교연구

        황의룡 미래군사학회 2022 한국군사학논총 Vol.11 No.3

        The First Sino-Japanese War was a of aggression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Japan on the Korean Peninsula to dominate Joseon politically and military in east Asia. A Tendencies of research on this war are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In China, as a party to this war, emphasizes Japanese aggressive, on the other hand, Japanese researchers highlights to a legitimacy of this war. And in Korea, there are more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an the First Sino-Japanese war itself. Therefore, in this paper focused on the First Sino-Japanese War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strategy,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as the main research topic. In addition, this study analized and reviewed the adaptability, feasibility and accaptability as requirements for military strategy. Japan prepared for war meticulously and established obvious national defesne objectives and military strategic objectives. In addition, war support was obtained by the Japanese people based on the concept of all-out war, politics and military were integrated, and combat power as an available means was offensively operated. As a result, Japan was able to achieve political and military purposes by securing and winning the war early. The Qing Dynasty did not have a clear military strategic objectives. In addition, the Qing army, without gaining public support, went to war as a defensive strategy only with the troops of the Viceroy of Zhili Li Hongzhang, who was delegated full power, lost their initiative of war early and was defeated without ever fighting properly. 청일전쟁은 조선을 정치·군사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청(淸)과 일본이 조선에서 벌인 침략전쟁이다. 청일전쟁 연구자료는 나라별로 상이하다. 전쟁 당사국인 중국은 일본의 침략성을, 일본은 정당성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한국은 동학 농민 운동의 발발과 조선과 일본이 연합하여 동학 농민군 강제진압에 중점을 둔 자료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군사사적 측면보다는 정치, 외교, 경제에 관한 연구에 치중된 한계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에서 등한시되었던 군사사적 관점을 기준으로 청일 양국의 군사전략을 군사전략의 구비요건인 적합성, 달성 가능성, 용납성 등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1894년 7월 23일 일본군은 조선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 왕을 포로로 잡고 조선군 무장 해제를 하였다. 8월 1일 청·일 양국은 선전포고하였으며 일본군은 단 한 번의 패배도 없이 완전하게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일본은 주도면밀한 전쟁 준비와 명확한 군사전략목표를 수립하고 총력전 개념으로 국민의 전쟁지지 기반을 획득하고 정치와 군사가 일체화되어 가용수단인 전투력을 공세적으로 운용하여 조기에 전쟁의 주도권을 잡고 승리함으로써 정치적·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고 동아시아 지역 패권국가로 등장하였다. 청은 명확한 군사전략목표가 부재하였다. 또한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직예총독인 이홍장에게 전권을 위임하여 이홍장의 군대만으로 수세 전략으로 전쟁에 임하여, 조기에 전쟁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한번도 제대로 싸워보지 못한 채 전쟁에서 패하고 말았다.

