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짓소리 연구 Ⅰ - 삼귀의 절차와 지심신례(두갑) 분석 -

        윤소희 ( Yoon Sohee ) 한국음악사학회 2017 韓國音樂史學報 Vol.58 No.-

        본고에서 짓소리의 현재 전승 실태를 살펴보니, 호남지역에는 전승되는 짓소리가 없었고, 영남지역에는 1960년대 말에 녹음된 『영남범패』에는 `음소리`와 `아아훔` 소리와 저음으로 장중하게 짓는 `삼귀의(지심신례 포함)소리·거불성·연향게` 등이 있었으나 요즈음의 재장에서는 이러한 소리를 짓는 경우가 거의 없어 사실상 짓소리 전승이 단절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영산재를 통하여 다수의 짓소리가 연행되고, 옥천범음대학에서 구해 스님에 의해 짓소리강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2012년에는 짓소리 14곡이 모두 연창·강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심층적 분석을 한 `지심신례`는 삼귀의 절차 중 유일한 짓소리로써 평조적 선율이 많았다. 절제된 가운데 담담한 악상을 지닌 `지심신례`의 선율적 특징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대어 공경을 표하는 의례문 내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지심신례는 짓소리 특유의 굵고 겪하게 표출하는 발성이나 탁성의 강한 표현 보다 사구성으로 반복 확대해 가는 부분이 많았다. 전체 구조는 허덜품·가사·사구성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었다. 가사 사이에 배치된 사구성은 ABCDEF 선율요소가 차례로 배치되어 제Ⅰ사구성부터 제Ⅲ 사구성까지 선율 패턴과 형식적 틀을 형성했고, 전체 선율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이들 중 가사는 대개 저음으로 내려와 짓고, 사구성과 같은 모음창에서 고음으로 올라가 성악적 기량을 발휘하였다. 후반으로 갈수록 가사와 사구성의 선율 요소가 서로 얽혀들어 유기적인 밀도가 높아졌다. 선율 요소들은 반복되는 가운데 미세한 변화가 일어나고 그 가운데 다른 요소들이 2중 3중으로 얽혀들었다. 반복되는 선율이 많으나 살짝 밀리거나 당겨져서 유절형식처럼 반복되는 것을 탈피함으로써 예술성을 드높였다. 어떤 경우에는 시퀀스 진행 가운데 밀도를 좁혀가기도 하고 병렬관계 속에 동일 음형이 배치되기도 하였다. 그 가운데 다양한 장식음과 요성·추성·퇴성·전성 등, 한국 전통음악의 표현법을 두루 지니고 있었다. 가사와 사구성의 구조에서 ABA`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 부분이 중첩되고 있었는데, 이는 무박절 무형식의 범패이지만 형식적 틀이 내재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들은 큰 틀과 세부 요소가 규칙적이면서도 논리적으로 짜여져 있기도 하였다. 음고와 긴장도의 측면에서 보면 주로 가사를 짓는 부분에서 음고가 내려가 있다. 이는 군자와 성현의 성품을 저음으로 표현했던 예악 정신을 연상시켰으며, 그 가운데 평조의 절제된 표현 또한 마찬가지였다. 반면 모음창에서 음고를 상승시켜 짓소리의 다양한 발성과 선율적 기교를 표출하는데 이는 성현을 찬탄하는 인간적 감성이 반영된 결과임과 동시에 근대 한국음악의 영향으로 파악되었다. In this research project, I analysed the Chisim sillye 至心信禮 (i.e. Tugap 頭匣) pieces of the chissori pomp`ae 짓소리梵唄 from the Kyonggi 京畿 province Yogsanjae 靈山齋 ritual. I was able to establish that the Chisim sillye melody has a similar major key to the p`yongjo 平調, and a similar minor key to the kyemyonjo 界面調. It is more plain and smooth compared to other chissori pomp`ae, which are characterized by deep and thick vocalizations and melodies. During its 23-minute duration, there were 3 series of four vowel long clauses held for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melody. These phenomenon which low tones`s lyric melody and smooth atmosphere of the Chisim sillye is in order to express admiration with a deep bow that reaches down until the head makes contact with the feet of a Buddha. The entire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parts: hodolp`um 허덜품, which contains a vowel melody as prelude; a lyric melody; and 3 series of four vowel long clauses. The lyrics have 10 letter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lyric melodies are of a lower pitch than the vowel parts. The melody of the vowel long parts was usually high and technical, suffused with ornamental tones and various vocal expressional skills. As the song progresses, the structure of the melody becomes composited and multiple according to a logical system following the motive or thema melodies. Melodies flow with minute variation. The construction is step by step duplex and triplicate. The many repeated thema are moved a little back, or the vocals subtly changed in order to present a more artistic work. Sometimes the density is tighter with the sequence and the same thema. During this step there are various ornamental notes and technical vocals such as vibrations, cursive notes taken to a low or high pitch, drastic down-tones etc., as there are in traditional Korean songs. I was able to establish that the melody of chissori pomp`ae is not an infinitely changing one, because there were repeated or various melodies, thema or motives as well as regulations and patterns. It is a peculiar character of the chissori pomp`ae that the pitch of the important lyric melody was lofty while honor paid to Buddha occurred at a low pitch. This is because the spiritual philosophy of yeak 禮樂 correlated Confucian ideas with the low tone as the ideal sound. Also the technical vocal skills and melodic ornaments are indigenous to Korean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 분석

