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The Engineering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China Police Organization, the Feasibility, Obstruction and Strategy Analysis

        Prof,Sun Juan,Mr,Cui Song 아시아경찰학회 2003 아시아경찰학회 국제학술회의 Vol.2003 No.-

        Quality Management has been implemented as a general theory to improve public management in many countries. However, the conception of quality management is still strange to many Chinese Public Managers, while more and more practices of reformation and innovation in Chinese government especially in police organization actually coincide with the idea and pattern of quality management. To facilitate long-term and continuous improvement in Chinese police service, the research ""Standard operation and efficiency, quality management in police organization"" has been initiated by us and approved as a national social science project in 2002 with the project code of 02BZZO17. The paper we present here is a initiative material of the national project. In this paper we generally introduce the structure and system of Chinese police organization and launch a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quality management tools and techniques in it, then we present our quality management resolution, including obstruction analysis and strategy, to improve Chinese police service quality continuously. Because publ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is still a blank in Chinese, so researches and reformations in this area are greatly meaningful. We hope that researchers from other countries can carry out all kinds of cooperation with us and bring us a broader view of publ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in worldwide range.

      •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강용원,이현철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1 고신신학 Vol.- No.13

        본 연구는 한국사회 및 교회 내·외적인 한계와 어려움 속에서도 성장하고 있는 부산지역 7개 교회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교회와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하는 교회의 사역과 지역사회 내 다양한 활동들에 관심을 모으면서, 가능한 한 실천적이며 실제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고자 현장의 맥락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줄 수 있는 내러티브 분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 7가지를 도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예배의 중요성, 2) 목회자의 철학과 믿음 그리고 소명, 3) 담임교역자의 부교역자에 대한 믿음, 4) 단합된 리더들의 힘, 5) 활발한 교회 활동 및 새 신자 프로그램, 6) 지역사회의 배경/특징에 맞는 전략과 지역사회 내 교회의 위상, 7) 교회의 시스템과 환경의 측면이었다. 이는 한국사회 및 교회 내외적인 한계와 어려움 속에서도 부흥/성장하고 있는 교회들은 하나님께 온전히 예배에 집중하고, 분명한 소명과 철학을 지닌 리더와 리더십이 있으며, 역동적인 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 대한 헌신 그리고 독특한 교회만의 매력을 지닌 교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부흥/성장하는 교회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다시 영역별로 구조화시켜본다면 1) 예매, 2) 목회자 및 리더그룹, 3) 지역사회 이해, 4) 프로그램과 시스템, 그리고 5) 교회 환경 및 매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 on Korean churches and ministries by studying seven growing healthy churches in the Busan province. Particularly, we examined their ministries and activities in communit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reveal the praxis and context of the participating churches. Through qualitative approaches, we have discovered seven dimensions of a growing healthy church: 1) an exphasis on worship, 2) the minister's philosophy, faith, and calling, 3) the minister's trust in associate ministers, 4) power from the united leadership, 5) vibrant activities and special programs for newcomers, 6) strategies suited for local backgrounds and distictives as well as the church's status/reputation in the local community, 7) a well-organized system and pkeasant church environme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identified that the growing healthy churches have their focus on the worship of God, devoted leaders with outstanding leadership, dynamic programs and service to their local community, and uniqueness of the church. Additionally, we were able to come up with a sturctural concep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even charcteristics of the successful churches as following-worship, the minister and leadership group, a good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well-organized ministry programs and an appropriate church system, and a desirable environment and uniqueness of the church.

