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두와 서재 ― 팔봉과 회월의 해방 전후

        손유경 ( Son Youky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3

        이 글은 팔봉 김기진과 회월 박영희의 해방 전후 삶의 행적을 재구성하고, 가두와 서재에서 두 인물이 모색한 상이한 문화적 실천이 갖는 비평사·지성사적 의의를 밝히기 위해 쓰였다. 동지이자 라이벌이었던 팔봉과 회월의 문단사·문학사를 해방 이후 논의의 중심에 놓는 표준적 접근법에서 벗어나, 팔봉이 모르는 회월, 혹은 회월이 모르는 팔봉의 면면들을 새로이 조명함으로써, 향후 한국 문단과 지성계에서 발견되는 ‘문학-출판-잡지 권력’ 및 ‘非문단적 강단 비평’의 어떤 원형(原型, prototype)적 자질들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일제 시기부터 두드러졌던 팔봉 특유의 ‘거물 콤플렉스’가 해방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어떻게 굴절되었는지를 ‘애지사(愛智社)’ 경영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예술과 실업 사이에서 고뇌한 팔봉의 면모는 일제 시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일관되게 관찰되는 것인데, 가용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을 모두 동원해 문화 사업가로 우뚝 서려는 것은 팔봉 개인의 욕망이자 현대 한국 주류 문단인의 특징이기도 한 것이다. 다른 한편 일제 시기부터 꾸준히 非문단적 문학과 학술적 비평의 길을 강조해왔던 회월의 ‘상아탑 콤플렉스’는 서재에서 해방을 맞이한 그로 하여금 치열하게 글쓰기 작업에 몰두하게 하여, 회월은 1947년 『문학의 이론과 실제』라는 문학이론서를 발간한다. 『문학의 이론과 실제』는, 전향 선언문으로 널리 알려진 「최근 문예이론의 신전개와 그 경향」(1934)에 담긴 핵심 내용을 확장·체계화한 이론서이나, 이 책으로 필화를 입은 회월은 급격히 위축되고 이후 문단과 학계, 출판계에서 한층 멀어진다. 문학에 대한 미학적 탐구라는 회월의 일관된 학술적 지향이 그의 친일 행위를 합리화할 수는 없지만, 그의 뿌리 깊은 상아탑 콤플렉스마저 전향과 친일이라는 해석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게 한다면 우리 비평사에 남은 미학이론의 유산은 영영 소실되고 말지 모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tructure the activities of ‘Palbong’ Kim Gi-jin and ‘Hoiwol’ Park Yeong-hui after libe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t cultural practices sought by the two individuals on the street and in the library in terms of the history of criticism and the history of intelligence. The literature history written by Palbong and Hoiwol, who were both companions and rivals to each other, used to be handled by the standard approach in which their writings wer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ost-liberation discussion. Breaking free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this article highlights the aspects of Palbong that were unknown to Hoiwol and those of Hoiwol that were unknown to Palbong in order to derive the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publishing-magazine power’ and the ‘academic criticism free from the literary community’ that were later found in the literary and intellectual circles in Korea. Firstly, Palbong’s unique ‘tycoon complex,’ which stood out from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re- viewed, focusing on his episodes related to his business management of Aejisa, a publishing company, to show how the complex was distorted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Korean War. Palbong’s agony between art and business was consistently observed from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liberation period. The aspiration to stand out as a cultural businessman by using all availab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s not only Palbong’s personal desire but also a feature of the modern mainstream literary circle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ivory tower complex’ of Hoiwol, who steadily emphasized the academic criticism free from the literary coterie made him be immersed in intensive writing work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even to the point of publishing a book devoted to literature theory, entitled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ture in 1947.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ture was a theoretical book that expanded and systemized the essential contents of “New Development and Trend of Recent Literature Theory” (1934), which is known as his declaration of conversion. Being indicted for the publication of the book, Hoiwol was drastically intimidated and withdrew himself farther from the literary, academic and publishing communities. Hoiwol’s consistent academic pursuit of aesthetic exploration of literature may not justify his pro-Japanese activities. However, if his deep-rooted ivory tower complex is left to sink into the black hole of interpretation based on the conversion and the pro-Japanese activities, his heritage of aesthetic theory may be permanently taken away from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 KCI등재

