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quivalent Transformations of Undiscounted Non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es

        Park, Yunsun 한국경영과학회 1992 韓國經營科學會誌 Vol.17 No.2

        Even though non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es subsume 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es and are more practical in the real world, there are not many results for them.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non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 with objective to maximize average reward. By extending works of Ross [17]in the homogeneous case adopting the result of Bean and Smith [3] for the discounted deterministic problem, we first transform the original problem into the discounted non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 Then, secondly, we transform into the discounted deterministic problem. This approach not only show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problems but also attacks the solution method of the undiscounted non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

      • Average Optimality of Nonhomogeneous Markov Decision Processes

        Park, Yunsun 명지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1992 공학기술연구소 논문집 Vol.7 No.-

        본 논문은 비제차(Nonhomogeneous)마코프 의사결정과정(Markov Decision Process, MDP)의 목적함수가 평균이득을 최대화하고자 할때의 최적해 풀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마코프 의사결정 과정이 속해있는 무한 계획연한 최적한 문제들을 분리하고, 그중의 한 지류인 비제차 마코프 의사결정과정 문제를 ergodic coefficient를 이용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비제차 마코프 의사결정과정 문제를 동등한 다른 문제들(제차 마코프 의사결정 과정 혹은 할인률이 존재하는 비확률적 무한계획 연한문제)를 변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많은 해법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은 비제차 마코프 의사결정과정의 최적해를 변형된 문제를 동등한 변형된 문제들을 풀음으로써 용이하게 구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20대의 선호색 및 색채 이미지 조사 연구

        박연선(YunSun Park),송선아(SunA Song)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색이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인 감정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일반화되면서 특정한 것을 의미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색은 별도의 언어가 없어도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각언어이고, 사회규범으로써의 시각 언어이다. 특히 선호색은 교육환경, 주위 환경에서 오는 심리적 영향과 성격, 기질과 연관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선호색이 현대에 어떻게 변화되었고, 색채 이미지에 대한 언어적 표현이 실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기 위해 색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것에 가장 발빠른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KS산업규격에 따른 표준화된 155가지 색을 기본차트로 사용하여 샘플을 보여주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선호색 계열과 그에 따른 성격?성향별 분석을 하고, 선호 색채에 따라 연상되는 감성언어(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20대의 성별에 따른 선호색의 구분이 존재하였다. 전체적으로 20대는 남?여 모두 파란색을 선호하였으며, 남자의 경우는 파랑과 검정을, 여자는 경우 파랑 다음으로 빨강과 분홍을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20대의 성격유형별 선호색의 특징으로 주도형은 빨강을, 사교형은 파랑을, 안정형은 분홍을, 신중형은 파랑, 청록을 좋아한다고 분석되어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인식되는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와 DISC 성격 유형별로 분류되는 성향과의 일치성을 보였다. 셋째, 20대의 선호색과 선호톤의 경우 대다수가 생각하는 형용사 이미지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패턴과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난색 중 "노랑"의 경우 귀여운 이미지를, 갈색과 어두운톤의 경우 "고상한"을, 초록과 하양의 경우 "맑은"을, 무채색 톤은 "모던한"이미지를 선택하여 색에 대해 느끼는 일반적인 감성 이미지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는 것에 익숙한 20대들은 색 선호에 있어서 본인의 취향과 느낌을 가장 중요시하여 선택한다. 하지만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공통되는 색채의 연상적, 상징적 성질이 현대에도 반영되는 것으로 보아 주요 색채와 톤의 감성적 이미지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과 같은 다원화된 감성시대에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20대의 선호색을 확인하여 20대를 위한 심리적 활동이나 색채를 통한 심리 요법, 또는 상품 이미지 전략을 위한 마케팅 활동 등에 이용되어 감성 색채 정보의 데이터 기반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many people become socially generalized with common emotions, a color becomes symbolic of something specific. Even without separate language, a color is sensory language that can be understood in general and visual language as a social code. In particular, a preferred color is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 environment,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urroundings, personality, and disposition. To determine how generally preferred colors have changed and how verbal expressions of color image were used in practice, a survey was conducted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are most active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are sensitive to fashion and to analyze the preferred color groups by personality and disposition and determine emotional language (adjective image)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color.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in their twenties, preferred color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blood type but varied by gender. In general, both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preferred blue; the former preferred blue and black and the latter preferred blue, followed by red and pink. Second, in terms of personality type, the dominance type preferred red, the influence type blue, the steadiness type pink, and the conscientiousness type blue and bluish green; thus, the emotional image of colors commonly perceived by all the people generally agreed with dispositions classified by the DISC personality type. Third, there were certain patterns and correlation in preferred colors and tones since the majority of them had similar adjective images. Yellow among the warm colors was associated with the cute image, blue and dark tones with noble one, green and white with clear one, and achromatic tones with modern one;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mages of colors in general. Those in their twenties, who give the first priority to their own taste and feelings in preferring and selecting colors. However, there has been insignificant variation in emotional images of principal colors and tones, given that associative and symbolic properties of colors which have long been common are reflected these days. In this era of diversified emo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psychological activities, color-based psychotherapy, or marketing activities with product image strategies for those in their twenties, who are quick to respond, by identifying their preferred colors and to assist in building databases for information about emotional colors.