        윤소희(Yoon, Sohee),손상희(Sohn, Sang-Hee),이수희(Lee, Soo-H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학교 소비자교육에서 청소년의 소비자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가정교과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기초하여 집필된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인 사회, 도덕, 기술, 국어, 수학, 미술, 체육 교과서를 대상으로 소비자역량 내용,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소비자역량 내용은 소비자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체계화된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역량 내용체계를 준거로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지식, 태도, 실천)의 비중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에서 재무역량 이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였으며,가정교과는 재무역량 내용을 거의 다루지 않고 있었다. 둘째, 시민역량에서 책임수용은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던 반면, 권리주장과은 소홀히 다루고 있어, 권리와 책임 사이의 균형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서 거래역량의 ‘정보통신기술활용’과 시민역량의 ‘소비자 참여’의 내용을 소홀히 다루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였다. 넷째, 사회교과가 양적으로 가장 많은 내용을다루고 있었으나, 내용의 범위 측면에서는 가정교과가 가장 다양한 소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과별 소비자역량내용의 초점을 살펴보면, 가정교과는 개인적 차원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사회교과는 소비환경과소비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내용이 많았다. 한편, 도덕교과는 소비생활을 성찰하고 소비생활과 관련된 도덕적 문제를다루고 있었다. 여섯째, 소비자교육 내용은 여전히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태도, 실천이총체적으로 연계되어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home economics in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focusingon building consumer competency. To this end, the conten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ritten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consumercompetency measurement index developed by the Korean Consumer Agency, and reviewed different foci presented by subjects. This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hich are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 are presen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 competency content, presented in textbooks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ere comprised of citizenship competency(65.3%), transactional competency(27%), and financialcompetency(7.7%). Second, in terms of content on the consumer’s citizenship competency,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consumerrights, revealing an imbalance between responsibilities and rights. Third, despite its importance,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communications technology” in transaction competency, and “consumer participation” in citizenship competency are insufficientlycovered in the home economics. Fourth, social studies was the subject that most extensively covered the content of consumercompetency. In terms of scope, home economics dealt with most of the sub-fields. Fifth, even when the same content of consumercompetency was covered, it was presented differently by subject. Sixth, there was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ofconsumer competency—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ith a disproportionately high emphasis on knowledge. In conclusion,this study concluded that consumer education content of middle school subjects is insufficient to enhance consumer competency.