      • 교회학교 내 사회적 자본의 의미와 활용 가능성 탐색

        강용원,이현철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social capitals. Based upon previous studies, these researchers seek to explain the meaning of social capitals that church schools have. On the basis of 'norm', 'trust', and 'netwrok', which all are based on relationship, which is a common element of social capital as identified by scholars home and abroad, this researcher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social resources of church schools. The norm as identified above means the rules recognized by a society as a system commonly shared by the members of a society. The trust, on the other hand, is a base for cooperation and relationaship among the members with an expectation of social relationship. And the network means activities based on mutual processes among members and groups. This reality points out to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social capitals that church schools have for the purpose of wholistic spiritual growth of children in the end. Therefore, Korean churches should endeavor to enhance bo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piritual growth of the children in need by utilizing various social capitals that churches have. What follow are some of the ways in which social capitals in church schools can be utilized. First, it is through moral values of church schools. Whta we can confirm from our studies on the aspect of norms of social capitals is that the church schools and their teachers as essential members are the ones who should set the direction for the life of the children so that they can function in healthy ways 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and in their society. Also in terms of practicing this support, they should utilize more actively the meaningful and various social resources of the churches, that is, moral values, norms and order. Secondly, it is through the mutual role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This is from the aspect of trust among the social capitals. The quality level of the mutual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in the context of church schools can be immaterial resources. Thus churches must actively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children through proper utilization of mutual interactions. Thirdly, it is through vatious activities. This is related to the aspect of network. The various activities that church schools provide offer not only ample opportunities in which students can be involved in while meeting more people, but also play significant roles helping them to experience various cultures and learn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회학교가 가진 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연구자들은 국내외 연구자들이 일반적으로 설정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공통적인 요소인 관계를 바탕으로 한 '규범', '신뢰', '네트워크'를 기초로 하여 교회학교의 사회적 자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규범은 구성원 간에 공유되는 체계로서 사회에서 인정되고 있는 규칙을 의미한다. 신뢰는 사회적 관계를 전제로 행위자들 사이에 협동과 관계를 이루는 근거이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구성원과 구성원, 집단과 집단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용은 결국 아동의 전인격적인 신앙성숙을 위해 교회학교 안에서 사회적 자본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교회학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함으로서 취약 계층 아동의 삶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신앙성숙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교회학교 안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활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교회학교의 윤리적 가치이다. 사회적 자본의 규범적 측면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교회학교와 그 핵심적 구성원인 교회학교 교사는 아동이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사회 속에서 건강한 역할을 감당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지원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 지원의 실천에서 교회학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자본 즉, 윤리적 가치, 규범, 질서 등의 의미 있는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이다. 이것은 사회적 자본의 신뢰적 측면인데, 교회학교가 가지고 있는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의 질적인 수준은 가치 있는 무형적인 자본이 될 수 있으며, 교회는 그러한 상호작용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에 적극적인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 셋째, 교회학교의 다양한 활동들이다. 이것은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 측면과 연관되는 것으로 교회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들은 학생들에게 더욱 많은 사람들을 만나서 함께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 및 학습 활동을 경험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 고신교단선교 창구일원화 정책에 대한 고찰

        이복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5 고신신학 Vol.- No.7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Kosin) has built its foreign mission for 50 years. At the present moment,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Single Window missionary strategy of the Kosin Church, so that the future of the foreign mission will be more fruitful. The writer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Single Window strategy as the following: A missionary strategy in which the churches of Kosin carry into effect their missionary works through a mission board made by the general assembly. In this strategy it is very important for all the missionary expenses to be carried out by the boar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beginning of the Single Window strategy in Kosin is related with two things: One, is the fact that the first forreign missionary was dispatched by the general assembly. The other, is the fact that in the past Kosin churches were in economical difficulty, so that all the churches had to collect the missionary expenses through the Single Window. The Single Window strategy has the following merits: It presents the churches taking part in the foreign mission with direction and also concentrates the missionary resources into one main srouce; the selection of the missionaries is done through a more objective system; a better distribution of missionaries through a fixed policy; a mor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missionaries; many various benefits for each missionary. The more neccessary elements i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trategy are also considered as follow as: taking the role of a management organization of mission rather than a substitute machinery; placing missionary experts at the leadership of the mission board; building the financial policy into a more clear and effective application; leading the Kosin churches through missionary education and missionary cooperation; maintainting a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ary headquarters and its field branches, and so on. Last but not least,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 many churches of Kosin, which carry out foreign missionary works without any relation to the Single Window strategy, be put under this system. 고신교단은 이제 해외선교 50년의 역사를 이룩했다. 그간에 수행되었던 창구일원화 선교정책을 점검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창구일원화 선교정책의 개념이해로부터 시작한다: 교단 내의 교회들이 교단이 정한 선교기구를 중심으로 선교사역을 수행하되 특별히 핵심적인 요소로는 선교비가 한 창구로 집행되는 정책임을 밝힌다. 이어서 고신교단이 창구일원화 정책을 취하게 된 역사적인 배경으로는 해외선교 초기에 선교를 총회적으로 파송하게 된 것과 교단에 속한 모든 교회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상황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고찰한다. 창구일원화 정책은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진 것으로 파악한다: 교단의 전체교회를 위한 선교방향의 제시와 선교자원의 결집;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선교사 선발; 체계화된 선교사 훈련; 정책적인 사역현장 파송; 선교사의 효과적인 관리; 선교사의 개인적인 다양한 장점들. 창구일원화 정책의 현재 상황에서 보완해야 하거나 장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사항들 역시 다음과 같이 고찰된다: 교단선교부가 선교대행 기관으로보다는 관장기관으로 역할; 선교전문인의 리더쉽 발휘' 재정정책의 투명성과 효과적인 활용; 과대한 행정적인 기구화 지양; 교회의 선교교육과 선교협력 주도; 선교본부와 현지선교부와의 원활한 관계유지; 좋은 선교사의 선발과 효과적인 훈련; 일정한 규범 내의 자유가 보장된 선교사의 삶을 지적해 본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단 교회들 가운데 적지 않는 교회가 창구일원화정책과 관계없이 시행하는 개교회의 선교사역도 교단선교와 연계를 맺어야 할 필요성을 지적하면서 그것에 관한 방안들을 제안한다.