      • KCI등재

        Simulation of One-way Carsharing Systems : Operating Parameters and Relocation Policy Analysis

        SeJoon Park,Wooyeon Yu,Yunsun Park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9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2 No.3

        The concept of carsharing involves sharing a small number of reserved cars to be used individually by a larger number of people as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ng parameters of one-way carsharing systems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operating conditions that minimizes the lost sales rate. Five operating parameters are test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stations, the average number of vehicles per station, the rate of one-way trip, the average number of staffs per station, and the relocation policy. The performance of round-trip carsharing systems is also compared to that of one-way carsharing systems. A simulation model is developed and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operating parameter and level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number of vehicles per station is the most critical parameter. Other key finding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the appropriate relocation policy to one-way carsharing systems can allow more customers to rent vehicles than the traditional round-trip carsharing systems. Second, the appropriate relocation policy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average number of vehicles per st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lost sales rate. Third, the number of stations does not affect the lost sales rate. This study findings will provide tools to understand impact of the carsharing system parameters on the efficiency of the carsharing operations.

      • KCI등재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Ⅱ

        박연선(Park YunSun),신옥(Shin O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경관색채의 계획은 우리 생활주변의 색채를 점검하고 연구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고 지역색의 특징을 살리기 위한 분야이다. 경관색채계획을 위한 기본조사 대상물 중 토양은, 지역을 이루는 환경요소 중 가장 기본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다. 토양은 지역의 지질, 기후 및 생태환경을 나타내는 동시에 생활지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토양색 컬러팔레트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한국의 각 지역토양을 그룹으로 나누어 수집한 후 분석하여 지역색 이용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토양색의 추출은 전국을 10구역(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으로 나누어 각 지역별로 12개의 장소에서 토양을 임의로 채취하였다. 채취한 흙은 음지에서 풍건시킨 후 포스터물감을 이용하여 색채전공자가 토양색과 같게 조색하여 컬러칩을 만들고 이 칩을 측색하여 CIE L*a*b*값으로 분석하였다. 그 후 다시 먼셀로 전환한 색상, 명도, 채도값을 분석하였다. 각 지역의 토양색은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인접지역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행정도시 지역과 평야지역, 산간지역, 해안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행정도시의 토양색은 grayish YR계열로 외부로의 유입된 토양과 포장된 도로로 인하여 지역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토양색을 찾기는 어려웠다. 평야지대의 토양은 채도가 높은 YR계열로 나타났으며, 산간지대의 토양은 deep 톤(tone), 해안가에서 채취한 토양은 대부분 light한 Y계열로 나타났다. 토양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을 분석하고 좀 더 다양한 지역의 토양색의 지속적인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경관색채계획을 위한 기본 자료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Landscape color planning is a field that examines the color of life around us in order to create comfortable environment yet maintain local characteristics. Soil which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the landscape color planning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amongregional environmental factors. It represents not only local geology, climate and ecology but also the lives of people in the region.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defining a soil color palette to identify local color characteristics and aims to build a body of basic reference on the soil color of each region. By doing so, we divided the county into 10 regions (Seoul,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 Nam-do, Chungcheong Buk-do, Gyeongsang Nam-do, Gyeongsang Buk-do, Jeolla Nam-do, Jeolla Buk-do and Jeju Island) to obtain soil color. Twelve places in each region were randomly sampled and the collected samples were wind-dried in the shade. Based on the soil samples, color experts painted color chips with post paint to match them and measured the color of the chips to analyze results with CIE L*a*b* value and then re-converted with the Munsell code in hue, value and chroma Soil color of each region indicates little variation, but showed other features of each neighborhood which could be classified as local administrative area, the plains, mountainous area and coastal areas. The soil color of local administrative area is grayish YR type which shows lack of local identities due mainly to the inflow of their soil from outside of the region and the paved roads.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plains are high YR color group, the soil of the mountains shows deep tone and the soil of the coasts are mostly light Y color group. Continuous data collection in various regions and the analysis of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the color of the soil will help build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the landscape color planning.

