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인지적,대안적 법학방법론: 여성주의법학

        엄순영 ( Soun Young Bum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19 No.2

        여성주의법학은 여성주의법학자의 노력만으로 성취될 수 없는 통합적이고 학제적인 학문이다. 때문에 여성주의법학자 외부의 노력이 절실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성주의적 관점과 여성주의법학의 논의를 총괄적으로 소개하는 글이 다른 법학과목보다 더욱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을 고려하여 여성주의법학은 기존 법학과 달리 성인지적 법학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기존의 법학방법론에 대한 대안적 법학방법론이라는 것을 개괄적으로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을 고려하여 제2장에서는 여성주의와 여성주의법학의 의미를 페미니즘의 여러 갈래와 여성주의법학과의 관계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여성주의법학의 연구 방법이 기존법학방법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합리성, 이성, 체계성, 논리성, 개념성과 달리 여성의 주체성, 경험, 고통을 중시하며, 이야기서술방식을 택하면서 정서적 공감을 법학의 중요한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성인지적 법학방법을 통해서 여성주의법학은 성인지적 법담론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았다. 기존의 법이 불평등과 평등을 축으로 하였다면, 여성주의법학은 보편성과 차이를 축으로 하고 있음을 보았고, 권리담론과 공/사의 구분에 대한 비판과 여성 몸의 표현방식에서 남성의 대상으로 간주되는 여성 몸의 격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feminists of the feminist jurisprudence belong to a fringe group in the law field. Because of this, the insiders of this sphere need to help outsiders to understand it. So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feminist jurisprudence, especially for people next to nothing about that field. This shows who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eminist jurisprudence and the established jurisprudence for a long time. For this work, these are considered firstly what means the feminist jurisprudence and how can feminism or feminist thought relates to the feminist jurisprudence, secondly what is the different methodology between the feminist jurisprudence and the established jurisprudence, Women`s experience & pains and women`s identity signify in the feminist jurisprudence. It adapts storytelling and feeling sympathy to construct a gender cognitive legal theory. Finally in this paper the feminist jurisprudence means a practical jurisprudence which builds a gender cognitive and an alternative legal methodology.

