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마트 TV 다기능 컨트롤러의 UX 유형별 태스크 적합도 비교

        유승헌(Yoo, Seungh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TV 환경에서의 린백ㆍ린포워드 모드 간의 최적 태스크 지원 형태(Modality) 도출과,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스마트 가전 경험 컨트롤의 원형 개념 설계를 목표로 터치스크린, 모션, 버튼 기반 리모컨 3 종의 사용행태 및 사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문화권 사용자들의 행동분석과 문화적 특성이 최소로 배제된 일반적 상황에 대한 분석 요청을 반영하여 미국 San Jose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홈 가전의 지능화 TV를 위시한 N 스크린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확대로 인해, 스마트 거실 경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거실 경험이 컨텐츠 소비, 중심의 린백 TV 경험인데 비해, 스마트 TV 경험은 보다 적극적인 린포워드 경험과 사용자 참여를 필요로 한다. 기존 1:1 버튼 대응방식의 리모컨들은 컨트롤의 1차원 속성상 스마트 TV 경험을 지원하는 데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를 위한 새로운 컨트롤러의 경험 제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제안된 대부분 컨트롤러의 경우, 모바일과는 다른 TV의 사용 환경 특성상, 블라인드 컨트롤의 만족도 저하 등 사용성 문제들이 해결이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컨트롤러별 선호도에 관한 정량ㆍ정성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컨트롤러 유형별 태스크-UX 비교 평가는 미국 San Jose에서 8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사용자 그룹은 린백 태스크들과 린포워드 태스크들을 수행하였고, 수행시간과 시선이동횟수, 오류횟수가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기존 TV 경험 내에서는 기존 버튼식에서 우수한 수행도를 보였고, 터치 리모컨의 블라인드 컨트롤과 시선 이동에서 불편함을 지적했다. 그러나 웹서핑, 타이핑, 채널정보, 메뉴선택 등 스마트 TV 경험에서는 기술적 불편함을 호소하면서도, 기존 방식보다 터치스크린 방식에서 수행도가 좋았고, 터치스크린 방식을 선호했다.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technological evolution of smart digital livingroom experiences and trend of N-screen environment, users are under pressure of moving their mode of using TV systems from relaxing moment to use high complexity system. The current remote controllers are not supporting users in terms of performance, ease of use, natural focal shift and intuitiveness of contents consumption. The research aimed to clarify the cognitive deference between Lean-back mode tasks and Lean-forward mode tasks on Smart TV environment. Comparative experiment between system and tasks was conducted in San Jose to find the optimal control modality for lean back-forward hybrid environment with TV experiences. Three different typed remote controllers - Button type, Motion type, Touch Screen type - were selected and 8 users were recruited to complete the given 12 lean-back mode tasks and 10 lean-forward mode tasks on all three TV systems. The performance time, error rate, the frequency of focal shift were measured. According to participants, button type controller was good for traditional lean-back tasks while the Touchscreen was preferred on smart lean-forward tasks in terms of time and preference.

      • KCI등재후보

        소형정보기기를 위한 지능형 가상 키패드 입력에 관한 연구

        유승헌(Yoo, Seungh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2

        모바일 터치스크린 단말 상에서 텍스트 입력의 컨텍스트가 다양화 되면서, 작은 크기의 물리적 공간 제약에 다른 타이핑 효율 문제 해결 또한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모바일 상에서 이를 위한 여러 지원 기능들이 있는데, 영미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예측(Predictive Texting)기능은 인지적 레벨(Cognition Level)의 가장 대표적인 지원기능이며, 예측된 단어가 의도와 맞을 때에는 키 스트로크 효율을 높이지만,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단어가 제시되는 경우가 많아 화면 영역 과다 차지, 동음이의어 선택 태스크 추가, 단어삭제 추가 수행 에러 등 효율저하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측된 단어가 잘못 예측된 상황을 잠재적 Noise로 규정하고, 예측된 단어를 한번에 제시하는 인지적 레벨 지원 대신, 예측된 단어의 다음 철자를 단계별로 한 글자씩 키패드를 강조해주는 수행레벨(operation level support)을 함께 지원하는 PCNC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디자인 방식은 스마트폰 상의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예측 모드와 사용자들의 입력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문장을 입력할 시 사용자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PCNC는 일반 입력체계 및 T9체계 대비 정확도, 오타율, 속도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율을 나타내었다. Text typing on touch screen of smart mobile devices is becoming more high frequency task. The goal and context of text input are developing broader while the limitation of physical size of operational area of mobile is affecting onto low efficiency of task compared to full PC experiences One of the mobile text input aiding solutions, predictive texting function, is supporting users with suggestion of word on display which is close to users’ intention based on prediction from parsed characters. It is generating cognition level aid and contributes to reduce many key stokes for users in case the prediction is right. In the other hand, it causes cognitive and operational error for users to correct in addition ? taking large part of screen, additional selection task of similar spell, erasing miss typo- when the suggested word does not match with users’ intention. PCNC system, suggested in this research defines the wrong predicted word as noise, and supports users with highlighting the available one-keypad in advance with the order of spell instead of showing the full word in the popup on the screen. The comparative experiments was conducted with the mobile based prototype of PCNC and current predictive functions. The measure the efficiency of typing were elapsed time and error occurrence for task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PCNC supports better performance than predictive text, especially when PCNC is combined with predictive text.