        팔봉의 '형식'에서 임화의 '형상'으로

        손유경(Son You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카프 비평의 내적 일관성이라는 비평사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 팔봉과 임화의 비평 담론을 교차시켜 고찰한 시론(試論)적인 글이다. 새로운 텍스트와 콘텍스트 발굴에 힘입어, 이 글은 대중화논쟁 이후 만난 적이 없다고 이해되어 온 팔봉과 임화가 '다시 만나는' 장면들을 재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두 비평가가 시차를 두고 공명하는 양상을 재구성한다. 팔봉과 임화가 앞선 텍스트의 문제의식을 이어받아 그것을 생산적으로 변주하는 과정을 연속성의 관점에 입각해 살펴보면, 팔봉을 단지 '문학주의자'로 규정하는 데는 많은 난점이 따르게 됨을 알 수 있다. 우선 예술적 실천을 통한 프롤레타리아 고유의 감성과 심리 형성을 주창한 러시아의 <프롤레트쿨트> 운동은 팔봉의 초기 비평 화두인 '감각의 변혁론'이 어디에 닿아 있는 것인지를 새로이 究明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후 내용형식논쟁과 대중화논쟁 등을 거치면서 팔봉은 <프롤레트쿨트>의 볼셰비키 좌파 노선과 부르주아 문화계승론을 핵심으로 하는 레닌이즘을 오가며, 때로는 정연하지만 때로는 모순된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문학주의냐 정치주의냐가 아니라 레닌을 어떻게 전유하느냐가 팔봉과 회월 혹은 팔봉과 임화의 사유를 節合하는 비평적 고리였던 것이다. 1934년을 전후한 시점에 이르러 임화는 내용형식논쟁 당시에 제기되었던 팔봉의 형식론을 복기라도 하듯이 '문학은 추상적 논리에 의한 기록이 아니라 생생한 생활의 구체적 형상'을 의미한다는 신념을 피력하면서 형상론을 개진해나간다. 팔봉은 팔봉대로 임화의 형상론이 자신의 형식론의 계승자임을 공공연히 천명하였고, 임화는 임화 나름대로 팔봉을 당대의 일급 비평가로 상찬하며 열정적으로 형상의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한다. 카프 해산이라는 위기의 상황에서 많은 문인들이 카프의 조직론에 열을 올리고 있을 때 특이하게도 임화는 조직론 대신 문학(본질)론과 형상론으로써 난국을 돌파하려 했다. 마침내 임화는 결성에서 해체에 이르기까지의 카프가 오랜 기간 고민해 왔던 도식주의의 문제를 형상론을 통해 일단락 짓는데, 형상 자체가 예술가의 의식 형태와 수준을 말해주는 것이라면 프로문학에 결핍되었던 것은 다름 아닌 마르크스주의 이념 자체였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었다. 결론적으로 보아, 팔봉이 진정으로 우리 문학사의 '씨 뿌리는 사람'이었다면 1930년대 후반 임화의 비평이 그 씨앗 하나를 보여준 셈이다. 형상으로 개화한 형식의 씨앗 말이다. This paper examines Kim, Kijin and Im, Hwa's critical writings as exemplary texts that shed a new light on the issue of inner consistency in Korean proletarian literary criticism. Based on newly discovered literary text and contexts, I will illuminate how and why Kim and Im 'rejoined' before and after the 'debate on art popularization.' Russian 'Proletcult' movement as well as Lenin's theory of bourgeois culture played a vital role in shaping and transforming Kim's literary position. It was various ways how to appropriate Lenin that articulated the critical viewpoints of Kim, Kijin, Pak, Yônghee and Im, Hwa. In the late 1930's, Im set out to develop literary criticism focusing on the notion of literary 'figure' resonating with Kim's notion of literary 'form'. Im strived to investigate the real meaning of 'literature' instead of arguing the systematic problem of KAPF. According to Im, literary figure is a key to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the writers' ideology and aesthetics. Im concluded that what 'we[KAPF]' must have more of in order to overcome 'literary mechanism' is Marxism itself.