      • KCI등재

        로마 법학탄생에 대한 희랍 학문개념의 영향 - 법학과 신의성실 원칙의 탄생 -

        성중모 ( Seong Chung-mo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2

        이 논문에서는 우선 희랍 학계에서 확립된 학문 개념이 무엇인지 살펴 본 후, 그 것이 일정한 원리에 의하여 조직된 지식의 논리적·방법적 통일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그 학문 개념이 로마 법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즉 로마의 법학도 학문이라 할 수 있는지를 제한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런데 법학에서 학문 개념은 선행하는 ‘의제’ 후에 연역적 삼단논법을 전제한다. 법학은 베버의 용어법에 따르면 여실한 형식 과학이고 형식 과학으로서의 법학은 로마법 이래 인정되고 있다. 연역적 논법은 定義, 공준, 공리 등으로써 주장을 증명하고 근거를 제시한다. 게다가 로마법 이래 법학은 또 類와 種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법학의 학문성은 부정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로마에서 최초로 이러한 학문 개념에 부합하게 활동을 한 사람이 세르비우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어서 과연 로마에서 학문이라 할 수 있을 정도인 법학이 실재하였는지를 학설휘찬 내의 세르비우스가 저술한 몇몇 개소를 예시로 하여 귀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결과 세르비우스의 개소들에서 학문성을 감지할 수 있는 본질적 특성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세르비우스의 新법학은 회의주의적 아카데미아의 영향 하에 있었으나 불가지론 보다는 법실증주의까지 포용하는 회의주의로서의 상대주의를 주장하였다. 그 상대주의는 개연성을 기초로 실정 법규범을명료하게 만들도록 촉구하며 구성원의 합의와 그 합의를 강제할 권력을 전제한다. 그런데, 세르비우스 전 로마 법학은 희랍적 규준에 비추어 학문이 아니었다. 그러한 (원시적) 상태의 법에서 중요했던 원리들은 개념법학적 신법학 도래 후에는 제도적으로 인정받는 권리들을 일거에 상실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제도적으로 인정받는 권리도 상실시킬 수도 있는 신의성실 원칙으로 역할하게 된다. Es ist wissenschaftlich weitgehend anerkannt, dass dem ganzen philosophischen bzw. wissenschaftlichen Denken und Schaffen Europas liegen zugrunde die Denkleistungen, die in beweisbarer Weise vor uber zweieinhalb Tausend Jahren in Griechenland gebluht haben. In dieser Arbeit wurde zuerst versucht zu erklaren, wie der Wissenschaftsbegriff im westlichen - insbesondere griechischen - Altertum war und damit wie er nachher auf die romische Rechtswissenschaft beeinflusst hat. Denn die Erkenntnis der griechischen Wissenschaft geht von dem zeitgenossischen Wissenskonzept aus und gilt auch bis in die Moderne hinein als unumstoßliche Grundlage. Wahrend die unterschiedlichsten Wissenschaften ihre eigenen Entwicklungen verschidentlich aufgewiesen haben, hat zumal die Naturwissenschaft sozusagen als ein Modell gegolten. Indessen ist die Rechts-‘wissenschaft’ trotz ihrer Bezeichnung haufig ubersehen worden. Diese Arbeit hat mittels einiger Stellen in den Digesten versucht zu zeigen, dass die Rechtswissenschaft oder Jurisprudenz, wie das Fach auch bezeichnet werden mag, sei jedoch eine Wissenschaft par excellence und daher das griechische Verstandnis uber Wissen und Wissenschaft der Gestaltung des romischen intellektuellen Kreises - freilich Rechtswissenschaft eingeschlossen - einflussreichste Impulse geben konnte. Gegen den gemeinen Meinungen wurde es somit behauptet, dass die Rechtswissenschaft als ein der Mathematik ahnlichstes Forschungsfach im Vergleich zu den anderen Wissenschaften noch wissenschaftlicher sei, weil sich die Rechtswissenschaft als ihre unentbehrliche Mittel der Begriffe einerseits wie z.B. Definition, Axiom, Deduktion sowie Beweis und andererseits wie eidos(morphe), genos sowie diaphora bedient und den logischen Demonstrationsprozess auch in der Rechtsinterpretation aufweist. Demzufolge ware die Verdrangung guten Glaubens (bona fides) vom Vordergrund durch die systemgebundenen Regeln und damit dessen Bewertung als die Begrenztheit der Rechtserkenntnis in der gedanklich nicht voll entwickelten Zeit das wesentliche Merkmal der Moderne im Bereich der Rechtspflege und -wissenschaft, die in Rom bereits zu Ciceros Zeit von seinem engen Freund Servius definitiv verwirklicht wurde.