      • KCI등재

        경항공모함의 국가안보전략 및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길병옥 ( Kil Byung-ok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경항공모함 건설은 현존하는 위협과 미래 불특정 위협에 대비하고 해양주권과 제해권을 확보하며 해양생존권 사수, 해양분쟁 억제, 해양에서의 재난재해에 대처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안보전략적 관점에서 필수적인 사안이다. 따라서 군사 대전략 차원, 한·미연합전력의 극대화,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등에 있어서 경항공모함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전략적 대안을 구체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동북아 지역에서의 해양 전력 및 항모건조의 당위성을 분석하고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논리적 객관성과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항모건조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비용 대 효과 면을 고려하여 국가전략자산으로서 경항모 건조사업을 논의한다. 경항모 확보의 의미는 첫째, 항모전단은 호위 전투함, 수직이·착륙 전투기, 상륙헬기, 잠수함 등 합동전력으로 국익을 수호하는데 기여한다. 둘째,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지대하고 방산생태환경의 선순환적 조성에 이바지하는 바가 크다. 셋째, 비용 대 효과 면에서 경항모와 호위 전력의 확보와 운용에 드는 비용 충당이 장기적으로 확정된 국방재원 내에서 가능하다. 넷째, 경항모는 대한민국의 국력 및 군사력의 상징이고 비군사적 차원의 국제협력은 물론 세계 어디에서든 국익 수호와 국민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국가경제 파급효과를 보면 산학연 기술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함정성능 관련 국방과학기술력 증진, 산업 제 분야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 일자리 창출 등 그 효과가 지대하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경항모 확보의 의미를 제시하고 해상에서의 항공작전 수행을 위한 다차원적인 고려 요소들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는 점을 피력한다. 향후 과제는 국가안보 확립의 중차대한 미래 청사진과 비전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은 필수적이고 국내외적인 협력을 통해 경항모 건설사업을 슬기롭고 지혜롭게 추진해나가는 것이다 The construction of light aircraft carriers is essential from a security strategic point of view, considering that it prepares for existing and future unspecified threats, secures maritime sovereignty and maritime sovereignty, curbs marine disputes, and deals with disasters at sea. Therefore, strategic alternatives to the role and function of light aircraft carriers should be specified in terms of military strategy, maximization of South Korea-U.S. combined forces, and convers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is inquiry analyzes the justification of maritime power and aircraft construction in Northeast Asia from this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ripple effects on the national economy. In particular, based on the logical objectivity and evidence, the justification of aircraft carrier construction is presented and the project to build a light aircraft carrier as a national strategic asset is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cost-effectiveness. First of all, the aircraft carrier fleet contributes to protecting the national interest with joint forces such as escort warships, vertical and landing fighter jets, landing helicopters and submarines. Second, it contributes in a great deal to the national economy and virtuous cycle of the defense environment. Third, in terms of cost-to-effectiveness, it is possible within the long-term fixed defense resources to secure and operate light aircraft carriers and escort forces. Fourth, the light aircraft carrier is a symbol of South Korea's national and military power, and it can protect national interests and protect the people anywhere in the world as well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a non-military level. In addition, the ripple effect of the national economy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industrial-academic research, enhancing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capabilities related to trap performance, inducing production and added value in industrial sectors, and creating jobs. This study presents the meaning of acquiring the light aircraft carrier in its conclusions and states that multi-dimensional considerations for the performance of aviation operations at sea remain a challenge in the future. The future task is to develop a national consensus in implementing the crucial future blueprint and vision of establishing national security, and to carry out the construction project wisely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예비군 자원감소에 대비한 한국 예비전력정책에 대한 연구

        강용구 ( Kang Yong Gu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본 연구는 미래 급격한 예비군 자원감소에 대비한 한국의 예비전력정책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STEPPER 변수를 적용하여 미래 안보환경의 변화가 예비전력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P(인구 분야) 변수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하였다. 병력동원 소요판단 접근방법으로 2040년 적정예비군 규모를 판단한 결과(105.3만 명) 해당 연도 예비군 가용자원(94.4만 명)으로는 충족이 제한됨을 확인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시 손실률과 전쟁 기간, 동원단계와 같은 예비군 규모판단에 적용되는 각종 기준을 재설정하였다. 둘째, 적정예비군 규모와 연도별 예비군 가용자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비군 편성 및 복무연차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모병 성격의 예비군제도 발전을 위해 비상근예비군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격상 구체적인 수치나 산출과정을 명확히 밝히는데 제한은 있으나, 제시한 발전 방향을 검토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미래 예비군 자원감소 등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예비군의 임무와 역할, 훈련, 무기와 장비, 보상과 복지 분야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예비전력정책 수립과 시행에 완전성을 높이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eserve Forces Policy of the Korea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apid decline of reserve forces resources in the future. Changes in the future security environment affecting the Reserve Forces field were analyzed by applying STEPPER variables, and the P(population field) variables were judg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ize of an adequate reserve forces(105.3 million people) using the approach to mobilizing troop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ailable resources of the reserve forces(94.4 million people) in 2040 will be limited, and plans were proposed to overcome this. First, the standard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ize of the reserve forces, such as the loss rate and the duration of the war, and the mobilization stage, were reset. Second, the organization of the reserve forces and the adjustment of the annual service period were proposed in conjunction with the size of an adequate reserve forces. Third, the issue of population decline in addition to the develop reserve forces system of recruiting character that is actively discussed to propose the need and plan to expand for a peacetime service program for reserve forces. Due to the nature of the study, there is a limit to clearly presenting specific figures or calculation processes, but if the proposed development plan is reviewed and systematically promote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able to more actively prepare for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In the follow-up study,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reserve power policies by comprehensively studying the fields of reserve forces training, weapons and equipment, compensation and welfare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형 항공모함 및 함재기의 효과적 획득전략에 관한 연구