      • KCI등재

        초월과 매몰 : 춘원과 회월의 납북 전야

        손유경(Son, Youkyung)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이 글은 동우회와 카프를 각각 이끌었던 이광수와 박영희가 투옥이라는 공통의 경험을 서사화하는 서로 다른 방식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1947년의 필화 사건 이후 두 인물이 해방기 출판·문화계에 남긴 상반된 행적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씌었다. 자신들의 감옥 체험을 바탕으로 자전적 소설 「무명」(1939)과 「독방」(1935)을 집필한 춘원과 회월은 해방기에 함께 필화를 겪지만 춘원은 별다른 타격을 입지 않고 남한 출판계를 석권하다시피 했으나, 회월은 납북되어 실종될 때까지 매우 고립된 삶을 살게 된다. 박영희의 「독방」 서사의 핵심은 “어머니의 정신 전체가 뭉쳐진 성서”라는 표현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어머니의 정신’은 희생적 모성애나 뜨거운 신앙심, 혹은 아늑한 방이 아니라 이지적 언행이나 학자적 자세, 정결한 서재 이미지로 표상되며, ‘나’의 이러한 학자적 정체성은 전향이나 친일로 회수되지 않는 박영희 고유의 내면을 드러내면서 문학에 대한 미학적 이해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구한 그의 마지막 저서 『문학의 이론과 실제』(1947)의 탄생을 예견한다. 납북 직전까지 문단사·문학사를 제외한 어떠한 개인적 기록도 남기지 않은 박영희는 부끄러움에 매몰된 채 자신의 특기인 이론적 탐구에 몰두한다. 반면, ‘영혼=나 vs. 육체=타자’의 이분법적 구도가 뚜렷이 드러나는 이광수의 「무명」에서는, 멀리서 들려오는 목탁 소리와 흡사한 ‘나’의 목소리가 회월 식의 인간적 진실을 무화시키는 초월적 진리로 군림한다. 개인적 증오나 원한으로부터 자유로운, 신(神)인 체하는 자의 이러한 비-인간적 목소리는 이광수의 『나의 고백』(1948)에서 그대로 반복된다. 이광수는 분별심에서 벗어나라는 불교의 가르침을 무차별적 화해 종용의 수단으로 삼는 전도된 논리를 펴지만, 친일파의 내면을 궁금해 하는 대중과 이광수의 상품성을 포기하지 못한 출판인들의 위대한 ‘화합’ 덕분에 그의 책은 신나게 팔려나갈 수 있었다. 부끄러움을 초월해버린 이광수와 부끄러움에 매몰된 박영희를 마주 세워 거울에 비친 두 사람의 이미지를 관찰함으로써, 본고는 전향-친일-납북이라는 교집합 바깥에 자리한 각각의 차집합을 적극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의 중요성을 새삼 환기하고자 했다. 적어도 전향-친일-납북이라는 개인과 공동체의 커다란 비극을 ‘무차별적’으로 사유해서는 안 되겠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fferent narrative styles of Yi Kwang-su and Park Young-hee, who were leaders of Donguhoe and KAPF respectively, in sharing their common experience of imprisonment, and examines their contrasting significance in publishing and literary circl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came after the 1947 writing indictment incident.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prison, Yi Kwang-su wrote the autobiographical novel Mumyeong (Absence of Light) (1939), and Park Young-hee wrote Dokbang (Solitary Confinement) (1935). The two writers were involved in writing indictment inciden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Yi Kwang-su was hardly affected and enjoyed huge success in South Korea, but Park Young-hee led a life of isolation up to his abduction. The gist of Park Young-hee’s Dokbang (Solitary Confinement) can be found in the expression “scriptures embodying the mother’s spirit.” Here, “mother’s spirit” refers to intellectual words and actions or scholarly attitudes, not sacrificial maternal love or passionate faith. The associated image is one of a clean study, not a cozy room. The scholarly identity of “I” reveals Park Young-hee’s inner sentiments that were not captured in his conversion or pro-Japanese stance. At the same time, it hints at the birth of his last book,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ture (1947), which theoretically explores the aesthetical understanding of literature. Park Young-hee did not leave any personal records up to his abduction, and dedicated himself to theoretical inquiry while submitting to shame. On the other hand, Yi Kwang-su’s Mumyeong (Absence of Light) revolves around the dichotomy of ‘soul = I vs. body = other’. The voice of “I,” similar to the distant sound of the wooden fish, becomes a transcending truth. The godly, non-human voice that is free of hatred and resentment is repeated in Yi Kwang-su’s Naui Gobaek (My Confession). Yi Kwang-su relied on Buddhist teachings to induce indiscriminative reconciliation, and saw a boost in book sales thanks to the harmony between the public, who were curios of the pro-Japanese perspective, and publishers, who were reluctant to give up on the author’s marketability. This article observed the contrasting images of the two writers, focusing on Yi Kwang-su’s transcendence of shame and Park Young-hee’s submission to shame.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xamining differences lying outside the intersection of conversion, pro-Japanese, and abduction, which constitute the huge tragedy impacting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at the very least, should not be approached indiscriminately.