      • KCI등재

        일반법 논문 : 중국의 형사화해제도에 관한 고찰

        이창호 ( Chang Ho L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8 No.3

        한국 형법학계에서 형사화해제도에 관한 논의가 시작된 지 불과 10여 년에 지나지 않지만 이미 기초적 수준의 법제화는 진행되고 있다. 2010년 5월 14일 범죄피해자 보호법을 전면 개정하면서 그동안 이론적?실무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형사화해제도의 일환으로 형사조정제도를 도입한 것이 그것이다. 이 제도가 2010년 8월 15일부터 전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그 시행기간이 짧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그 성패 여부를 속단하기는 어렵다 할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현행법상의 형사조정제도가 극히 제한적이고 불완전하다는 점은 제도 자체가 지향하는 이념에 비추어 볼 때 분명하다. 형사조정제도를 포함한 형사화해제도 나아가 더 광범한 회복적 사법제도에 대한 모색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고, 더욱 바람직한 제도적 완비를 지향하고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서구의 선진적인 제도를 귀감으로 삼는 것이 당연할지 모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시기에 논의를 시작하고 제도화를 지향하고 있는 다른 나라 특히 중국의 경우를 참고하는 것도 우리나라의 제도적 개선을 위해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중국 또한 2000년대 초반부터 회복적 사법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논의가 시작되었고, 그중의 중요한 제도적 장치로 형사화해제도가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 전국적인 차원의 입법적 진전은 없지만, 성급차원에서는 2002년부터 다양한 법제적 근거하에 구체적 실천들이 진행되어 왔고, 현재도 중국 형사법학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이슈로 되어 있다. 그 단적인 예가 중국법학회 형법학연구회가 매년 발간하는 중국형법학 연례보고서인 <신중국형법 60년 순례> 상권(부제 - 역사와 반성)에서 형사화해제도를 주제로 한 70여 명의 형법학 전문가들의 50여 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보고서에 실린 논문들뿐만 아니라, 기타 여러 단행권은 물론 각종 논문집에 실린 중국 형법학자들의 형사화해제도에 관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그간의 논의과정에서 제기되어 온 다양한 이론적 쟁점들과 그 제도적 실천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폭넓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형사화해제도에 관한 논의에 일조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중국의 형사화해제도는 되돌릴 수 없이 확고한 입법적 추진단계에 들어서 있다. 문제는 입법화의 단계에서 이 제도의 부정적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나아가 현재의 실천 과정에서는 물론, 입법화 이후의 실천 단계에서도 형사화해제도의 이념과 가치에 적합하도록 운영하는가가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결국 중국의 형사법학계는 물론 사법기관이 감당해야 할 몫이리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면 형사화해제도마저 기존의 사법권력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韓國刑法學界對於刑事和解制度的論議不過10年, 已經達到基礎水准的法制化. 2010年5月14日,隨著犯罪被害人保護法的全面改定, 其間在理論上, 實務上, 刑事調整制度都作爲刑事和解制度的一環被導入. 該制度於2010年8月15日迅速實行, 由於實行期間尙短, 現在還不能輕率地判斷其成敗. 但可以確定的是,對照制度本身的理念, 現行法上的刑事調整制度極爲局限和不完整. 對於刑事和解制度走向更廣泛的恢複的司法制度的探索依然在進行, 有望達到制度的完善. 當然在這個過程中會以西歐的先進制度爲典範, 但是령一方面,參考與我國相似時期在相似環境下開始制度化的其他國家, 特別是中國的情況, 對於改善我國制度是大有幇助的. 中國於2000年初開始討論導入恢複司法制度, 其中刑事和解制度作爲重要的制度被包含於其中. 直到現在, 雖然在立法上沒有取得全國性的進展, 但在省級區域內, 從2002年起出現了多樣的具體實踐, 在中國刑事法學界也成爲最受關注的問題之一. 最典型的例子就是, 在中國法學會刑法學硏究會每年發行的中國刑法學年例報告書 <新中國刑法60年巡禮> 上冊 (副標題-曆史和反省) 中, 收錄了近70名刑法學專家關於刑事和解制度的50餘篇論議. 本論文不僅參考了上述報告冊中登載的論文,還參考了其他單行本及各種論文集中中國刑法學者關於刑事和解制度的論文,通過對於各種理論爭論和制度實踐的分析,提出較爲全面的問題點. 以此作爲對於我國正在進行中的刑事和解制度的論議的借鑒, 這也正是本文的目的. 中國的刑事和解制度不可能重返, 已經進入了堅定的立法推進階段. 問題是,立法化的階段中,要조到對於此制度中不正當的要素達到最小化的方案. 不僅是現在的實踐過程中,而且在立法化以後的實踐階段中, 最重要的是符合刑事和解制度的理念和價値. 爲此, 不僅中國刑事法學界, 司法機關也要承擔. 如果連刑事和解制度也要向著基准的司法權力更强化的方向運行的話,那是絶對不可以的.