      • 고린도후서 구성의 통일성

        임영효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0 고신신학 Vol.- No.2

        Second Corinthians is an occasional letter, that is, it is a real letter which was addressed to specific people and occasioned by concrete issues. Above all, it is a very human document, opening a window into the inner life of the apostle. It can be called the most human book in the New Testament. L. Berkhof says, “2 Corinthians is one of the most personal and the least doctrinal of all the letters of Paul, except the one written to Philemon." So some scholars regard this epistle as the most difficult of all the epistles of the New Testament or Paul' s. Specially, among the major epistles of the New Testament this suffered a totally unmerited measure of neglect. G. R. Beasley-Murray notes several reasons for this neglect: 1) The historical allusions in the letter are obscure. 2) Paul's compressed theological ideas place a heavy exegetical demand upon interpreters. 3) The Greek is complex. Nevertheless, this letter is one of Paul’ s richest in terms of theological profundity and autobiographical revelation. In this most letter-like of all the letters of Paul, we can find the heights of the transcendental victory of grace in and through the everyday experience of the Christian believer in whatever circumstances. Moreover, this epistle describes more fully Paul' s conception of his ministry than any other epistl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ommon view about this Epistle, it has come down to us as a single epistle. Notwithstanding, since the Enlightenment, some modern critics have been maintained that the original 2 Corinthians was not as long as it now stands. Johann Salomo Semler first supposed in 1776 that 2 Corinthians was originally several letters, that is, chapters 1-9 were one or more letters; chapters 10-13 were another. Other writers have thought that this Epistle was originally four or six letters sent not in the same order as we now have in our Bibles.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n no ancient manuscript of this Epistle is there any trace of a division at any point in the letter, or any variation in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and in no early Christian writer is there any suggestion that the document is composed of parts of different letters, or that it was not all written at one time to meet one particular situation. Without upright understanding on this problem of unity, we cannot have a very high regard for the accuracy of what we have. Also it will become difficult to have a high view of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observe carefully the grounds on which the theories for dividing this epistle are based, and to consider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letter as a unity. We can find that there are various hypotheses of the composition of 2 Corinthians. The major reason for their being occurred seems that 2 Corinthians has the historical allusions which appears obscure and the most autobiographical character of all the epistles of Paul.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we can understand the cause of diversity in tone and content of this epistle, for this epistle was written not at all through the peaceful environment but among the suffering and comfort, anxiety and joy, contention and conviction, and eagerness and boldness which the apostle experienced during his ministry. In addition, the whole epistle reflects the various stations in Paul’s journey and his very emotion at each place are revealed. However, in spite of diversity in its tone and content, we can find there is a structural unity which gives coherence to the whole because Paul wrote this epistle with a clear purpose, that is, to prepare the Corinthians for his third visit. Also, we can see that it harmonizes with the pervading theme of this epistle, namely, the theme of strength through weakness. The whole argument for the genuineness of Paul’s apostolic authority is bound up in this theme. Thus, this two main skeletons of the epistle are well articulate from beginning to end. Specially, for the good example of the unity of 2 Corinthians, we can find that the same thoughts of the last five exhortations(13:11) hide in the whole epistle, that is, joy(1:24; 2:3; 6:10; 7:4,7,9,13; 8:2; 12:10,15; 13:9), perfect(1:14; 13:9), comfort(1:3-6; 2:7; 7:4,6,7,13), be of one mind(6:13; 7:2), live in peace(1:2; 8:13). There are many other evidences for the unity of the composition as well. However, like other scholars who are in favor of the hypotheses of discontinuity, if we look into this epistle as the product of human endeavor without accepting the work and inspiration of the epistle’s primary author, namely, the Holy Spirit, as a result of it we can only find continually the problematic par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artition theories against the unity of this epistle are the products of seeing and understanding the epistle only by the human reasonable eye. Thus, it seems that the proof offered against the unity is entirely too subjective in nature and week in general. If several letters could have been jumbled into one epistle, how can we have a high view of for the accuracy of what we have? In fact, the more we try to solve the problematic parts of the word of God with a human biased view and reasonable thinking, the more we become to confront the bigger problems in the Bible. But, if only we can see the word of God by the regenerated heart and the eye of faith with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the primary author of the Bible,we will understand it upright and see clearly the beautiful unity of every Scripture as well(Isa. 34:16). Also, we can find the solution of the problematic parts which appear in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ord of God within the category which does not destroy the unity so long as there is no problem in external evidence. Now to conclude concerning the unity 2 Corinthians, it must be said that in spite of the various leaps in Paul’s thought from