      • KCI등재

        실버산업의 색채 디자인 활용을 위한 실버세대의 색채 선호도 연구

        박연선(Park Yunsun),손혜연(Son Hyeyu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1

        노인 인구는 우리나라 국가인구의 주요한 계층이 되어가고 있으며, 2003년 말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397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8.3%를 차지하며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2019년에는 노인인구가 14%를 넘는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이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는 선진국에서처럼 오랜 기간 점진적 대응시간을 주지 않고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으며, 이제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발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른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실버 마케팅이 형성하게 되면, 관련 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실버서비스가 확산되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산업의 색채 디자인을 조사·분석과 구체적 연구를 통하여 감성지향적인 고령자 층의 색채 선호도를 파악하고 배색을 제안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모든 분야에서 색채가 R/bV에 집중되어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한 분야별 특징적인 마케팅 전략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반면 색채 선호도는 R, rP, Y, B순으로 선호되었고 vv, pl, lt톤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었다. 미래의 최고성장산업으로 주목하고 있는 실버산업이 선진국에서는 복지 국가의 새로운 방향 전환과 더불어 크게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 독립된 주체로서 노년문화가 정착되는데 이 연구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aged population is becoming a major class of the national population in Korea. Currently as of the end of 2003, the population of elders aged over 65 is 3,970,000, occupying 8.3% of the whole population that has already entered into the aging society. Moreover, Korea is expected to be an aged society where the aged population occupies 14% in 2019, and to be a superaged society in 2026. The aging trend in Korea is problematic in that it progresses rapidly without giving enough time to cope with the problem as in developed countries. Furthermore, aging is becoming a social issue, going beyond the individual dimension. In this situation, if silver marketing is promoted with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silver services will be expanded at relevant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related industries will be activated.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lor designs in silver industries, and proposed color schemes based on the color preference of the aged class who are emotion?orient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color concentrated on R, bV in all areas, and area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in consideration of users’ taste were hardly found. On the contrary, color preference was high in order of R, rP, Y, B, and was distributed mainly in vv, pl, lt tones. Silver industries, which are spot lighted as future industries with the highest potential for growth, are developing rapidly with the government’s new directions toward a welfare state. In this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promote silver culture in Korea as an independent domain.