      • KCI등재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의 학제 간 연구에 관한 고찰

        임예준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2

        International law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studies the legal ord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institutions and norms. International relations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studies the interactions and processes of various acto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cused on explanation and predictions. Although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essentially share the intellectual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dynamics and order, they have developed into separate academic divisions, and have formed ‘two cultures’ due to differences in terminology as well as agenda and methodologies. *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Public Policy, Korea Univers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s well as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field, and theoretically considers the interdisciplinary contacts and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this end, it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inds elective affinity with international law by reviewing major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article specifically introduces Anne-Marie Slaughter's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law to gauge the new methodologies in international law.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the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llows us to consider the political factors involved in forming laws and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norms and systems by contextualizing them. Thu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ould help effectively apprehend legal norms and institution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international law approach that assumed or presupposed an idealistic normative system. It also allows us to deviate from a norm-centric approach and an alternative to the excessive ideologically vaporized international law. 국제법학은 국가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포함하여 오늘날에는 국제공동체 전체의 관계와 질서 그리고 관련 제도와 규범의 형성과정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일컫는다. 국제관계학은 국가 간의 정치와 정치형태, 그리고 국제사회에서의 다양한 행위자의 상호작용과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일컫는다.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은 기본적으로 국제사회의 역학관계 및 질서라는 지적 탐구 영역을 공유하고 있다. 그렇지만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은 별개의 학문 분과로 발전했으며, 의제와 방법론뿐만 아니라, 용어 사용의 차이로 인하여 ‘두 개의 문화’를 형성해 왔다. 이 글은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의 학제 간 연구의 발전과정과 학제적 연구영역을 살펴보고, 두 학문의 접점과 학제 간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관계이론을 개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국제법과의 선택적 친화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국제법학과 국제관계학의 학제 간 연구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활성화 요인과 학제 간 연구의 의의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제 간 연구방법과 주요 연구영역을 살펴보고, 자유주의 이론을 국제법학에 연계하는 방법론을 취하고 있는 Anne-Marie Slaughter의 주요 이론을 통해 학제 간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국제법의 관점에서 국제관계이론은 법제도를 설명하는데에 있어 법 형성에 관여하는 정치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게 하며, 규범과 제도의 의미를 규범과 제도가 위치한 맥락을 통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국제법학에 있어 국제관계학과의 학제 간 연구는 법규범과 제도를 정치적 맥락에서 설명함으로써, 이상주의적 규범 체제를 상정한 국제법학의 한계를 극복하여, 법규범과 제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단순히 규범 중심적인 접근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며, 국제법이 지나치게 이데올로기화되는 것에 대한 대안이 되기도 한다.

      • KCI등재

        정책법학적 관점에서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조합 개선방안 - 지리산권관광개발조합의 사례를 근거로 -

        이시원 ( Lee See-w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3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지방자치단체간의 배타적 권한행사가 강화됨에 따른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과 서비스 공급의 비효율성이라는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조합이라는 정책수단을 법적으로 제도화하여 실행하고 있는 것이 현행의 지방자치단체조합제도이다. 다시 말해 지방자치단체조합은 정책결정의 산물로 이를 관련 법률에 규정하여 현실의 제도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 놓은 것이다. 법치주의의 원칙에 따라 행정은 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행정활동에 상당한 재량권이 부여되어 있지만 이것도 법령의 근거하에 그 재량권이 행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과 법, 그리고 행정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조합 가운데 최초이자 유일한 ‘지리산권관광개발조합’의 사례를 토대로 지방자치단체조합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정책법학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야기 하면 지방자치단체조합의 법제도적 개선방안이 되겠지만 정책과 법, 그리고 행정이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하여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지방자치단체조합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정책목표) 정책수단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수단을 실질적 정책수단과 실행적(보조적) 정책수단으로 구별하여, 각각의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질적 정책수단의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조합에 특별지방자치단체의 법적인 지위를 부여하여 그 위상을 강화하여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현행 지방자치법에 어떻게 반영해야 할 것인지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실행적(보조적) 정책수단은 지방자치단체조합이 특별지방자치단체로서의 법적인 지위를 가지고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조직, 인력, 재정 등의 수단 들이 필요한데, 이들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규약에 위임할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법에 그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그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향후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기제로 적극 활용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이고, 실행적인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조합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이 지방자치의 모법인 지방자치법에 체계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in the perspective policy and law.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has been introduced as a mean of facilitat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In Korea, the Local Autonomy Act in Korea also has provisions for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s in Korea have a lot of technical and legal problem in their official works. However the policy is desirable and feasible, if the contents of policy, especially the contents of policy means is not be provided in the related law, it cannot be executed and desired the goal cannot be realized. The policy means can be classified as a substance policy means and subsidiary policy means. In this study, this paper examined how to amend the current the Local Autonomy Act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a substance policy means and subsidiary policy means. This article recommended that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is mother law in local autonomy in Korea should be amended as follow: First, the legal pos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should be revised as a the Specialized Local Government which could strengthened the role of the Local Autonomy Association. It need to set the new chapter for the Specialized Local Government in the Local Autonomy Act. Second, the subsidiary policy means for actualizing the goal of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should be more specified in the Local Autonomy Act. The subsidiary policy means are about how to organize, how to manage personal resources and how to mobilize the budget which are basic elements for actualizing the goal of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등교육과 교육공공성의 확장