      • 알려지지 않은 위대한 부흥사 우태숙(禹泰淑)선생님 : 경남북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신앙의 여장부

        김성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3 고신신학 Vol.- No.5

        이 글은 알려지지 않은 여성 부흥사 우 태숙 선생님에 관한 글이다. 우 선생님은 8.15 해방과 6.25 동란의 사회적 격변기에 경남북 지방을 중심으로 회개와 부흥 운동을 일으킨 위대한 여성 부흥사였다. 1915년에 대구 불로동에서 태어나, 최일출 목사님을 통해서 은혜를 받은 우 선생님은 철저하게 '하나님 제일 중심'의 삶을 영위하셨다. 이후부터 우 선생님의 가정은 젊은 여성들이 함께 생활하면서 싱앙의 훈련을 받는 '선지 학교'와 같았는데, 우 선생님은 장래 신앙의 지도자가 될 이들 여성들에게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시면서 모범적인 삶을 실천해 보여 주셨다. 우 선생님은 전국을 무대로 부흥 집회를 인도하시면서 회개 운동의 역사를 일으켰다. 우 선생님은 요한 계시록을 중심으로 말씀을 전하시면서, 주님의 재림이 임박했으니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 앞에서 정결한 삶을 살 것을 특별히 강조하셨다. 우 선생님이 강조하신 회개는 입술만의 회개가 아니라 행동을 수반하는 회개, 작은 것 하나까지도 고백하고 통회하는 철저한 회개, 증인을 세워놓고 고백하는 공개적 회개, 토색한 것을 반드시 되 갚는 뜨거운 회개였다. 이런 회개 운동의 역사를 통해서 경남북 지방의 많은 인재들이 배출되었다. 하나님은 한국교회를 위해서 한 때 우 태숙 선생님을 들어 사용하셨음을 의심치 않는다. 아멘 This is an artical about a great unknown woman evangelist Woo Tae Suk who was used to be called as Woo Tae Suk 'sunsang'(teacher). She was a great woman evangelist who had worked mainly at the Kyungsang Province through the period of social upheaval in Korea after the 8.15 Liberation and 6.25 Koream War. Woo Tae Suk 'sunsang'(teacher), born in 1915 at the Bulnodong, Taegu, had experienced a deep grace of God through the messages of Rev. Il Chul Choi and tried to live a 'God-centered life'. Since then, her home became a training center for the prospected Church leaders. At this so-called 'School of Prophet' the great evangelist Woo Tae Suk emphasized an independent mission policy and showed a genuine modeling Christian life. She had led a revival meeting and provoked a 'thorough repentance movement'. Revelation, the last book of the New Testament, was her favorite part of the Bible to preach. Focusing on the urgency of the Christ Return, she emphasized a thorohgh repectance and the holy life in the presence of God. The repentance that she had emphasized was not a mere superficial lip repentance, but the change of the deep heart which leads to the radical change of human life. She had also emphasized a thorough public repentance confessing one's sin before the relevant people. There is not doubt at all that Our Lord caught Woo Tae Suk 'sunsang'(teacher) in his mighty hand and had worked through this great unknown woman evangelist for His church. Praise the Lord. Amen.