      • KCI등재

        서브 그래프의 사용 패턴을 고려한 다중 계층 캐싱 기법

        유승훈(Seunghun Yoo),정재윤(Jaeyun Jeong),최도진(Dojin Choi),박재열(Jaeyeol Park),임종태(Jongtae Lim),복경수(Kyoungsoo Bok),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최근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장비들의 발달로 인해 그래프 데이터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대용량 그래프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입출력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캐싱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토폴로지의 특징인 그래프의 연결성과 과거의 서브 그래프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다중 계층 캐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캐시를 Used Data Cache와 Prefetched Cache로 구분한다. Used Data Cache는 자주 사용되는 서브 그래프 패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데이터를 캐싱하고 Prefetched Cache는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최근 사용된 데이터의 주변 데이터들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캐싱한다. 그래프 패턴을 추출하기 위해 과거의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패턴을 추출하였다. 자주 사용되는 서브 그래프들이 다시 사용될 것을 예측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캐싱한다. 최근 사용된 데이터의 주변 데이터들이 사용 될 것을 예측하여 캐싱한다. 각각의 캐시에 캐싱된 데이터들을 관리하고 메모리가 가득 찰 경우 사용될 가능성이 낮은 데이터와 새로운 데이터를 교체하는 전략을 제안한다.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캐싱 기법이 기존의 캐시 관리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증명한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s, graph data have been using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caching techniques for reducing I/O costs in the process of large capacity graph data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layer caching scheme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the graph,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ph topolog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subgraph usage. The proposed scheme divides a cache into Used Data Cache and Prefetched Cache. The Used Data Cache maintains data by weights according to the frequently used sub-graph patterns. The Prefetched Cache maintains the neighbor data of the recently used data that are not used. In order to extract the graph patterns, their past history information is used. Since the frequently used sub-graphs have high probabilities to be reused, they are cached. It uses a strategy to replace new data with less likely data to be used if the memory is full.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prove that the proposed caching scheme is superior to the existing cache management scheme.

      • 공간 제스처 UX (Airtouch UX) 디자인을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코드 활용

        유승헌(Yoo, Seunghun),이태일(Lee, Taei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을 위한 비접촉식 제스처 (Airtouch UX)의 활용 가능성과, 직관적 제스처를 디자인하기 위한 창조적 디자인 발상과정의 탐색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스처 인터페이스는 대표적인 비시각적 디자인 문제영역으로써, 기술과 사용자의 직관을 반영한 디자인 해결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스처를 입력 수단 위주로 해석한 기존 연구들의 바탕 위에, 단순 입력 수단이 아닌 인터랙션 사이클 매체로서의 제스처 효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로 솔루션 탐색 워크샵 기법을 적용하고, 컨셉 도출과정을 관찰, 평가하였다. 30명의 디자이너들이 제스처의 활용도를 찾는 과정을 거쳤으며,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각 도메인이 제공하는 기능들과 태스크를 제스처를 그룹별로 제안하고, 타 그룹이 제시한 제스처를 통해 기능을 추측하는 연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정보의 디스플레이 코드에 따라 제스처와 태스크 간의 적합도가 달랐다. 인터페이스를 해석하는 태스크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언어적 코드를 활용한 제스처가 적합하였다. 직관적인 조작이 강조되는 태스크와 수행과정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공간적 속성을 활용한 제스처가 더 선호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제스처 속성들을 인식율과 반응율로 측정하였고, 제스처-태스크간 적합한 디자인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he design concept generation of intuitive non-touch gesture UX (Airtouch UX) and exploration of application domain for gesture. The process was planned to be performed in both of organized top-down process and creative bottom-up process. Thus, idea divergent process of invisible design problem has been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task-input -feedback cycle of system interaction. The prior researches on gesture as a form of input method were analyzed to be enhanced with detailed decomposition model of gesture interaction framework. Work domain analysis and creative workshop has been conducted with 30 designers focusing on gesture UX design for tablet device. Five representative tasks were extracted based on context analysis and all designers generated two different display codeverbal code and spatial code- based gestures. Then, gestures were tested in terms of ease-of-recognition and memory-based response. Verbal code gesture showed superior recognition rate to spatial code gesture. In the other hand, spatial code were preferred in terms of response than verbal code gesture.