        임재홍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0 No.1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의하면 대학교육기관은 학교이며 공공성을 갖는 공교육기관임을 적시하고 있다. 고등교육에도 공공성이 보장된다면 그 핵심이 되는 것은 교육비용의 공적 부담원리를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대학 등록금 수준은 세계 2위로 미국 다음이다. 우리나라에서 고등교육비용이 높은 이유는 사립대학의 비중이 과도하기 때문이다. 즉 국가의 재정보조를 받는 국·공립대학의 비중이 적다는 말이다. 2010년 기준으로 고등교육기관중 국공립대학의 비율은 13%로 사립대학의 비중이 87%에 달한다. 더 심각한 문제는 우리나라 사립대학의 수준이 공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대부분 등록금에 의존하여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심지어 학교법인이 부담해야하는 법정부담금도 거의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학교가 상당수이다. 우리나라 국공립대학의 등록금은 사립대학 등록금의 57% 수준이다. 따라서 교육비의 공적 부담원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공립대학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외국의 경우에 비교해보더라도 한국의 국공립대학 재학생 비율은 22%에 불과하다. 이는 국공립대학 재학생 비율이 80%에서 100%에 이르는 유럽 각국과 호주, 72%에 이르는 미국 등과 비교하기 힘든 세계 최저 수준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사립대학위주의 고등교육공급정책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국공립대학의 신설이나 확충은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등교육의 과잉공급 상황을 고려할 때 합리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사립대학의 준국공립화 정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정부책임형 사립대학이란 법률이 정하는 고등교육의 인적·물적 조건을 재정적 문제로 충족하지 못하는 사립대학중 발전가능성이 있는 일부 대학에 정부지원을 하되, 해당 사립대학의 법적 지위를 반(半)공립, 반(半)사립의 지위를 갖도록 전환시킨 대학을 말한다. The term Public Education is not synonymous with the term "publicly funded education", but Public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is funded through taxation rather than tuition fees. In Korea students have to pay fees to colleges or universities. Pay increases have caused chronic controversy. Data from the statistics office and the Bank of Korea show that schools have been gouging parents in the past few years by raising tuition faster than inflation. Household spending on higher education has been rising inexorably over the past few years, aside from a temporary dip during the financial crisis. According to the OECD``s "Education at a Glance 2011" report, the average tuition at public Korean universities was $5,315 using purchasing power parity, which was higher than any other OECD nation aside from the United States ($6,312). The yearly average tuition at the country``s private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was at $9,586,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Some argue that the numbers show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ulder a heavier burden than those of any OECD country as the country``s public schools account for just 13 percent of its universities, the lowest proportion among OECD nations. Tuition has become a sensitive political subject. College students and citizens hold a candlelit vigil to call for the government to halve tuition fees. Most students (and their families) who pay for tuition and other education costs don``t have enough savings to pay in full while they are in school. Some students must work and/or borrow money to afford an education. Developed countries have adopted a scheme for higher education to be supported by taxes rather than tuition. After World War II, an enhanced standard of living and the existence of free university education in many countries enabled more working-class youths to receive a degree, resulting in the inflation of education and enlarged middle classes. Significant progress is necessary in the Restructuring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higher Education shows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First of all, the major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87%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78% of university students and 96% of professional school students enrol in private institutions. As private institutions rely heavily on tuition revenue, their fees are relatively high. Even public universities in Korea charge substantial tuition, because government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 Korea is relatively small. Public financial expenditures on higher education as a percentage of GDP are very low at 0.3%. The net result is that, the household sector bears the bulk of the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The proportion of government subsidies was limited to 22.3%, much lower than the OECD average(68.9%). Partly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upply has started to exceed demand. In spite of outward goal i. e., Strengthe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olicy of Ministry of Educ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has focused on shutdown of private institutions.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 campaign to restructure universities by weeding out financially-week private schools and merging state-run ones. The government``s move to weed out underperforming schools is tied to its tuition-cut drive. Korea needs to reform the universities before reviewing ways to lower tuition. But the proper way of higher education reform should begin to subsidiz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government needs financial subsidy rather than weeding out substandard schools to upgrad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인권센터의 인권침해사건 심의기준 연구 - 징계권고 등 구제수단의 양정기준을 중심으로 -

