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OPTIMAL DYNAMIC SOLUTION OF A FIRM FOR COST REDUCING INVESTMENT

        Taikoo Chang,Wonzoe Shin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06 한국로고스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A firm reduces cost through investing effort and financial resources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This conduct will eventually influence on the welfare of consumer through lowering the price of product firm sells. Industry structure will also be reshaped by the firm's efficiency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trace the dynamic time path from the firm's decision making process by utilizing optimal control theory when it tries to reduce its production cost. Thus we can see the impact level of cost reducing effort on dynamic time path with different parameter values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y that firm belongs to. This analysis will provide intuitive industry information for both incumbent and entering firms. The information about specific industry could also be used for policy-maker who tr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dustry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and to maximize welfare of consumer.

      • THE KNOWLEDGE DIFFUSION PROCES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S

        Chang, Taikoo,Shin, Wonzoe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2 경제경영연구 Vol.1 No.2

        개발도상국에서는 산업화 과정은 곧 지식확산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또 산업화 과정은 제조업이 GDP에 대비해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산업화의 과정에서 지식확산 과정을 GDP에 대한 제조업이 차지하는 총부가가치액(total value-added)의 비율로 측정할 수 있다고 보고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하였다(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연구한 선례로는 Clark et al.(1993)이 있다). 이러한 지식확산모델을 바탕으로 국제기준(ISIC)에 따라 분류한 한국의 각 산업별의 변천과정을 분석했다. The new industrialization of a country requires building capability in production of knowledge through localized lerning that is applicable to new industrial develoment or absorption of advanced knowledge from other previously industrialized countries. In this view, the degree of structrual change is mapped into the degree of knowlege diffusion that is also matched with the relative sense of accumulation of general knowledge. The model is based on the unbalanced sectoral growth due to the difference of productivity growth over time in each sector. So productive resources such as labor and financial capital will be direteed into more productive sectors, and this structural change will also accompany the accumltion of skill and knowledge in the economy as a whole. Part of available knowledge is also a by-product created during this process of imitation in the manner of localized learnig by doing and speneding on R&D for acquiring absorptive capacity. Among the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peed of the structural change, the influences from entrepreneurial activity, the investment in fixed physical capital, and the profitability of the industry are the variables for the empirical study in this study. Technology is regarded as either being embodied technology inmachinery or accumulated knowledge through 'learning by going'. Many endogenous growth models deal with the aggregate level of the knowledge accumulation for economic growth. For examplw, Romer (1990) posits an extensive analytical model about analytical causality between growth and knowleged accumulation through purposive technological progress through R&D spending and its spillover effect. Howerver,researchesr often ignore the new knowledge acquired by workesr during actual production process. Much of this newly acquired knowlege from actual experience is localized knowledge. Localized knowledged is often worker-specific since the worker obtains skill or knowlege that is not easuly transferable to others, and it is also country~ or industry-specific technology since it has limited direct applicability to other countries or industries in the same country.

      • KCI등재

        Decomposition of CO<sub>2</sub> Emission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for Korea, UK, and USA

        한택환,Han, Taek Whan,Shin, Wonzoe Korean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2007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6 No.3

        본 논문은 로그 평균을 가중치로 이용한 디비지아 기법(LMWDM)을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 그리고 영국의 제조업 분야에 있어서 $CO_2$ 배출량의 변동에 대한 요인분해를 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그 정책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들 국가의 제조업에서 배출하는 $CO_2$량의 변화를 생산량의 변화, 구조적 변화, 그리고 기술적 변화라는 요인들로 분해하여 각각의 값을 비교하고 분석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는 한국제조업의 총 $CO_2$ 배출량은 대상기간 동안에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는 반면에 미국이나 영국의 제조업분야에서의 $CO_2$ 배출량은 감소해 오거나 적정한 배출량 관리를 유지해 오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비교 대상국인 미국이나 영국에 비해 한국의 제조업에서의 $CO_2$ 배출량 감소에 대한 기술적 요인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너무 작다는 것이다. 더욱이 미극이나 영국에서는 기술적 요인이 주효하여 $CO_2$ 배출량을 줄이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한국상황은 기술적 요인이 $CO_2$ 배출량을 저감하는 요인이 적었을 뿐 아니라 근년에는 오히려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앞의 두 가지 해석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 대상 기간 동안의 한국의 $CO_2$ 배출량의 증가는 $CO_2$ 배출의 저감을 위한 기술진보가 미미하였기 때문이거나 제조업의 각 업종내의 세분류별 구조의 변동이 $CO_2$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전환이 상당히 일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정책적 제안은 명백하다. 우리나라에서 $CO_2$ 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전 산업에 걸쳐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특히 저감기술 발전을 위한 투자와 에너지 저소비 산업으로의 구조변동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draws some implications from Logarithmic Mean Weight Divisia Method (LMWDM) on the sources of $CO_2$ emission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s of Korea, UK, and USA. The sources of change in industrial $CO_2$ emission of a country, as manifested by production scale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technical factor, summarizes the forces behind the change in $CO_2$ emissions in each country's manufacturing sector. There are three observations. First one is that Korea's emission is increasing while USA and UK are experiencing reduction or stabilization of $CO_2$ emiss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Second implication is that the technical factor affecting $CO_2$ emission in Korea does not help much, or even hinder,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s, comparing to USA and UK. Third one, which is the combined result of the first and the second one, is that Korea's increasing trend in aggregate $CO_2$ emission throughout the periods in consideration is mainly due to the failure in technical progress, or the deterioration in the structure of within subcategories, or both. The policy implications is clear. The obvious prescription is to launch a nation-wide policy drive which can revert these adverse trends.

      • An Optimal Dynamic Solution of a Firm for Cost Reducing Investment

        장태구(Chang Taikoo),신원주(Shin Wonzoe) 한국동서경제학회 2006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7 No.2

        어떤 기업이 노력과 비용을 투입해서 생산비를 절감한다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 시킨다. 이것은 기업의 효율성을 높여 가격에 영향을 줌으로써 소비자의 복지에도 영향을 끼치며 그 기업의 점유율 증가로 인해 산업구조도 바뀔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어느 대표기업(a representative firm)이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할 때에 그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한 동태적인 time path를 control theory를 활용하여 실현해 본다. 그럼으로써 그 기업이 속한 특정한 산업의 특성이 내재되어 있는 파라메터에 따라 동태적인 의사결정에 비용절감노력이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를 조망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기존의 기업은 물론 새로 이 산업에 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게도 특정산업에 관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고, 소비자 복지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정책결정자도 특정산업의 효율성과 기술진보를 위해 필요한 정책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A firm reduces cost through investing effort and financial resources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This conduct will eventually influence on the welfare of consumer through lowering the price of product firm sells. Industry structure will also be reshaped by the firm's efficiency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trace the dynamic time path from the firm's decision making process by utilizing optimal control theory when it tries to reduce its production cost. Thus we can see the impact level of cost reducing effort on dynamic time path with different parameter values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y that firm belongs to. This analysis will provide intuitive industry information for both incumbent and entering firms. The information about specific industry could also be used for policy-maker who tr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dustry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and to maximize welfare of consu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