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ntrastive Phonetik Koreanisch-Deutsch-Untersuchung auf segmentaler Ebene und Vorschlage fur den Phonetikunterricht in Korea

        ( Florian Schulz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0 외국어교육연구 Vol.24 No.1

        Der vorliegende Artikel untersucht die Bedeutsamkeit korrekter Aussprache koreanischer Studenten, die Deutsch als Fremdsprache studieren. Diese kontrastive Studie bezieht sich auf den Bereich der segmentalenPhonetik, der Einzellaute wie Vokale und Konsonanten umfasst. Der erste Teil gibt einen kurzen Uberblick uber den Phonetikunterricht als Teil des Sprachunterrichts und beschreibt die Relevanz korrekter Artikulation. Im Anschluss wird auf generelle Probleme fremder Aussprache verwiesen, die unter Anderem durch Intereferenz hervorgerufen werden. Im zweiten Teil werden ausgewahlte Segmentalia vorgestellt, die in beiden Sprachen starke Abweichungen in Quantitat und Qualitat aufweisen, weshalb sie als auffallige Fehlerquellen betrachtet werden mussen. Aufbauend auf dieser Analyse prasentiert der Autor einige Techniken und Ideen, die die Arbeit an der Phonetik im Unterricht erleichtern und unterstutzen konnen. The following article examines the relevance of correct pronounciation of Korean students who study German. The focal point in this contrastive investigation is the identification and articulation of segmental elements, which include vowels and consonants. The first part presents a short outline of the importance of phonetics and pronounciation instruction in Teaching German as a Foreign Language, as correct articulation is one of the key ingredients of successful communication. Thereafter the author takes a close look at the problems of mispronounciation, which can often be traced back to interference, when the mother tongue influences the target language.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examines some selected Korean and German segments, which vary in quality and quantity, and why they can be seen as a frequent source of errors. Referring to this analysis the author suggests techniques and advice for correct articulation in order to provide teachers with ideas and material for classroom activities.

      • KCI등재

        Von der Aggression zur verbalen Gewalt - Grundlegende theoretische Überlegungen zur malediktologischen Forschung

        SCHULZE Florian 한국독어독문학회 2015 獨逸文學 Vol.56 No.2

        Die Diversität der Modelle und Erkenntnisse in der multidisziplinären Grundlagenforschung zur Aggression zeigt äußerst deutlich ein breites Interesse an der Thematik, das sich in einem ebenfalls weiten Themenkomplex der anwendungsrelevanten Aggressionsforschung widerspiegelt. Hauptsächlich geht es hier um die Früherkennung von aggressiven Verhaltenstendenzen und deren Vermeidung bzw. Therapie in Familie und Gesellschaft. In diesem Sinne wird Aggression mit verschiedenen Formen der Gewalt assoziiert und untersucht. So beschäftigen sich Sparten der Psychologie, Soziologie und Kriminologie mit Themenfeldern wie Mobbing, Vandalismus, Terrorismus, (sexueller) Belästigung oder Stalking(Vgl. Wahl 2009, 3f.). Auch der Linguistik bzw. der malediktologische Forschung eröffnet sich heute ein breites thematisches Spektrum. Abgesehen von einer Reihe an populärwissenschaftlichen Abhandlungen(z.B. Burgen 1998; Raeth 2007) und humoristisch-satirischen Schimpfwörterbüchern existieren bisher nur wenige vertiefende Beiträge zur Untersuchung verbalen Aggression. Hierbei wird die Relevanz der Thematik scheinbar unterschätzt, denn die heutige Gesellschaft bietet eine Reihe von Ansatzpunkten, die nicht nur aus rein sprachwissenschaftlicher Sicht, sondern auch aus Perspektive der oben genannten Disziplinen von Interesse sind. Die Untersuchung der Sprache und ihrer Äußerungsmöglichkeiten bietet hierbei einen äußerst immanenten direkten Zugang zu Aggression – auch oft bevor es zu physischen Auseinandersetzungen kommt. Abschließend werden in Auswahl einige Phänomene aufgelistet, die als malediktologische Forschungsdesiderate zu sehen sind: - Öffentliche und private ‚Hate-Speech‘, mit dem Ziel einzelne Personen oder Gruppen zu diffamieren und auszugrenzen - ‚Hate-Comments‘ und Reaktionen darauf in Internet-Foren, bei Facebook oder YouTube - Aggressiver Rap durch eine Reihe zeitgenösssicher Rapper, die sich insbesondere frauenfeindlich geben - Öffentliches ‚Dissen‘ und Beschimpfen als moderne Form der Rhetorik - Verbale Gewalt in der Partnerschaft, der Familie und dem öffentlichen Raum - Selbstverständnis durch verbale Aggression bei männlichen und weiblichen Jungendlichen Die Malediktologie kann zu diesen und weiteren thematischen Feldern Basisforschung leisten, indem sie durch Analyse hinter der verbalen Äußerung liegende Denkmuster und Stereotype offenlegt. Mit diesen Erkenntnissen lässt sich interdisziplinär an weiteren psychologischen Motiven, sozialen Problemen und auch der Gewaltprävention arbeiten.