      • KCI등재

        김우창 초기 비평의 ‘미니마 모랄리아’

        손유경(Son, Youkyung)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34 No.-

        본고는 ‘궁핍한 시대의 비평가’ 김우창을 한국 현대 비평사에 새로이 자리매김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1970-80년대에 씌어진 김우창 초기 비평의 문제성과 현재성을 구명해 본 것이다. 그의 초기 비평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근본주제들이 상이한 맥락에서 변주되는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그의 사유를 도달점이 아닌 경유지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데에 본고의 주안점이 놓여 있다. 한용운, 조세희, 김수영, 피천득 등의 문학에서 아도르노 식의 ‘최소한의 윤리(미니마 모랄리아)’와 양심을 발견해 낸 김우창은, 문학의 현실참여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도 시인과 작가 특유의 유토피아적 충동을 논의의 지렛대로 삼는다. 그가 보기에 소박한 참여론의 가장 큰 문제는 인간의 파토스에 대한 이해를 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움직이는 진리를 향한 인간의 접근을 가능케 하는 것 역시 우리 ‘안’의 파토스다. 본고의 이러한 작업이 문학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강하게 지닌 해방 후 강단비평가들의 비평적 자의식이라는 비평사적 물음에 대한 해답 찾기의 첫 걸음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atic and contemporary nature of the early criticism by Woochang Kim, known as the critic in ‘a destitute time’, as an attempt to re-establish his status within the record books of literary criticism in Korea. Unlike past research that narrowed itself on only Kim’s vast range of expertise in the humanities into a few broad categories for systematic analysis, this paper focuses on tracing the rationale behind his thoughts based on a review of how fundamental themes which appear repeatedly in his early criticism shift in different contexts. Kim discovered the hidden utopian core and “minima moralia” beneath the veil of negativity or rage in works by Yong-un Han, Se-hui Cho, Su-young Kim, and Cheon-deuk Pi. Scholarly intuition is comparable with artistic impulse in Kim’s discussions of truth. According to Kim, truth is a phenomenon of pathos as much as it is a phenomenon of logos.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ritical self-consciousness of academic critics with a strong sense of identity as literary educators.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전위’가 된다는 것 (1)