      • 공정한 한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 칼빈의 견해를 중심으로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1 고신신학 Vol.- No.13

        본 논문은 한국 교회가 공정한 한국 사회 실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고찰함에 있어서 제네바의 종교개혁자 존 칼빈 (John Calvin, 1509-1564)을 모델로 삼았다. 16세기 사회적 상황에서 칼빈의 공정성 (fairness) 이해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기초로 한 개념이며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율법을 지키고 상호간에 사랑의 직무를 행하는 것에 집중된다. 여기에서부터 곤경에 처한자에 대한 배려가 도출되며 다른 사람의 소유를 존중하는 정신도 생겨난다. 공정한 제네바 사회를 위한 칼빈의 역할은 크게 법률 전문가로서의 역할, 교회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나누어서 생각될 수 있다. 먼저 법률전문가로서 그는 <교회법령>을 작성하여 교회내에서 협력정신과 질서를 확립함으로써 공정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제네바 시에서 제네바시민법 개정에 동참하였고 사치금지법을 위시한 다양한 법률제정에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서 공정한 사회 실현에 이바지 하였다. 공정한 제네바 건설을 위한 칼빈의 실질적 역할은 그의 교회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집시제도의 확립을 통해서 제네바의 구빈원의 내실있는 운영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가난한 자들이 더욱 공정한 환경 속에서 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었다. 프랑스 기금은 제네바에 정착한 프랑스피난민들을 돕기 위한 일종의 자발적 제도로서 구호활동 뿐 아니라 모든 피난민들의 자녀들에게 그들의 능력에 걸맞는 교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공정한 제네바 실현에 기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칼빈의 본보기로부터 한국교회가 공정한 한국사회 구현을 위해서 공헌할 수 있는 바를 다음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안했다. 사회봉사를 위한 예배와 교회 교육의 회복과 실천, 집사제도의 재고를 통한 교회 내의 공정성 확보, 기독교 윤리의 보편성에 나타난 공정성에 대한 강조, 사회봉사에 있어서 전문성 확보를 통한 공정성의 확립, 사회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천.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of Korean Church to the realization of fair Korean society. It is the author's conviction that Calvin's role in development of fair society in Geneva during 16th century can function as a good model for accomplishing our purpose of achieving a fair Korean society and the role of Korean church for this purpose. In 16th century social setting, Calvin's understanding of fairness in Genevan society was largely based upon the concept of love for God and love for the neighbor. Fairness was sought on none other than the law of God showing great respect for divine love and its actual in terms of concern and care for the poor in the society. Calvin's practice for a fair society can be summarized in two categories of his ministry. First, Calvin pursued fairness as an expert in the field of law. He had written not only Ecclesiastical Ordinances (1541) for the Genevan church but also civil laws in the city including various laws. In Ecclesiastical Ordinances Calvin was able to show forth the concept of fairness by emphasizing corporate solidarity, collegiality, and euality among the pastors within the Genevan Church. Also he had indirectly influenced the legislation of the sumptuary law which was an attempt for equality to be reinforced regardless of one's status. Second, Calvin pursued fairness in society as a church minister. His influence can be seen in the establishment of deacons for properr care of the hospitals and Bourse française. Hospitals in Geneva, even though not 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hurch, had exercised the duty of taking care of the poor with fairness. Bourse française had provided fair opportunities to the French refugees in Geneva for them to realize their potential by preparing funds, educational facilities, etc. In light of Calvin's ministry in Geneva, fiv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Korean Church to possibly contribute for establishing a fair Korean society: recovery of worship and education for social service in the church, reconsiteration of the current office of deacon in the church, emphasis on the universality of Christian ethics as a proper element for accomplishing fairness in the society, necessity for acquiring expertise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s in the church, necessity for education toward society.

