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영미분석철학은 인문학인가?

        한우진 ( Woojin Ha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19세기 이후 대륙철학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한 영미분석철학은 논리학을 바탕으로 논증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철학적 문제를 해결한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자들에게 분석철학은 인문학이 아니라 과학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질적 영역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거부에서 자기정체성을 찾아왔던 인문학과 분석철학은 잘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본 글은 분석철학사와 동시대 분석철학의 주요 흐름을 검토한 후, 근본학으로서 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태도에 철저한 분석철학의 성격을 규명한다. 여러 인문학자들은 인문학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에 지나치게 경직된 모습을 보인다. 분석철학의 근본학으로서의 성격과 열린 비판 정신은 인문학이 과학을 대하는 스스로의 태도까지 비판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한다. Analytic philosophy, which started as a react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tries to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arguments in terms of logic. In Korea, continental philosophers and other humanities researchers have regarded analytic philosophy as a sort of natural science. Human science, which has found its identity in denying scientific approaches to qualitative subjects, does not seem to have a relation to analytic philosophy. This paper first reviews a short history of analytic philosophy and big problem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nd then explains its nature as a successor of philosophical traditions, asking fundamental questions with the reflexive attitude through critical thinking. Many humanities researches are too unflexible against scientific approaches to problems which belongs to human science. Analytic philosophy, which asks fundamental questions and has the open critical mind, teaches us that human science should be critical about its attitude against natural science.

      • 영미분석철학은 인문학인가?

        한우진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Analytic philosophy, which started as a react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tries to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arguments in terms of logic. In Korea, continental philosophers and other humanities researchers have regarded analytic philosophy as a sort of natural science. Human science, which has found its identity in denying scientific approaches to qualitative subjects, does not seem to have a relation to analytic philosophy. This paper first reviews a short history of analytic philosophy and big problem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nd then explains its nature as a successor of philosophical traditions, asking fundamental questions with the reflexive attitude through critical thinking. Many humanities researches are too unflexible against scientific approaches to problems which belongs to human science. Analytic philosophy, which asks fundamental questions and has the open critical mind, teaches us that human science should be critical about its attitude against natural science. 19세기 이후 대륙철학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한 영미분석철학은 논리학을 바탕으로 논증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철학적 문제를 해결한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자들에게 분석철학은 인문학이 아니라 과학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질적 영역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거부에서 자기정체성을 찾아왔던 인문학과 분석철학은 잘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본 글은 분석철학사와 동시대 분석철학의 주요 흐름을 검토한 후, 근본학으로서 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태도에 철저한 분석철학의 성격을 규명한다. 여러 인문학자들은 인문학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에 지나치게 경직된 모습을 보인다. 분석철학의 근본학으로서의 성격과 열린 비판 정신은 인문학이 과학을 대하는 스스로의 태도까지 비판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한다.

      • KCI등재

        덕성여자대학교와 덕성여자중고등학교 개교기념일 재검토

        한상권 ( Han Sang Kw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2020년 창학 100주년을 맞이하는 덕성학원에는 기념일이 5월 17일, 4월 19일, 10월 10일 셋있다. 1950년 5월 17일은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얼마 전까지 개교기념일로 기렸던 날이다. ‘덕성여대가 1950년 5월 17일 2년제 초급대학으로 개교하였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덕성여대는 2년제가 아니라 4년제 초급대학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덕성여대는 한국전쟁 중인 1952년 신학기부터 수업을 진행하기 시작하여, 1956년에 제1회 졸업생 25명을 배출하였다. 1921년 10월 10일은 현재 덕성여자중고등학교가 개교기념일로 기리는 날이다. 덕성여중고는 이 날을 근화여학교가 인가받은 날이라며 기리고 있다. 하지만 덕성의 역사에서 ‘근화’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1923년 이후이다. 1923년 조선여자교육회 산하 부인야학강습소 이름을 근화 학원으로 처음 지었다. 사회교육기관인 근화학원이 정규 교육기관인 근화여학교로 승격한 것은 그로부터 2년 뒤인 1925년이다. 근화여학교는 이 해 8월 29일 인가받았다. 1920년 4월 19일은 2004년부터 덕성학원이 창학기념일로 기리는 날이다. 이 날은 덕성학원 설립자 차미리사가 조선여자교육회를 조직하여 부인야학을 처음 시작한 날이다. 3·1운동정신을 계승한 조선여자교육회의 창립은 19세기 말 교육구국운동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1920년대 민족교육운동을 선도한다는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2020년 창학 100주년을 맞이하여 덕성 역사의 정통성과 구성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기념일을 하나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덕성학원 산하 교육기관에서 각각 기리고 있는 기념일의 역사적 의미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Duksung Academy, which celebrates its 100th anniversary in 2020, has three anniversaries: May 17, April 19 and Oct. 10. First of all, May 17 is the day the university celebrated its opening day. Duksung Women's University's anniversary has been known as May 17, 1950. However, it is not true that Duksung Women’s University opened on May 17, 1950, as a two-year junior college. Second, April 19 is the day the Duksung Academy celebrates as its founding anniversary since 2004. Established on April 19, 1920 as the school's founding anniversary, it was the first time that women's night classes were started at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s Women's Night School, founded by Cha Melissa, the founder of the Duksung Academy. Third, October 10 is the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Duksung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Duksung Girls’ High School celebrates this day as the day when Geunhwa Girls’ High School was accredited in 1921. The truth, however, is that the principal took over the school from the U.S. military authorities in 1945. Celebrat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Duksung Academy in 2020, the anniversary needs to be unified into one. To do so, we have to change the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Duksung Girls' High School, which has been wrongly honored so far. “The begin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seen as April 19, 1920,” said Duksung Girls’ Middle School principal and president of the university’s general association. By honoring the founding anniversary of the school on April 19, 1920,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Duksung Academy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celebrating the centennial of the school.