        길병옥 ( Kil Byung-ok ) 미래군사학회 2022 한국군사학논총 Vol.11 No.4

        군사력 건설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핵심적인 고려사항은 전략적 효과, 경제적 효율성, 그리고 국민적 공감대 내지는 합의 등이다. 특히 최첨단 무기체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국내개발과 해외도입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현재 항공모함 건조 관련하여서는 군사력 건설의 방향과 시점 그리고 구체적인 기술개발 등이 지연되거나 보류되고 있다. 항모 건설의 전략적 대안을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방안을 도출해내야 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형 항공모함 및 함재기의 효과적인 획득방안을 제시하고 미래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항모 건설의 적절성과 전략적 고려사항을 먼저 살펴보고 한국형 항모와 함재기의 국내 개발과 해외도입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한다. 국내개발과 해외도입의 장단점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어느 한쪽을 추구하기보다는 장단점을 철저하게 검토하고 분석하여 전략적 효과와 경제적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경우의 수를 두고 함재기 획득방안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다. 먼저 항모 건조에 있어서 중항모를 선택하는 경우 함재기는 국내개발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필요한 장비와 기술을 해외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만약 경항모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함재기는 해외에서 도입하고 필요한 무기체계는 국내에서 개발하여 장착하는 것을 선호한다. 현재 항모 건설과 관련하여서는 국민적 공감대 확보와 정부의 지원 그리고 산업계의 협업이 절실한 과제이다. Economic efficiency, strategic effectiveness, and public consensus are key issu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building, operating and maintaining military forces. In particular, controversies over the domestic development and overseas acquisition have been continued in acquiring state-of-the-art weapons systems. Currently,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aircraft carrier,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and time of it, specific plans of core technology development are delayed or suspended.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optimal metho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ategic alternatives for the acquisition of aircraft carri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acquisition plan for the Korean aircraft carrier and to seek future strategic directions. Specifically, the adequacy and strategic considerations of aircraft carrier construction are first examined,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omestic development and overseas acquisition are analyzed. The pros and cons of them are the same as both sides of the coin, raising the need to maximize strategic effectiveness and economic utility by thoroughly reviewing the pros and cons rather than pursuing either side. This inquiry elucidates the following perspectives on the acquisition plan: First of all, in the case of selecting an Elizabeth-class aircraft carrier, it is desirable to prioritize domestic development and acquire necessary equipment and technology from overseas. And second, if a light aircraft carrier is selected, it is preferred to acquire the fighter plane from overseas and develop the necessary weapon systems internally. The primary task lies in securing public consensus, government support, and industrial coope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ircraft carrier.

      • 한,일 군사전략의 추세변화 비교논의 및 함의 -한국의 "신군사전략"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중심으로-

        최병학 ( Byoung Hahk Choi ),조기현 ( Gi Hyeon Cho ) 미래군사학회 2013 한국군사학논총 Vol.2 No.2

        Recently, American ``Revolution (Return to Asia) to Asia`` Policy strikes Chinese expansionism through ``Anti-Access / Area - Denial (2A/2D)`` strategy. Therefore possession of Sankkaku chain of islands and selection of air defence area are getting issued. Such serious of events caused international tension around northeast asia, which includes Korea. In this situation, Abbe’ regime of Japan is calling out ``Active Pacifism`` and abolish ``An exclusively defensive security policy’s principle``. Planning Pacific constitution revision and insistencies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Contrive to a ordinary country Which provides opposition of around countries and Arms Race including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Japan``s ``Collective Self Defense Events and Activities`` is devising the great country of the military to influence in East Asia. So we need to discuss the problem as a strategic dimension and injustice of Japan. Our army``s ‘The Strategy of the Preemptive Right of Self-defense’ is based on UN. Each the Right of Self-defense is justice but the Japan``s ‘The strategy of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is one of the offensive strategy which effects international sociality and Korea``s Strategic confrontation logic about Japanese Collective Self Defense after discuss comparing mutually in dimension that infringe interests of margi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