      • KCI등재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Ⅰ

        박연선(Park YunSun),신옥(Shin O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환경요소 중에서 토양은 그 지역의 자연환경인 기후, 지형, 생태계적 환경에 의해서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지역의 사회문화적인 관습과 지역전통, 건축기술과 같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서 특징을 가지게 된다. 토양은 지역색을 결정하는 요소들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 컬러팔레트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의 각 지역 토양을 그룹으로 나누어 수집한 후 조사 분석하여 지역색 이용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토양색의 추출은 전국을 6구역(서울?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으로 나누어 각 지역별로 20개의 장소에서 토양을 임의로 채취하였다. 채취한 흙을 일주일 동안 음지에서 풍건시킨 후 포스터물감을 이용하여 색채전공자가 토양색과 같게 조색하여 컬러칩을 만들고 이 컬러칩을 측색하여 CIE L*a*b*값으로 분석하였다. 각 지역의 토양색채를 분석한 결과 각 지역별 색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Y계열에서 R계열까지 색상이 분포하였고 대부분 YR계열에 포함되어 있었다. 각 지역의 색조는 흐린(sf), 탁한(dl) 색조에 대부분의 색채가 분포하였으며 이는 형용사 배색에서 내추럴(natural)에서 나타나는 색조와 유사한 색조를 보였다. 각 지역마다 토양색의 특성이 확연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여러 토지개발에 의해 자연토양 대신에 인공토양이 유입된 결과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자면 채취하는 토양의 주변 환경의 정보를 확보하고,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자연적인 토양을 채취하여야 한다. 토양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을 분석하고 보다 다양한 지역들의 토양을 채취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환경색채의 계획에 하나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oil, one of environmental components, differs regionally depending on climate, geography and ecology while characterized by other region-specific factors, including sociocultural customs, local traditions and architecture. Soil, meanwhile, determines the area"s local character along with many other factors.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defining a color palette to establish regional identity and aims to build a body of basic data on local character by classifying soil samples from each region of Korea and analyzing them. This study divided the country into six regions (Seoul·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 Gyeongsang, Jeolla, and Jeju Island) to obtain soil color. Twenty places in each region was randomly sampled, and the collected samples were wind-dried in the shade for a week. Color experts painted color chips with post color to match the color of the soil samples and then measured the color of the chips to analyze the results in terms of CIE L*a*b* value. The analysis indicates there is little regional variation in soil color and that the colors range from the Y type to the R type while most of them belong to the YR type. In each region, most of the colors fall under the "soft" (sf) and "dull" (dl) categories, which means the colors are similar with the ones described by the adjective "natural."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gional soil colors do not exhibit highly distinctive difference. The discovery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natural soil was replaced by artificial one due to frequent property developments. To solve the problem, it is imperative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regional environment from which soil is obtained and sample natural specimens that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An analysis of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soil color and regionally more diverse sampling would supply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 KCI등재

        최대 엔트로피 기법을 이용한 한국 연근해 고등어 최적 관리에 관한 연구

        박윤선 ( Yunsun Park ),권오상 ( Oh-sang Kwon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9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8 No.2

        고등어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어종 중 하나로 최근 기후변화, 해양 생태계 악화, 과잉 어획 등으로 인해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등어의 최적어획량, 자원량, 어획노력량 등을 최대 엔트로피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최대 엔트로피 추정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어 자원량은 1990년대 중반 최대로 증가하였다가 200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량 대비 어획량을 비교하면 1990년대 이전에는 28.5%, 1990년대 약 43.1%, 2000년 이후 36.3%로 추정되었다. 이는 1990년대 남획에 가까운 어획으로 고등어 자원량이 감소하였다가 정부의 수산 자원 관리 정책으로 인해 차츰 자원이 회복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가 추정한 사회적 최적 자원량이나 최대지속가능어획량과 비교하면 현재 자원 스톡은 이 두 기준치를 달성하지 못해 현재보다 더 강화된 어획량 관리제도가 필요함이 확인된다. Mackerel is one of the most widely consumed aquatic products in Korea. Concerns about the depletion of stocks have also arisen as the catch has decreas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mackerel stock and derive the optimal level of catch in Korea. We apply a generalized maximum entropy econometric method to estimate the mackerel growth function, which does not require the steady state assumption. We incorporate a bootstrapping approach to derive the significance levels of parameter estimates. We found that the average ratio of catch to the estimated total stock was less than 30% before the 1990s but exceeded 40% in the 1990s. After 2000, it dropped back to about 36%.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ackerel may have been over-fished in the 1990s, but the government regulations introduced in the 2000s alleviated over-fishing problems. Nevertheless, our dynamic optimization analysis suggests that the total allowable catch may need to be carefully controlled to achieve socially optimal management of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