        조성제 ( Cho Sung-j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1 No.1

        “인권”이란 「대한민국 헌법」 및 법률에서 보장하거나 대한민국이 가입·비준한 국제인권조약 및 국제관습법에서 인정하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자유와 권리(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 폭언·폭력·갑질을 당하지 않을 권리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대학은 당연히 헌법적 인권보장의 의무가 있는 교육기관이다. 교육기본법 역시 제12조 제1항에서 “학생의 기본적 인권은 학교교육의 과정에서 존중되고 보호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위계질서가 강한 조직이나 강자와 약자의 구도가 선명한 조직에서 인권침해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특히 교수와 학생이라는 권력관계가 존재하는 대학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리하여 대학내 인권센터 설치와 관련된 논의가 계속 있어 왔으며, 마침내 2021년 3월 23일 고등교육법 일부개정을 통해 대학 내 인권센터 설치를 의무화하였으며, 2022년 3월 24일부로 시행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인권침해행위에 대한 상담, 진정에 대한 조사 및 이와 관련된 시정권고 또는 의견표명, 학교 구성원의 인권에 관한 교육 및 홍보, 성희롱ㆍ성폭력 피해예방 및 대응, 그 밖에 학교 구성원의 인권 보호 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것이며, 대학 내 구성원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함으로써 인권친화적 대학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각 대학의 인권침해 사건을 검토하여 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및 관련 2차 가해, 갑질이라 칭하는 직장내 괴롭힘, 차별로 인한 인권침해· 자유권을 보장하지 않는 인권침해·폭력으로 인한 인권침해·교육권과 노동권을 보장하지 않는 인권침해·기타 비위행위 등으로 유형화된다. 이러한 인권침해는 공무원이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국민의 수임자로서의 직책을 맡아 수행해 나가기에 손색이 없는 인품에 걸맞게 본인은 물론 공직사회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실추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할 의무인 품위유지의무에 해당하고, 징계사유에 해당한다. 징계사유가 발생하면 반드시 징계의결요구를 하여야 하고 그 징계 의결의 결과에 따라 징계처분을 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징계의결의 요구는 기속행위이다. 그러므로 공무원법의 기본해석에 입각하여 “법령 및 학내 규정에서 정한 징계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징계권자에게 징계요청을 하여야 한다.”라는 규정으로 각 대학 인권센터의 규정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법에 근거하여 징계요청을 하여야 하는지는 구성원의 신분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국립대학교의 구성원은 교원, 직원, 조교 등으로 구별되며, 교원과 조교는 교육공무원에 해당한다. 직원은 일반직 공무원에 해당하는 직원과 대학회계직원으로 나뉘며, 독립법인인 산학협력단 자체 임용직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징계위원회의 독립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양정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성균관대의 성폭력사건 예방 및 처리에 관한 특별규정을 참고하여 학내 구성원 모두에게 적용되는 인권침해 사건의 심의기준을 마련하고 우선적용을 내용으로 하는 규정 개정도 고려해 봄직하다. The term human rights means dignity, values, freedom, and rights (including the right not to be subjected to discrimination, abuse, violence, or abuse) as a human being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or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customary international law. Universities are, of course,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obligated to guarantee constitutional human rights.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lso stipulates in Article 12 (1) that the basic human rights of students are respected and protected in the process of school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organizations with strong hierarchies or organizations with clear composition of the strong and weak, especially universities with power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us,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centers in universities have continued, and finally, on March 23, 2021,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centers in universities was mandatory through partial revision of the Higher Education Act, and it is in effect as of March 24, 2022. Through this, we will provide counseling on human rights violations, investigation of petition, and related recommendations or opinions, educa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of school members, prevention and respons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other necessary matters to protect and promote human rights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human rights-friendly university environment. It is categorized into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prostitution and related secondary abuse, workplace harassment,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discrimination,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violence,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do not guarantee educational and labor rights. This violation of human rights constitutes an obligation to maintain dignity, which is an obligation not to engage in acts that could undermine the public's trust in the public servic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in or out of their duties, and is a reason for disciplinary action. When a reason for disciplinary action occurs, a request for a disciplinary resolution must be made, and a disciplinary action must be tak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isciplinary resolution, but in this case, the request for a disciplinary resolution is a binding act. Therefore, based on the basic interpretation of the Public Officials Act, the provisions of each university's human rights center should be revised to the provisions of If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reason for disciplinary action prescribed by laws and regulations.“ Specifically, based on which law to request disciplinary action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member. Members of national universities are classified into teachers, employees, and assistants, and teachers and assistants are education officials. Employees are divided into employees corresponding to general public officials and university accounting employees, and are composed of employees appointed by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 an independent corporation. The disciplinary committee's independence is not impaired, and it is recommended to review human rights violations by referring to the special regulations on the prevention and handling of sexual violence cases by Sungkyunkwan Univers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