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7학년도 공주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한규정, 김주연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신입생들의 기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 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등 총 7개영역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로서 본교 신 입생 535명중 489명이 응답하였고 이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7 학년도 신입생의 연령분포는 만 21세 이상이 34.2%로 2006학년도에 비해 평균연령이 낮아졌으며, 과외를 받은 경험은 다소 높아졌다. 둘째, 신입생들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 적 그리고 종교적 배경 속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런 다양성이 대학교육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전년도와 비교해 볼 때, 신입생들이 지각하는 가정의 경제 형편은 부유해졌으며, 학비 조달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 없이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06학년도에 비해 신입생들은 본교 입학에 대한 만족감이 다소 낮아졌음 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신입생들은 진실한 대인관계를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 치로 또한 사회적 성공요인으로는 성실.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섯째, 혼전 성관계에 대해 신입생 응답자의 69.3%가 상관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캠퍼스 내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성희롱 및 성폭력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신입생들이 직 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들은 대학생활과 대인관계들이며 따라서 상담지원으로 진로 및 인간관계 개발과 대인 관계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freshmen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s, socio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ity, valu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the Research and Service Center for Students. Among 535 freshmen, 489 students replied to the survey. The result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34.2 % of replied freshmen were beyond 21 years or older, the average age of freshmen and private tutoring that they took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year 2006. Second, they came from variou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so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granted to guide and teach them. Third, as compared the results of the year 2006, the percentage are increased that most freshmen think their domestic economy a little better. Fourth, we found they were unhappier with entrance to this university but happier with Department than freshmen of the year 2006. Fifth, they think the great value in life is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primary factors of success are honesty and hard work. Sixth, 69.3 % of replied freshmen don't care a premarital sex, so the publicity toward sexual harassment should be released to prevent sexual assaults on and/or off campus. Seventh, the problems that are now being faced to freshmen ar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counseling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do the career orientation, development guidance and personal relationship.

      • 초등 수학 영재 선발 방식의 내실화를 위한 연구 -수학적 내용 영역과 사고 영역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임문규, 권성룡, 강흥규, 조영미, 김혜숙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8 No.1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실시된 영재 선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공주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수학 영재 선발에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 선발에 사용된 수학 문항들을 크게 수학 내용 영역 측면과 수학적 사고 측면으로 구 분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05 년과 2006년에 실시된 영재 선쌀 평가 결과였다. 분석 결과로, 먼저 합격자 집단과 불 합격자 집단 사이에 표준화 점수 차이가 가장 많이 나거나 적게 나는, 수학 내용 영역 과 수학적 사고 영역을 알아보았으며, 둘째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전형 단계에서 합 격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 내용 영역과 수학적 사고 영역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는 내실 있는 영재선발을 위한 문항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way of selecting the mathematics-gifted students 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at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through the statistics methods. And for the analysis we classified the mathematics items according to the content domains and several mathematical think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s. First, we could find the mathematics content domains and mathematical thinking on which the gap between the passers and failures was the largest and the smallest. Second, we could recognize the content domains and mathematical thinking which were related to the pass of the examinations.

      • 공주교육대학교 출신 신규교사의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출신 신규교사의 본교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 해서 실시되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전과 충남지역에 소재한 568개 초등학 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138부를 회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본교의 교육과정(교양교육과정, 전문교육과정, 심화교육과정, 교육실습)이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사양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주교육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이(대학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교양과 식견을 갖추게 하는 등) 초등교사의 기본적인 자질함양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반응이 전체의 34%였다. 둘째, 공주교육대 학교의 전문교육과정 이 초등교사의 전문성신장에 기 여 하는가라는 질 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사람은 전체의 47.8%였다. 셋째/ 전문교육과정 중 심화교육과정은 특정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사람은 전 체의 36.2%였다. 넷째, 교육대학의 교육실습은 교육대학생들이 초등교사로서의 학습 및 생활지도 능력 과 직무 수행능력을 개발하는데, 그리고 초등학교 현장에 적응하는데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79.7%가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 공주교육대학교의 발전방안으로는 초등현장과 실질적으로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 보다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 사명감 있는 초등교사양성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 램 강화,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원양성이라는 특수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운영, 대학의 지 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문화적 경험 제공 등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new teachers graduated from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n the curriculum of GNUE. For convenience’s sake, the subjects were restricted to new teachers worked for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have been teaching less than 5 years.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gathered through survey,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was 34%. Second,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major course was 47.8%. Third,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advanced course was 36.2%. Fourth,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practice was 79.8%.