      • KCI등재

        일제 강점기의 범어사 범패 전승 실태

        윤소희(Yoon, Sohee)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4 No.-

        본고에서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식으로 개조된 범어사 보재루와 범어사 부전스님들의 보사 공덕을 새긴 어산계보사유공비를 통하여 일제 강점기에 범어사 승려들의 의례활동과 사찰경제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의 범어사는 왜군을 대비한 군막사찰이었으므로 왕실에 의해 건립․관리되었다. 그리하여 국립박물관에는 왜색화 되기 이전의 범어사 보재루와 일본식으로 바뀐 모습이 사진으로 보존되고 있어 일제강점기에 의례와 범패를 가르치던 보재루가 어떻게 왜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의 사찰령으로 염불원이 폐지되자 당시 범어사의 부전 승려들은 어산계를 조직하여 사찰살림을 위한 경제적 활동과 범패 전승을 이어왔는데, 1913년에 세워진 범어사의 어산계보사유공비는 이러한 사적(史蹟)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어산계공덕비는 건립시기가 북방불기로 표시된 데다 지금으로서는 헤아리기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어, 범어사 박물관을 통해 그 배경을 확인해 보니 당시 범어사에는 민족불교운동을 펼친 주지 성월스님의 강력한 리더십이 있었다. 한편, 조선후기에 왕실의 보호에서 벗어난 사찰이 자생적으로 사찰경제를 위한 보사계 활동이 있었다. 전국의 수많은 사찰 중에 경상도지역의 보사계 활동이 활발하였는데, 대구동화사에 보사계공덕비 1기, 통도사에는 다수, 범어사의 비림에는 보사공덕을 새긴 수많은 업적이 전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보사계 활동 중에 범어사에는 어산계공덕비가 크게 세워져 있어 그 위세가 돋보인다. 비의 후면에는 어산계 승려들이 불사에 보시한 금액이 기록되어 있어 범패로 인한 의례 활동이 사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짐작하게 한다. 일제 강점기에 민족불교 운동에 기여한 어산계 승려들의 공로가 이렇게 지대함에도 해방 이후 불교정화분규에 의해 이들이 모두 퇴출되는 상황을 맞이한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였다. 한편, 어산계공덕비의 내용에서와 같이 범어사 부전스님들의 불사보시금이 대웅전부터 여러 전각과 교당에 까지 이어지는 데는 10여년은 족히 걸렸을 것이고, 1913년에 공덕비를 세우기까지 일정 기간이 소요되었음을 감안해 보면, 어산계이자 동래어산회의 존립 시점이 18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로써 그간 항간에 회자되고 있던 동래어산회와 어산계의 실체가 어산계보사유공비로써 확실히 드러나게 되었다. During the Josun Dynasty there were several private financial organizations among Buddhist monks. One was Bosagye, meaning “temple assisting organization”. At that time Buddhist monks were raised largely by themselves. The Bosagye were prevalent around the 19th century, the most active Temple being Beomeosa near Busan city. So in the monument area of Beomeo Temple there are a number of monuments honoring Bosagyes, recalling their assistance for the temple. Among them, the more prominent one was the Eosangye Bosa Yougongbi. Eosan is another name of Buddhist ritual chants. Gye means organization; Bosa means temple assistance; Yougong means meritorious deeds; and Bi means monument. Eosangye was created by those in charge of ritual chanting work. On this monument erected in 1913 is engraved the items and donation amounts of temple assistance of monk members. The total amount was 2,370won toward building the main temple, other stately mansions and the Eosan bridge. At that time this was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The great monk Sungwol had a strong patriotic spirit and tried hard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of Korean Buddhist traditions. As the Yeombulwon institution for instruction in Buddhist rituals and chanting had been abolished by the ruling Japanese, the monks of Beomeo Temple instituted the Eosangye, a kind of Bosagye to gather funds for temple rebuilding or repair and to assist in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activities such as ritual chanting. Knowledge of this helps build up a picture of the contemporary rituals of activity and chanting at the time. I believe it to be the only monument throughout the whole of Korea whose temple assistance activities were based on ritual chanting. It therefore is highly valuable to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not only in terms of its unique and singular characteristics and through its demonstration of another way of transmitting Korean Buddhist ritual music Beompae, but also in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le financing and social activ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안 탐색 : 캐나다 BC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소희(Yoon, S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캐나다 BC주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의 비교⋅분석을 통해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우리나라 2015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와 캐나다 BC주 교육부 웹페이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의 반영방식, 교과내용의 구성과 진술방식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은 선언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핵심역량과의 관계성, 실질적인 교과내용과의 연계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둘째, 내용체계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은 각각의 역할과 필요성이 모호하고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다. 셋째,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은 이해의 확장성 측면에서 한계가 드러났으며,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학년 군별 심화, 영역 별 융합, 교과 간 연계성이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넷째, 내용요소는 가족 맥락에 한정되어 단순한 의미를 이해하고 전략⋅방안을 탐색하는 내용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성취기준에서 내용요소와 결합하고 있는 기능은 교과내용을 학습하는 도구적 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실제 삶에서의 행동적인 역량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교과역량은 핵심역량과의 관계성, 실질적인 교과내용과의 연계성을 유기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용체계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은 그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학년 군별 심화, 영역 별 융합, 교과 간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내용요소는 가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맥락의 요소를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성취기준에서 내용요소와 결합하고 있는 기능은 역량함양을 최종 지향점으로 하여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할 수 있는 성취기준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tents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um contents with home economics (hereafter HE) in Korea and BC, Canada.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2015 revised Korean HE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BC State Curriculum Web pages in Canada. Results First, the curriculum competencies are declared only explicitly in the HE curriculum,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nd the actual curricular content is not explicitly presented. Second, generalized knowledge and functions are ambiguous and overlapping roles and needs. Third,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have revealed limitations to intend to endure beyond a single grade and contribute to future understanding. Fourth, content elements are limited to the family context, understanding simple meanings and exploring strategies. Fif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composed of the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 However, the function only serves as a tool for knowing and understanding and does not reflect the behavioral capabilities in real life.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nd the actual curricular content is organically. Second, re-discussions for ambiguous and overlapping roles of generalized knowledge and functions are needed accordingly. Third,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are necessary to re-discuss to contribute to future understanding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Fourth, content elements are necessary to consider elements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at affect the family. Fif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ecessary to include a combination of cognitive, defi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