      • 융합 교과목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정서의 이해와 조절>의 개발 및 운영 경험을 토대로1)

        정미숙,김미리혜,차지영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14 No.-

        In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universities need to turn out individuals withcreativity and judgement who can read the flow of modern knowledge. In order toprovide fertile soil for students to become such individuals, universities havedeveloped various courses and programs. Convergence courses, a relatively new kindof such, were offered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Understanding andRegulation of Emotion>, one of them, was developed as a liberal arts course. Inthis paper, the authors tri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onvergencecourse from our experience of developing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ofEmotion>. Three professors with different majors and specialties, namely psychology,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and food and nutrition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of subject and lecture. The objectives of the course have been decided afterdiscussion; to help the students examine the notion of emotion from variousperspectives, and to let them cultivate the emotion regulation methods of their own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fulfill self-actualization and enhance quality of life. Based on feedback from the enrolled students and faculty, the course was educationaland helpful. 오늘날의 지식기반 사회는 지식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판단력과양질의 지식에 바탕을 둔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한다. 이러한 인재는 여러학문분야에 대한 기본 소양이 있어야 하므로 대학에서는 다양한 학문 간의 융합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및 학문적 요청에 부응하여 융합 교과목인<정서의 이해와 조절>을 덕성여자대학교 교양 강좌로 개설하였다. 이 교과목의개발 및 강의에는 심리학, 불어불문학 및 식품영양학 전공의 3인 교수가 참여하였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이 인문, 사회 및 자연계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적시각으로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 조절법을 익혀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을제고하고 효과적으로 자기의 능력을 발휘하며 질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교과목의 시도는 수강학생들과 참여교수들의 평가를통하여 살펴볼 때, 매우 긍정적이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고전 읽기와 소집단 토의 수업의 역사성과 그 비판적 수용 -A대학의 고전 읽기와 소집단 토의 수업을 중심으로-