      • 신임교사의 현장 적응에 대한 평가 연구 - 공주교육대학교 출신교사 중심으로 -

        한규정, 김형균,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본교 출신 교사들의 현장에서의 교육수 행과 본교에 대한 교육계의 의견을 토대로 다가올 새로운 세기의 보다 나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위상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는데 있다. 표집은 연구의 목적과 효율성을 위해서 임의 표집방법으로 대전, 충남지역 교사로 하 였다. 질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문항 4개, 본교 졸업생들의 교육 수행에 대 한 선택형문항 문항 12개, 본교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항 3개(선택형 1개, 자유반응형 2 개),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E-mail과 Fax를 이용 하였다. 설문지는 대전, 충남 지역 초등학교에 각각 439부, 129부씩 배부하여 96부, 33부ᄅ 씩 회수되었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총 108부가 연구에 이용되었다. 질문지의 각 문항별로 반응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필요에 따라 성별, 연령별, 담 당업무별, 학교 苷별 등에 따라 반응의 경향을 비교하였고, 통계처리는 백분율, X2 검 증을 SPSS WIN-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자유 반응형 문 항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교 출신의 신임교사들이 학교 교육활동 전반에 대해 대체적으로 좋은 평가 를 받고 있다. 그러나 생활지도능력, 사무수행능력, 특별활동지도능력 등에 대해서는 타 항목 보다 /보통이다'는 반응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교 출신의 강점인 /안간관계와 협력이 잘되는 것'은 약점으로 지적된 학연에 치우친다/와 연결되는 결과 이므로 강점을 강화하되, 지나친 학연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반응에 응답한 교사들은 교대 교육과정이 현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를 원 하고 있다. 즉 현장과 접목할 수 있는 것과 예 • 체능, 영어 심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강화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of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curriculum(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survey were used. A questionnaire which was 19 question items concerning personal and educational performances, suggestions for university were made. Thi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68 school in Daejeon and Chungcheong Nam-Do. Finally well answered data 108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the 108 persons who responded to the mail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program techniques of frequencies, chi-squar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the Graduates of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mostly high. But the ability level of career guidance, office management, special program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lower.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브루넬 대학의 영재교육

        김경호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26 No.-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Brunei Able Children's Education Centre implications for able students' education for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educated for able student. Secondly, degree course should be opened for making human power with both theory and practicing for school. Thirdly, Korean origin able stud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미국 INTASC의 교육전문성에 비추어 본 교대의 2005학년도 교육실습

        김윤옥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6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6 No.1

        교육실습은 예비교사들이 기본적으로 갖주어야 될 교육전문성을 경험하도록 표준화 되고 체계적으로 평가• 분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주교육대학교의 3학년 (583명) 수업실습과 4학년(460명) 종합실습을 대상으로 미국 INTASC이 제시한 열 가지 교육전문성에 대해 실습학교와 실습유형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교대의 예비교사들은 미국 INTASC이 제시한 열 가지 교육전문성을 대체로 안정 적으로 경험하고 있었으며, 교육전문성 경험에 대한 실습학교 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실습유형 간에는 실습유형의 특성을 반영하는 일부 영 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Student practicum has to be processed unde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to help preteachers be highly qualified teachers. And it is necessary to assess and analyze the field experiences of student practicum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analyze the 2005 teaching (practicum II) and job-related practicum (HI) held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included 683 junior student teachers and 460 senior student teachers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es based on the INSTASCs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across practicum sites and types. As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preteachers experienced the INSTASCs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more than 75% level over the ten professional compet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acticum sites towards the professional competenc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acticum types related competence variables. In discussion, the differences between sites of practicum services highlighted to be investigated.

      • 일반계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설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시흥시 일반계고 중심으로-

        이승호,조영희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2 No.2

        대학진학률이 낮아지면서 고졸자의 취업의지가 높아지는 가운데 고등학교 단계 에서의 직업교육의 필요성을 인식, 일반계고 직업교육과정의 개설을 통해 고졸자 취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 3 학생들에게 적합한 직업교육과정을 개설하고자 학생들의 직업교육 경험 및 직업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직업교육과정 개설을 위한 기본방향 및 운영 과제를 제시하 고자 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재학 중 직업교 육과정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으며, 특히 직업현장체험, 의사소통 및 대인관 계능력과 직업세계의 이해 교과목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 업교육과정 참여시 교육기관의 유형으로는 전문대학을 선호했다. 셋째, 고교 졸업 후 취업을 계획하는 학생들의 경우 조기입직과 금전적 수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 하고 있으나, 선취업후진학을 계획하는 학생들은 일과 학습의 병행을 통해 지속적 인 성장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넷째, 직업교육에 참여의향을 나타내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부적응하거나 교사와의 관계가 나쁘지 않은 평범한 특성을 보였다. 교 사들은 직업교육과정의 중도탈락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의 적용과 상담교사배치를 요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계고 직업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선취업후진학을 활성화함으로써 고졸학생의 진로를 다양화하고 청년취업 및 노동시장의 안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과학교육계 학과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지구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With Reference to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김여상,박영철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과학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현행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것을 근거로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2년도 이후에 발행된 11개 대학의 대학요람과 지구과학교육과의 교과과정표가 분석되었다. 교육과정은 사범대학의 정체성이 확보되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며 교과교육과목은 전공영역에 포함시키고, 일반과학과목도 계열기초에 소영역으로 구분되어 전공영역에 포함시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교과교육과목은 최소한 12학점을 이수하도록 하며, 일반과학과목의 학점수도 40학점으로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구과학내용교과목중에서 유사한 과목들은 통합된 형태의 교과목으로 개설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scienc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The bulletins and earth science curricula of 11 universit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in terms of four sections: curriculum organization, subjec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basic science subjects, and majors of earth science. The curriculum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for the identity of college of education. Science education subjects and basic science subjects need to be involved in a major field. Science education subjects should be taken at least 12 credits.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on the basic science subjects, which had better be taken upto 40 credits. Major subjects that the contents are similar to each other need to be combined into one subject.

      • 교육대학교 교양수학 교수요목 선정을 위한 방향 탐색

        강지형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이 초등학교 교직수학으로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교양수학의 교수요목선정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전국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지도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교재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양수학 교재의 내용분석 결과를 2007년에 개정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quire into the direction for choosing the syllabu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materials of the curriculums in the al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And we analyzed the role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in relation to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Finally we compared them with the suggestions offered by other researches and the national curriculum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