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 경제주체 모형을 통한 한국의 경기변동 고찰

        정용승 ( Yongseung Jung ) 한국경제학회 2022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8 No.1

        본 논문에서는 in Galí and Monacelli (2005)의 대표적 경제주체 소규모 개방경제 새 케인지언 모형에 일부 가계부문이 금융시장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제약을 도입한 2 경제주체 새 케인지언 소규모개방경제모형을 이용하여 1970년대중반이후 한국의 경기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최우추정법을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가계부문중 금융시장참여 제약을 받는 가계부문은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금융시장참여 제약을 받는 가계부문이 한국의 경기변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변동상의 산출물 움직임에 있어서 해외 실물충격은 그 비중이 점차 줄어든 반면, 국내 실물충격의 비중은 증대하였다. 통화정책은 경제개발시대에는 성장에 필요한 자금공급을 위해 상당히 완만히 운영되었으나 외환위기이후 물가안정목표제 채택과 함께 물가안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경기변동상에서 통화정책 충격의 역할은 보다 제한적으로 바뀌었다. This paper extends the small open new Keynesian model in Galí and Monacelli (2005) by incorporating financial frictions with constrained households into the model to explore the sources of business cycles in Korea since the mid-1970s. The estimated model via maximum likelihood shows a substantial fraction of constrained households whose variation plays a pivotal role over business cycles in Korea. The contribution of the foreign productivity shock to the fluctuation of output has decreased over time, whil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omestic factor in business cycles in Korea has increased. The monetary policy, which has been very loose to accommodate the high demand for liquidity during a high economic growth era, became proactive in controlling inflation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as the Bank of Korea adopted the inflation targeting rule in 1998.

      • KCI등재

        유동성제약을 고려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 분석

        정용승 ( Yongseung Jung ),김영일 ( Youngil Kim ),김광환(논평),이항용(논평)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19 韓國經濟의 分析 Vol.25 No.2

        본 연구는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성제약에 따른 가구별 소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의 2 경제주체모형을 설정하여 경기변동 관점에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을 살펴보았다. 2000~2016년 기간의 노동패널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유동성자산이 부족한 유동성제약 가구의 비중(20~40%)이 적지 않으며, 이들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추정되었다. 특히 경기하강기에는 유동성제약이 큰 가구의 소비증가율이 비제약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또한 노동패널을 이용해 분석한 우리나라의 유동성제약 가구와 비제약 가구간 소비 갭은 2000년대 이후에 경기역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유동성제약 가구의 소비행태가 우리 경제의 소비 변동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DSGE모형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기존 케인지언들이 강조하는 Keynesian cross 함수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변형된 2 경제주체모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비 변동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항구적 기술충격을 도입한 대표적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과 2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 모두 빈도공간(frequency domain)에서 표현한 소비증가율의 스펙트럼은 실제자료에서 나타나는 소비증가율의 ‘L’자형 특징을 설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Watson (1993)의 RMSAE측면에서는 유동성 제약을 도입한 2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이 대표적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보다는 다소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시경제모형의 개선과 더불어 경기대응정책 및 경제의 복원력(resilience) 강화를 위해 가계부문의 유동성제약이 갖는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consumption by liquidity constraints using KLIPS data, and builds up a simple two-agent economic model to to examine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gap. According to analysis of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00 to 2016, the proportion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liquid assets (20~40%) was sizable while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of these households was estimated to be high. Especially in economic downturns, the consumption growth rate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constrained. In addition, the consumption gap between households with liquidity-constraints and without the constraints showed a counter-cyclical pattern in the sample period. This suggests that consumption behavior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consumption volatility of the economy. Next, we examine the consumption fluctuations of Korea through the two-agent economic mode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SGE model which is modified to incorporate the Keynesian cross function emphasized by the Keynesi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both the representative-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with the persistent technology shock and the two-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could not explain the L-shape characteristic of consumption growth rate data in terms of the spectrum of consumption growth rate expressed in the frequency domain. However, in terms of the RMSAE of Watson (1993), the two-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with liquidity constraints is somewhat superior to the representative-agent small open economy business cycl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iquidity constraints of the household s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acroeconomic models as well a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the economy and macro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 KCI등재

        부채의 디레버리징과 경기변동

        강두룡 ( Doo Yong Kang ),정용승 ( Yongseung Jung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8 국제경제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기업 및 가계부문이 부동산 담보로 대출을 받는 대출제약식을 표준적 새 케인지안 모형에 도입하여 부동산담보 비율의 변화에 따른 경제주체들의 디레버리징 효과를 살펴보았다. 재화 및 금융시장마찰이 존재하는 경제환경하에서는 통화정책당국이 정책금리를 결정할 때 통상적으로 고려하는 산출물과 물가변동이외에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고려하는 것보다는 금융감독 정책당국이 가계 및 기업의 부동산 담보 대출비율을 강화하는 것이 다양한 외부 충격발생시 경제주체들의 부채 조정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화정책당국이 정책금리를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과도하게 조정할 경우 실물경제에 부담이 될 수도 있어 부동산 시장안정화를 고려하여 금리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보다 점진적인 금리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shows that debt/GDP ratio and housing price are closely related to GDP over 2002 to 2016 in Korea. To addresses the effect of debt deleveraging on the economy, this sets up a canonical New Keynesian model with 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households as well as constrained firms. It shows that the adjustment of the economy to exogenous shocks such as housing price decrease critically depends on the monetary policy rule. If the monetary authority responds to housing price fluctuations, it can stabilize the real estate sector. However, it can do harm to the economy in that it also results in unnecessary swings of the economy. The paper also shows that an economy with lower LTV ratio has less difficulty in the debt deleveraging process than an economy with higher LTV ratio.