        차지영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34

        The modern society, which has entere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society where the need for understanding, consilience, and convergence of various fields along wi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emphasized rather than expertise in differentiated areas.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humanities education that strengthens critical thinking, fostering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esthetics of diversity. In line with the foregoing, starting in 2010, variou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raised the need for culture classes that can cultivate character and communication skills, placed classics reading and discussion (debate) at the center of the classes, and have been constructing class models that fit the foregoing. However, from 1969, about 40 years ahead of the foregoing, University A used regrets on the careless operation of culture education thus far and return to ‘the formation of holistic human being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ulture education, as the contents of ‘reading classics and small group discussions’ based on the spirit of ‘free arts and sciences’. To construct a model of the relevant class, the university continued the exploration, investigation, im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lass for about 10 years. University A first focused on the value of classics as a content to achieve the goal of culture education, and there after benchmarked the method of St. John's College for the operation method to construct the model to fit the actual state of University A.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as limited to 13, and the relevant class was culture mandatory compulsorily imposed on all three grades so that the students can cultivate communication capability as well as understanding classic books, expanding thinking skills, and constructing diversity by reading about 50 classic books and discussing on the books. When the relevant class that continued for 50 years was observed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t could be seen that the relevant class underwent small and large changes in the name of the course, division of book areas, and the subjects of application through curriculum reorganization due to many causes. Among the changes, the subject of the biggest discussion is the absolute reduction of the clas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at the cause of the basis of reduction as such was various extracurricular factors rather than negative factors within the relevant subject. This paper is not intended to criticize the management of the relevant subject by University A. In fact, there are extremely few cases where a developed subject was continued for 50 years. Nevertheless, University A has continued the course until now. The reason for the foregoing is the sympathy and recognition of the members of University A about the value of classics an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This means that classics reading, and discussion (debate) are contents and methods suitable for the expansion of thinking skill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of characters an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classics read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model and operation process of University A described in this paper will be referred to as a model by many universities that are starting or implementing similar subjects. 4차 산업 혁명기에 접어든 현대 사회는 분화된 영역의 전문성보다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여러 영역 간 이해와 통섭, 융합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 소통능력의 함양, 다양성의 미학 등을 강화하는 인문학적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2010년을 기점으로 한국의 여러 대학들에서는 인성함양과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교양강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중심에 고전 읽기와 토의(토론)을 두어 그에 맞는 수업 모델을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40여 년 앞선 1969년부터 그동안의 교양교육에 대한 방만한 운영에 대한 반성과교양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전인적 인간형성’으로의 회귀를 ‘자유학예’ 정신에 입각하여 ‘고전 읽기와 소규모 집단 토의’의 내용으로 진행한 A대학이 있다. 해당 대학은 해당 수업의 모델을 구축하기위해 약 10년의 기간을 수업에 대한 탐색과 탐구, 실행과 수정의 연속으로 진행한다. A대학은 먼저교양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내용으로 고전의 가치에 집중했으며 그 이후,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미국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의 방식을 벤치마킹하여 A대학 실정에 맞도록 모델을 구축한다. 한 수업 당 제한 인원이 13명이었고 해당 수업은 교양필수로 3개 학년 전체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어약 50 여권의 고전독서를 읽고 토의를 통해 소통능력을 함양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전 도서에 대한이해와 사고력의 확장 및 다양성을 구축하게 된다. 50년 동안 지속된 해당 수업을 통시적 관점에서 관찰했을 때, 해당 수업은 여러 원인에 따른교과 개편을 통해 강좌의 명칭, 도서영역의 구분, 적용 대상에 따라 크고 작은 변화를 겪는다. 그변화 중 가장 큰 논의의 대상은 해당 수업의 절대적인 축소화 양상이다. 이러한 축소기조의 원인이해당 교과 내부의 부정적 요인에서 비롯된 문제라기보다는 교과 외적인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발생된 현상임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A대학 해당 교과운용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다. 사실, 하나의 교과를개발하여 그것이 50년을 이어가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대학은 해당 강좌를 지금까지 이어가고 있다. 그럴 수 있는 이유는 고전의 가치와 의사소통의 효과성에 대한 A대학구성원들의 공감과 인식에 있다. 그만큼 고전독서와 토의(토론)는 인성함양과 소통능력함양에 따른 사고력 확장에 적합한 내용과 방식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 서술된 A대학의 고전 읽기와 소집단 토의 수업 모델 및 운영과정을 통해 유사교과를 시작하거나 진행하는 여러 대학들에게하나의 모델로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 KCI등재

        민중과 역사 : 1970년대 이후 민중사의 추이와 민중상의 변화

        정무용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6 No.-

        'Minjung' is Korean Unique collective subject. In post-liberation period, since 1970s the 'Minjung' was noted as historical subject. In 1980s this was located leading position in all the radical and revolutionary discourse. After 1990s, however, because of the mood of post-cold war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ostmodernism, this concept is dethroned. This change of position of 'Minjung' is similar with the history of 'Minjung'. Thus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ition of history of 'Minjung' and the change of position and function of 'Minjung' in historical discourse. At first, as prehistory of the history of 'Minjung', This article reviews appearance of 'Minjung discourse' and 'history toward reunification' suggested Kang, Man-Gil in 1970s. And then, it analyzes discourse structure of history of 'Minjung' in 1980s. At last, it examines the new writing of history of 'Minjung', that is, the histories of every day life of 'Minjung' after adoption of postmodernism. 본고는 1970년대~1990년대 민중론 내에서의 민중 개념의 변화를 다룬다. 특히 사론의 측면에서 제기된 민중론의 추이를 서술한다.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70년대 등장한 분단극복의 역사학에서 민중의 시각을 강조하는 역사학이 나타났다. 이 시기에 민중은 역사 발전의 단계를 가늠하는 지표였다. 민중은 1980년대 사회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역사 발전 및 변혁의 주체로 설정되었다. 민중사학을 제창한 소장역사학자들은 변혁 주체로서의 민중의 성장을 역사 속에서 구체화하며 그것의 필연적 발전과정을 체계화하고자 했다. 1990년대 들어 1980년대의 민중사론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갔다. 하지만 '민중' 중심의 역사쓰기는 완전히 버려진 것이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는 '민중의 역사(들)'로 재해석되기시작했다.