        손유경(Youkyung Son)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1930년대는 ‘전위(前衛)’에 대한 대중적 상상력이 확대된 시기로,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는 문학ㆍ예술가들의 고민과 실천은 ‘다다이즘에서 카프에로의 길’이라는 기왕의 접근법과는 조금 다른 각도에서 새롭게 고찰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흔히 구별해서 부르는 예술적 전위와 정치적 전위되기의 길은, 적어도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들에게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궁극적으로 서로 통할 수밖에 없는 동일한 유토피아적 충동의 소산이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은 카프가 지향한 정치적 전위되기와 구인회가 지향한 예술적 전위되기의 모델이, 가시적 분화 이전뿐 아니라 그 이후에도 끊임없이 상호 침투할 수밖에 없었다는 가설에 따라 쓰였다. 이 글에서는 우선 조직 만능주의자’로 알려진 김남천 특유의 정치적 전위되기의 길과 예술적 전위되기의 길이, 시간적 선후 관계나 양자택일적 물음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의 출발점이자 종착지인 상태로 존재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기존의 문학사에는 마르크스주의 문예운동가들의 독서가ㆍ사색가로서의 면모라든지 이들의 도시 체험 및 모던한 감각 등을 해석할 만한 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이 글에서는 김남천으로 대변되는 카프 진영의 문학ㆍ예술가들이 자본주의화한 근대 경성을 순례하며 ‘세속의 계시’를 체험하고 기록한 양상을 고찰했다. 김남천의 「문예구락부」(1934)와 그의 산문 「歸路」(1935), 「얼마나 자랏슬가 내 고향의 ‘라이락’」(1935), 「街路」(1938) 등에 등장하는 몽상가와 순례자는 벤야민이 말한바 ‘세속의 계시’를 받은 ‘깨어난 자’들로, 이들은 ‘반노동의 시간과 비화폐의 형태’를 향한 유토피아적 갈망을 유감없이 드러낸다. 중요한 것은, 창작의 공백기를 메우고 있는 김남천의 산문들과 그 이후에 발표된 일련의 소설 및 비평에, 박태원의 문학적 성취에 대한 김남천의 숨길 수 없는 오마주가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김남천이, 박태원이 즐겨 묘사한 후미진 경성 골목에서 일본의 초현실주의 미술운동그룹 ‘三科’의 다다풍 회화를 상기하는 대목은 특기할 만하다. 김남천과 박태원이 1930년대 평양이나 경성의 어두운 이면을 들춘 것이 식민지 현실을 고발하거나 폭로하려는 정치적 결단의 소치가 아니라 다분히 초현실주의적인 감각에 기반을 둔 미학적 반응의 결과였다고 한들 그들을 비난해야 할 이유는 없다. 이들이 체험한 ‘세속적 계시’에 주목한다면 그야말로 뜬금없이 주인공의 ‘정치적 각성’ 여부를 놓고 작품의 성패를 논하는 관습적 독해에서 벗어나는 길이 열릴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what it means to be an ‘avant-garde’ in the Colonial Korea. For many artists with utopian vision of the future in the colonized Korea, to become a political avant-garde and to become an artistic avant-garde was considered as a ‘Mobius strip’ in which those two movements eventually share the same direct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looks into Kim Nam-Cheon’s writings in the 1930’s under the context of Park Tae-Won’s artistic practices. Most previous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have not noted that ‘profane Erleuchtung’ mainly connected with the writers’ dreaming an idealistic situation, reading books, and walking along the street in colonial Seoul played a prominent role in both ‘modernist’ writers and many ‘socialist’ writers including Kim Nam-Cheon. By investigating what it means to be an ‘avant-garde’ in the Colonial Korea with a new perspective, this paper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complex interdependence of modernism and realism on each other.

      • KCI등재

        혁명과 문장

        손유경 ( Son Youkyung ) 민족문학사학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3 No.-