      • KCI등재

        "Du bist so erotisch wie ein Verkehrsunfall!" - Fertigmach-Sprüche zwischen Phraseologie und Pragmatik

        Florian Schulze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4 독일언어문학 Vol.0 No.64

        Fertigmach-Sprüche stellen besonders unter Jugendlichen frequente Mehrworteinheitendar, die oral oder üer das Internet verbreitet werden. Neben der dominanten Funktion,einen Hörer zu verspotten, äuβert der Sprecher mit den FMS einen negativenGefühlszustand, teilt bestimmte sozio-kulturelle Merkmale mit und zeigt die Lust amSpiel mit der Sprache. Diese ludische Funktion kommt immer durch hyperbolischformulierte Propositionen zum Tragen. Die FMS sind somit unbedingt als Teil desHumordiskurses zu verstehen, auf den sich Sprecher und Hörer einlassen müsen. Gelingt dies, kann der Spott - insbesondere vor Publikum - seine volle Kraft entfaltenund eventuell die Kommunikationssituation ,ironisches Rededuell' generieren.

      • KCI등재

        멍청한 거위와 빌어먹을 개에 관하여 -의미론 및 성구론의 관점에서 본 모욕 유형 연구

        ( Florian Schulz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1 獨逸文學 Vol.117 No.-

        본고는 성구론 및 의미론의 관점에서 욕설의 특별한 형태를 조사한다. 독일어에 있어서 욕설은 주로 형용사 하나와 명사 하나가 결합한 구조(dumme Gans 멍청한 거위, alter Esel 늙은 당나귀 ...)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대상은 동물 명칭이 들어가는 경멸 관용구에 한정한다. 본고는 관용구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경멸적 의미 및 기능과 관련하여 명사 및 형용사들을 분석한다. 동물명칭은 은유법이나 문화적 상징법을 통해 유연화된 경우 경멸적 의미의 단어로 작용한다. 의미구조상 이러한 단어들은 명시적 의미 측면에서는 평가하는 의미소를 그리고 함축적 의미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감정이 담긴 의미소를 지닌다. 의미소들은 수신인의 부정적인 특성(당나귀 → 어리석음)과 관련이 있거나 독일어에서 일반적으로 경멸적인 의미를 갖는다(돼지). 마찬가지로 형용사들도 경멸적 의미의 정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성구에 사용될 경우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즉 형용사는 명사가 지닌 의미를 강화하거나 구체화한다. 명사가 유사한 의미의 형용사들 (eitler, eingebildeter, geleckter Affe 허영에 찬, 거만한, 말쑥한 원숭이)과 빈번히 결합하므로 동의어 계열이 이루어진다. 어리석음은 개인의 특성과 무관하게 모든 개개인에게서 인정되므로 특히 ``어리석음``과 관계된 특성이 주된 상당수를 이룬다. 형용사+명사 결합의 가변성으로 인해 본고의 연구대상이 되는 단위들은 성구론의 주변영역에 속하며 종래 다루어진 바 없는 광범위한 연구영역이 된다.

      • KCI등재

        성구론에서의 욕설 -의미 및 화용적 측면 연구

        ( Florian Schulz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이 논문에서는 언어적 공격 행위의 전형적인 예인 욕설 행위를 다루며, 그 연구 범위를 관용어구로 한정한다. 우선 욕설을 다른 공격적 행위와 구분하며, 그 심리적 분노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그 다음 경멸성과 동기의 의미적 측면을 기술한다. 또한 욕설 행위의 명제가 되는 경멸적인 관용어구를 구조에 따라 분류한다. 이어서 화용적 관점에서 ``욕설``의 화행 조건을 알아본다. 끝으로, 한 독일영화에 나오는 대사를 바탕으로 실제 의사소통에 나타나는 욕설의 - 그 밖의 - 특별한 측면들을 제시한다.

      • KCI등재

        짖는 개는 (대개) 물지 않는다 -위협의 관용어구론에 대한 화용론적 관점

        플로리안슐체 ( Florian Schulz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4 獨逸文學 Vol.129 No.-

        이 논문은 언어행위 모형 ‘위협’을 기술하기 위하여 화용론과 관용어구론을접목하여 위협이라는 언어 현상을 다루고 있다. 언어행위론의 관점에서 보면,위협은 청자에게 뭔가를 촉구하면서 그와 연관된 화자의 어떤 행위 의도를 표현하는 복잡한 언어행위 구조를 내포하고 있다. 행위 의도는 보통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데, 독일어에서는 ‘폭력 사용’이라는 명칭론 영역에서 속하는많은 관용어구들로 표현된다. (예: jmdm. die Fresse polieren 아구창을 날리다). 우선 화용론적 행위조건, 발화의도 표지 및 다양한 통사적 구조를 띠는 관용어표현 단위 등을 바탕으로 행위 모형 ‘위협’을 설정하고, 이 체계 이론상의 모형을 인터넷과 경찰 보고서에 나타난 실제 언어자료들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독일어의 언어적 위협 현상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기술한다.