      • KCI등재

        Spectral Analysis of the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Wooheon Rhee(이우헌),Yongseung Jung(정용승) 한국계량경제학회 2010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1 No.3

        We examine whether a new Keynesian DSGE model can generate yields that match the spectral properties of the actual yields. For this purpose, we consider two competing specifications for utility in a DSGE model: habit formation and recursive utility. We find that the yields generated from the DSGE model with either specification for utility can match the spectral properties of the actual yields reasonably well. However, it seems fair to say that each specification has some individual disadvantages. In the case of habit formation, we need very persistent and large shocks to explain the time-varying term premia. The DSGE models with recursive utility are not free of problems, either. They have difficulty in generating either a sufficient yield curve slope or positiv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nominal interest rates (spreads) and output.

      • KCI등재

        2 경제주체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경기변동 분석

        金潤基 ( Yoon-gee Kim ),鄭溶承 ( Yongseung Jung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0 국제경제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DSGE모형의 기본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소비에 있어서 Keynesian cross 함수의 특징이 반영될 수 있도록 변형된 2 경제주체모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경기 변동을 살펴보았다. 단순한 형태의 2 경제주체모형을 설정하여 경기변동 관점에서 2 경제주체간의 이동을 고려한 모형과 2 경제주체간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의 설명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외환위기 이전과는 달리 외환위기 이후후에는 유동성 제약을 받는 집단과 유동성 제약을 받지 않는 집단간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는 모형이 두 집단간의 이동을 고려한 모형보다 Watson(1993)의 RMSAE측면에서 다소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계층간 이동에 대한 제한적인 연구결과인 본 연구의 시사점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이질적 경제모형구축을 통한 경기변동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sets up a two agent small open economy model with Keynesian cross consumption function to address business cycles in Korea. Employing Watson’s RMSAE and spectrum analysis, it explores the role of financial market frictions over business cycles in Korea. The paper shows that a two agent model without any transition between unconstrained households and constrained households is partially better than a two agent model with transition between 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households in explaining the stylized facts of business cycles in Korea. It is desirable to address the role of financial market frictions and heterogeneity in households over the business cycle in Korea by setting up a full-fledged heterogenous agent model.

      • KCI등재

        해외충격과 최적 테일러준칙

        이만종(Manjong Lee),이우헌(Wooheon Rhee),정용승(Yongseung Ju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09 한국경제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BOKDSGE모형을 이용하여 해외물가 충격 또는 외환시장 충격이 발생할 경우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사회후생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물가 충격 또는 외환시장 충격이 발생할 때 사회후생을 극대화하는 테일러준칙의 이자율 평활화 계수, 인플레이션 갭에 대한 반응계수, 생산 갭에 대한 반응계수를 모형이 수렴하는 구간에서 grid-search 방법을 이용하여 찾아보았다. 분석결과 우리 경제의 경우 해외물가 충격이나 외환시장 충격이 발생할 때 최적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 목표제도 아니고 실질이자율 목표제도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은행은 해외물가 충격이나 외환시장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인플레이션과 생산의 변화에 모두 소극적으로 반응하되 인플레이션에 대한 반응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의 크기가 커지거나 지속성이 높아질 경우에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지만 인플레이션 갭 및 생산 갭에 대한 반응계수가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는 않았다. 해외물가 충격 및 외환시장 충격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충격의 크기가 커지거나 그 지속성이 커지면 인플레이션 갭에 대한 반응계수는 커졌으나 생산 갭에 대한 반응계수는 특별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optimal monetary policy response to foreign shocks such as foreign price and foreign exchange rate shocks using the BOKDSGE model. We do grid search in order to find the Taylor-rule coefficients for inflation gap, output gap and interest-rate smoothing, which maximize a social welfare.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ⅰ) For our economy, optimal policy response to foreign shocks is neither inflation targeting nor real-interest targeting. It turns out to be optimal for the central bank to respond passively in general to the change in both inflation and output due to foreign shocks, but more actively to the change in inflation compared to that in output. (ⅱ) Any regularity in the change of output-gap or inflation-gap coefficient with magnitude or persistence of foreign-price or exchange-rate shock is not observed. (ⅲ) When foreign-price and exchange-rate shocks occur simultaneously, the coefficient of inflation gap increases with magnitude or persistence of foreign shocks, but there is no regularity in the change of output-gap co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