      • 차미리사의 기독교 민족운동관

        최병택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22 No.-

        차미리사는 기독교적 사회복음주의에 입각하여 인격 양성, 실업 교육을 통한 ‘실력양성’을 중시했다. 인격 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실력양성론은 1920년대 당시 감리교계 민족운동가들의 사회운동론과는 그 지향점이 달랐다. 당시 감리교계는 경제적실력양성론에 치우쳐져 ‘미곡 생산량만 늘리면 경제력을 강화할 수 있고, 민족 독립의 여지도 높아질 것’이라는 식이라는 논리 하에서 사회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경제적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던 감리교계의 신흥우와 박인덕 등은 1930년대에 감리교 교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활동을 펼쳤는데, 그 과정에서 경제적 실력양성론과 다른 입장에 서 있던 차미리사가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 그로 인해 차미리사는 덕성여자실업학교 운영에서 손을 떼야 했다. Cha-Mirisa carried out the Movement of Improving Ability in 1920’, which featured character-building. That was different from other leaders i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who had persisted that improvement in standards of economic state of korea is crucial. That idea of improving character underlaid much of his work on DukSung-school. In 1930’, Many leaders in the church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 They tried to drive out other leaders who held a different opinion on nationalistic movement such as Cha-Mirisa. The result brought Cha-Mirisa’s resignation from the council of DukSung.

      • KCI등재

        <기획논문 - 차미리사 선생의 민족운동과 교육활동> 차미리사의 기독교 민족운동관

        최병택 ( Choi Byung Taek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22 No.-

        차미리사는 기독교적 사회복음주의에 입각하여 인격 양성, 실업 교육을 통한 ‘실력양성’을 중시했다. 인격 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실력양성론은 1920년대 당시 감리교계 민족운동가들의 사회운동론과는 그 지향점이 달랐다. 당시 감리교계는 경제적 실력양성론에 치우쳐져 ‘미곡 생산량만 늘리면 경제력을 강화할 수 있고, 민족 독립의 여지도 높아질 것’이라는 식이라는 논리 하에서 사회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경제적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던 감리교계의 신흥우와 박인덕 등은 1930년대에 감리교 교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활동을 펼쳤는데, 그 과정에서 경제적 실력양성론과 다른 입장에 서 있던 차미리사가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 그로 인해 차미리사는 덕성여자실업학교 운영에서 손을 떼야 했다. Cha-Mirisa carried out the Movement of Improving Ability in 1920’, which featured character-building. That was different from other leaders i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who had persisted that improvement in standards of economic state of korea is crucial. That idea of improving character underlaid much of his work on DukSung-school. In 1930’, Many leaders in the church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 They tried to drive out other leaders who held a different opinion on nationalistic movement such as Cha-Mirisa. The result brought Cha-Mirisa’s resignation from the council of DukSung.

      • KCI등재

        <연구논문> 다문화 가정 청소년 및 부모를 위한 소통과 치유의 인문학

        조우호 ( Cho Woo-ho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본 시민인문강좌를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은 우리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가적 치유체험을 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치유체험을 통해 삶의 활력과 시민과 시민 간의 상호이해와 공감의 폭을 확장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강좌는 다원주의적 시각에서 우리 속의 타자인 이주자들의 혼용성과 정체성을 아우르고, 이들이 우리사회에서 정서적 안정을 되찾고 자연스럽게 사회에 통합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강좌 마지막에는 전 과정의 수강생들이 제작한 영상물을 감상하고, 그 영상물이 가지는 의미 및 자신들이 표현하고자 것을 이야기하고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각각의 세대와 성이 공감하고, 이해하며,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러한 공유과정은 서로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으면서도 서로를 이해하기 힘들었던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과 이주여성 그리고 이들의 남편이자 아버지가 서로를 보다 더 이해하고, 인정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넓게는 아직은 다문화 가정에 대해 폐쇄적인 한국 사회에서 보다 자주적이고 능동적으로 삶을 개척해 나가는데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ealing experience through our civil humanities courses gives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bove all a self-healing required to live in our society through the experience of e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This experience gives them the vitality of life. The purpose of our course is to prepar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o regain emotional stability in our society, so that they can be integrated into our society naturally. At the end of the course, the whole students watch those videos, which they have made through the course, and thereby they have a time to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share them with each other and with other generations. Our course will be a stepping stone in this way for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 migrant women and their husband to understand and acknowledge each other. Furthermore it will be a little help for them to live in Korea more actively and independ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