      • KCI등재

        "넌 참 관능미라고는 썩은 막대기만도 못해!" - 조소(嘲笑)의 성구어 유형 Fertigmach-Spruche(기를 짓밟는 말)

        플로리안슐제 ( Florian Schulz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4 독일언어문학 Vol.0 No.64

        Fertigmach-Spruche(기를 짓밟는 말)는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 많이 사용되는 성구어로 상대방을 폄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말이다. 의사소통의 관점에서는 유머 대화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욕설과 구분된다. 상대방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우스꽝스럽고 비꼬는 방식으로 청자를 비웃기 때문이다. 사고의 연상, 문체의 특수성과 언어 구조적 틀로 인해서 언어를 매우 유희적으로 사용하고 분위기를 즐겁게 한다. Fertigmach-Spruche는 폄하하는 말을 할 수 있는, 언어 외적 현실의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된다. 화자의 목적은 청자의 결점을 꼬집어서 비웃는 것이다. Fertigmach-Spruche는 여러 낱말로 구성된 관용적 표현이기 때문에 성구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성구어가 ``조소``라는 발화수반 행위를 담고 있으므로 화용론적으로 계열을 형성한다. ``조소``는 청자를 폄하함으로써 ``고소함``이라는 심리 상태가 화자에게 나타나므로 표현적 화행 행위에 속한다.

      • KCI등재

        Hol`s der Teufel!-욕설의 일상적 고정 표현

        플로리안슐체 ( Florian Schulz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구 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11 독일언어문학 Vol.0 No.52

        이 논문의 목적은 일상적 고정 표현으로서의 욕설의 형태를 관용어 연구의 관점에서 구조적으로 연구 및 범주화하는 것이다. 욕설은 화자의 부정적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언어 행위를 나타내며, 의사소통 상대자가 아닌 일종의 상황을 대상으로 삼는다. 욕설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는 공격의 특징을 지니며, 특정한 의미를 지닌 어휘가 사용된다. 독일어에서 욕설을 나타내는 것은 주로 배설물과 관련되거나 신성을 모독하는 뜻을 지닌 어휘로, 이를 통해 화자는 일종의 금기(Tabu)를 깨고 감정을 표출하게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어휘는 강도 높은 감정표현어휘에 해당하여 화자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강한 표출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관용어 연구의 관점에서 이 논문은 고정적인 언어 행위 모델이 나타나는 문장구조를 세부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일상적 고정 표현으로 분류한다.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욕설을 구조적인 관점에서 범주화하고, 그에 따른 발화의도행위의 역할에 대해 간단히 다룬다.

      • KCI등재

        공격성에서 언어폭력으로 - 욕설연구의 기본적인 이론적 고찰

        플로리안슐체 ( Florian Schulz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5 獨逸文學 Vol.56 No.2

        언어학의 한 하위 분과로 수행되는 욕설 연구에서 언어적 공격성의 원인에 대해서는 대부분 그다지 주목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공격적 의사소통 태도를 연구함에 있어서 공격성을 유발할 수 있는 내적·외적 자극들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격성 연구의 중요한 이론적 모델들을 특히 ``사람`` 및 ``상황``의 측면과 연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중심 대상은 소위 ``공격성 일반 모델`` (GAM) 이며, 이 모델의 구상이 언어 연구에도 적합하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화)이 공격성 모델과 욕설연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띤다. 끝으로, 욕설 연구의 범주를 확정하기 위해서 언어 공격성의 다양한 표현 형태가 언어적 차원에서 예와 함께 기술된다.

      • KCI등재

        COMPARISON OF THE SPRAY AND THE SPRAY/WALL INTERACTION OF TWO GASOLINE INJECTORS

        Florian Schulz,Frank Beyrau 한국자동차공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19 No.4

        One important parameter influencing mixture formation and spray/wall interaction within engines is the geometry of the nozzle. In contrast to Diesel nozzles, the influence of the orifice geometry on spray formation has hardly be investigated for gasoline nozzl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djusting the nozzle geometry of a modern GDI nozzle, we compare two six-hole, high-pressure nozzles with an identical structure, but different rounding radius of the orifice hole-inlet and different orifice hole-geometries: nozzle A with a rounded inlet and an orifice length to diameter ratio of 3/2 and nozzle B with a sharp inlet and an orifice length to diameter ratio of 1. In a first measurement campaign the spray formation is visualized using high-speed shadowgraphy imaging. Th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spray angle and penetration depth. In a second measurement campaign we examine the spray/wall interaction and wall film formation by means of infrared thermography. The thermography measurements indicate that the geometry of nozzle B produces sprays with beneficial characteristics. This is very important for a clean combustion process and a decrease of soot emi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