      • KCI등재SCOPUS
      • 내분비 질환 관리 메디컬 서비스의 참여적 디자인 요소 도출

        유승헌(Yoo, Seungh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내분비질환 환자들은 질환 예방 및 관리 체계의 지원 과정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많은 경험적 어려움을 겪는다. 사용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단계와 사용되는 다양한 경험 요소들을 사용자 참여적 기법을 통하여 파악하고, 보다 태스크 친화적인 메디컬 서비스의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행 내분비질환 관리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각 단계별로 사용되는 주요 정보 및 기기들과 스테이크홀더들의 터치포인트를 파악하였다. 이후, 환자와 의료진의 관점에서 분석, 비교 관찰기법과 인터뷰를 통한 Contextual Inquiry를 수행하면서 질환 관리 사이클에서 누락되거나 원활하게 관리되지 않는 요소들의 경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디자인 경험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 시스템이 사용자의 예방관리 효과에 효과적이지 못하게 대응하는 원인으로 각각의 기기의 기능적 속성보다는 주로 사용자의 개입과 입력이 발생하는 단계의 사용성 미흡, 사용자에게 과다한 정보를 외우거나 찾게끔 만드는 레퍼런싱 과정의 비사용자 친화성, 그리고 환자에 의해 측정된 혈당 및 식단 데이터를 의료진에게 적절하게 전송 / 공유하는 방법, 숫자 데이터가 환자에게 직관적으로 몸의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한 대응을 시도하게끔 하는 정보 전달 요소와 사용자가 개입하여 입력을 수행하여야 하는 식단을 기록/관리 부분에서 가장 많은 불만족도와 잦은 누락이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내분비질환 관리 사이클에서 식단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핵심 단계로 제안되어야 함을 확인하고, 의료진-환자간의 상호 작용과 서로에 대해 가지는 기대치와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이를 중심으로 내분비질환 관리 메디컬 서비스의 디자인 기회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Current endocrine care cycle in Korea contains numbers of difficulties for patients with the effective health management. This study aim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ongoing endocrine/ diabetes care program and find the core points of stakeholders for efficient medical service design. The home-hospital endocrine management programs were analyzed with the stages, tasks, the objects and the types of patient data essential for treatment. The communication and the usability problems of current medical devices were analyzed and transferred as core experience influencers in endocrine care service design through ethnography and contextual inquiries. The primary challenge found was on data input tasks of nutrition, diet and exercise record. Patients missed lots of data recording on the stages and many data were incomplete when transmitted to doctors. The nutrition table referencing task and material was also caused the performance problem. The findings were proposed as new requirements for data input and communication guideline for endocrine care service.

      • 경유-LPG 혼소엔진에서 LPG 조성에 따른 배출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유승헌(Seunghun Yoo),홍석표(Seockpyo Hong),이범호(Beomho Lee),조승환(Seunghwan Cho),이대엽(Daeyup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분들이 혼소시에서도 완전히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타났다. 실험조건에서 연료 조성을 프로판100%와 부탄 100%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기에, 실험전의 예상이었던 질소산화물 배출량 증가가 전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아주 작은 영역에서만 일어나고 대체적으로 부탄이 더 높은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Soot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프로판의 혼소실험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Emissions from diesel engines are a larger percentage of the overall domestic emissions. To improve air quality, emissions form in-use vehicles should be reduced.Dual fuel technology(diesel-LPG) can be adopted to the vehicles. It is getting great attention as technology which is economically feasible and can reduce emission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missions from compression ignition diesel-propand duel-fuel and diesel-butane duel-fuel are analyzed and experiment to reduce both NOx and PM through dual fuel is performed. In the experiment, most range of butane emit more NOx than propane. But most range of propane emit more Soot tthan butane

      • SCISCIESCOPUS

        Self-assembly of functionaliz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prepared from aryl diazonium compounds on Ag surfaces

        Yoo, Bum Keun,Myung, Sung,Lee, Minbaek,Hong, Seunghun,Chun, Keunho,Paik, Hyun-jong,Kim, Jaheon,Lim, Jong Kuk,Joo, Sang-Woo Elsevier 2006 Materials letters Vol.60 No.27

        <P><B>Abstract</B></P><P>Self-assembly of the sidewall functionaliz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has been performed on Ag surfaces. The covalently functionalized SWNTs with benzoic acid moieties are prepared via diazonium reactions from 4-aminobenzoic acid and isoamyl nitrite. Raman, infrare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data, and solubility increase of SWNTs have indicated the modification of the sidewall of SWNTs. The functionalized SWNTs appeared to be assembled on Ag surfaces through the carboxylate group as evidenced from the emerging <I>ν</I><SUB>s</SUB>(COO<SUP>−</SUP>) peak at ∼1380?cm<SUP>−1</SUP>.</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