        이 글은 명문(名文)과 혁명(가)의 관계를 사유하는 최인훈의 독특한 관점을 『화두』 (1994)의 문장론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조명희와 이태준의 텍스트를 새롭게 독해한 것이다. 『화두』의 지적 오디세이는 아름다운 문장과 비참한 현실의 간극에서 괴로워하는 지식인이 아니라, 역사와 운명에 대한 `치명적 예언`을 수행하는 명문을 무한히 신뢰하고 아끼는 예술가의 정신을 담은 텍스트이다. 『화두』 후반부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진 주인공의 러시아 여행에서 `나`로 하여금 다시 글을 쓰게 만든 것은 다름 아닌 죽은 레닌이었음이 밝혀지는데, `나`에게 레닌은 “레닌의 높이에까지” 올라갔던 출중한 저술가이자 탁월한 혁명가였다. (2장) 명문에 대한 `나`의 이러한 심미적 감동과 믿음은 사실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1927)에서 비롯된 것인데, 『화두』 주인공의 관점을 따라 다시 읽는 「낙동강」의 핵심은 `농이 참 된다`는 주인공 박성운의 대사에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과연 농(말)은 참(현실)이 되어 박성운의 애인 `로사`는 북행 열차를 타게 되고, 자기가 창조한 문장의 주술에 걸린 작가 조명희는 러시아로 망명하게 된다. (3장) 명문에 대한 『화두』 주인공의 심미적 취향은 이태준의 단편소설에 대한 깊은 공감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이태준의 『소련기행』은 그 소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화두』에서 단 한 번 언급된 것으로 그친다. 중요한 것은 이 텍스트에서 `조명희 찾기`라는 이태준의 알리바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인데, 조명희의 행적을 묻는 장면들에서 포착되는 것은 사실을 알고 싶은 욕망이 아니라 알게 될 것에 대한 두려움이다. 요컨대 「낙동강」이 `농(말)이 참(현실) 되는` 명문의 세계였다면 『소련기행』은 현실이 말을 집어삼키는 황량한 문장의 세계였다고 할 수 있다. (4장) This paper newly reconstructs the works of Cho Myunghee and Yi Tae Jun, based on the writing style displayed in Choi In-hun`s novel Hwadoo (1994), through which Choi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great writings and revolutions (or revolutionaries). The intellectual odyssey in Hwadoo is not of an intellectual who suffers from the gap between beautiful prose and the grim reality. Rather, the text reflects the thoughts of an artist who has infinite trust and appreciation towards great writings, which serve as the “fatal prophecy” on history and destiny. In the protagonist`s trip to Russia,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e latter part of Hwadoo, what motivated “I” to write again was none other than the late Lenin; it is revealed in the passage that to “I,” Lenin was a great writer and an outstanding revolutionary who “reached the level of Lenin” (Chapter 2). “I`s” aesthetic impression and belief in great writings is in fact based on Cho Myung-hee`s (pen named Poseok) short story “Nakdong River” (1927).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a rereading of “Nakdong River” should be focused on the protagonist Park Seong-un`s comment that “A joke can become reality.” Jokes (words) become true (real) indeed as Park Seong-un`s lover “Rosa” takes the northbound train and the novelist Cho Myung-hee, bewitched by his own sentences, defects to Russia (Chapter 3). The aesthetic taste of Hwadoo`s protagonist on great writings can also be found in his heartfelt appreciation of the short story by Yi Tae Jun. Yi`s Accounts of the Visit to the USSR, however, was only mentioned once in Hwadoo,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The important issue is how Yi`s alibi of “searching for Cho Myung-hee” could be interpreted. What can be sensed in the passage where Yi asks for Cho`s whereabouts is not the urge for knowledge but actually the fear of knowing. In conclusion, if “Nakdong River” represented the world of great writings where “a joke (words) become true (real),” the Accounts of the Visit to the USSR portrays a world of dreary writings where reality devours writings (Chapter 4).

      • KCI등재

        무의식적 갈등을 놀이에서 공격성으로 표현하는 아동의 정신분석 놀이치료 사례연구

        석미선(Misun Suck),손유경(Youkyung Son)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긴장과 불안이 높고, 지나친 통제욕구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잦은 갈등이 발생하는 문제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연구이다. 내담 아동은 사랑과 관심을 갈망하며 관계를 맺고자 하는 소망과 대상에게 통제받고 요구 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사이에서 무의식적으로 갈등하고 있었으며, 이 갈등은 아동에게 긴장과 불안을 불러일으키고 있었다. 이것은 생애 초기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대상과의 분리 경험과 양육자로부터의 공감적 돌봄의 결핍이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사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충분히 공감적인 자기대상을 새롭게 경험하는 것을 통해 응집력 있는 자기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치료 목표로 정신분석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사례에서는 아동이 무의식적 갈등을 놀이 안에서 공격성의 형태로 반복적으로 드러내며 그 갈등을 해결해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치료사와 아동이 맺어가는 새로운 대상관계가 어떻게 치료적으로 작용하였는지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play therapy for a child with high tension and anxiety, who is suffering from frequent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used by excessive need for control. The child client had a desire for being loved, receiving attentions and making a relationship. However, he was unconsciously conflicting between the desire and a fear of being controlled and demanded by others, which causes him to have high levels of tension and anxiety. Therefore, a psychoanalytic play therapy was conducted with a treatment goal for the child to form a cohesive self-structure by forming a safe and reliabl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and newly experiencing a sufficiently sympathetic self-object. This case shows a process of resolving the unconscious conflicts repeatedly revealed by the child in an aggressive form in play, and how a new obj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hild worked therapeutically in th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