      • 오병식장로의 고신(고려)파 경건과 정신

        조성국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3 고신신학 Vol.- No.5

        고신교단 경북노회는, 노회 태동기로부터 발전기에 걸쳐 고신파(고려파) 경건과 정신을 자신의 성숙한 인격과 교회를 위한 봉사활동으로 구현함으로써 고신파 그리스도인의 싱앙적 모범을 보여주었던 서문로교회 오병식 장로(1911-1986)를 2003년 4월 노회 제50주년기념행사에서 기념해야 할 인물로 선정하였고 그의 생애와 사상을 회고하였다. 오병식은 해방이후 대구지역의 청년신앙부흥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열정적으로 봉사하였다. 당시 고려신학교를 중심한 그리스도인 지도자들은 일제시대 박해 하에서 저질러졌던 한국교회의 우상숭배 배교, 부도덕한 생활, 정치적 교권 등을 회개함으로써 교회를 개혁하고자 마음깊이 호소하였다. 이러한 호소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교권주의자들은 고려신학교 지지자들을 총회에서 제명하기로 결정하였고, 그 결정이 점차 지역 노회까지 내려와 적용되었다. 경북노회는 총회의 결정에 따라 고려신학교 지지자들에게 면직으로 경고하고 위협하였다. 그 위협은 결국 서문교회에서 고신파 정신에 동의하는 청년들을 면직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서문교회 장로였던 오병식이 반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결정을 돌이킬 수 없게 되자, 오병식 장로는 제명자들과 함께 고신파 운동의 첫 교회인 서문로교회를 설립하였고, 한국교회역사에서 회개로 거룩해진 새로운 교회의 설립과 발전, 그리고 대구경북지역에서 동일한 고신파 정신의 교회를 설립하고 지원하는 일에 자신의 생을 바쳤다. 오병식 장로의 고신파 경건과 인격과 정신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그는 하나님 앞에서 무섭게 정직하려 하였고, 하나님의 말씀에 대하여는 철저히 순종하려 하였다. (2) 그는 사소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단지 자신이 간접적으로 연루되었다는 이유만으로도 철저하게 회개하는 태도를 보였다. (3) 그는 나서기를 좋아하지 않는 겸손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서문로교회 사역자들은 강한 동지의식을 가지고 협력하여 엄청난 하나님의 일을 해 낼 수 있었다. (4) 그는 고신파 교회 건설을 위해 자신이 성직자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를 위해 자신의 생애를 드렸다. 교회를 섬기는 일은 그의 생애며 무보수의 직업이었다. The Kyungbuk presbytery of the Kosin denomination of Korea Presby terian Chrurches declared openly the late presbyter Oh Byung-Sik(1911-1986) as a historically typical Kosin Christian model in the 50th Birthday Memorial Seminar in 2003. The presbyter Oh had consecrated his life to the spiritual revival and humble leadership through Kosin repentance movement. He built and developed the Sumoonro church the first Kosin one in the Kyungbuk province with devoted partners, just after Kosin Theological Seminary advocates had been dismissed unlawfully by the church authority controlled by unfaithful authoritarian leaders. He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Kosin churches both in spiritual revival and in number. He was a humble spiritual leader to give wise advice to christians coming to him with personal and ecclesiastical problems. He himself revealed Christlikeness in his personality, attitude and deeds, instead of in talkative and eloquent words. The Kosin denomination piety and ideology was concretely represented by Oh's devoted life and attitude. Some chracteristics of his pious personality and service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1) honesty in front of God and thorough obedience to the words of God, (2) thorough repentance in everyday life, (3) partnership from his humble heart, (4) life long self sacrificial devotion to the development of Kosin churches.

      • 다문화 사회, 다문화 가정 : 교회의 역할

        이병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1 고신신학 Vol.- No.13

        Korean society today moves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resulted from a several factors: the globalization, 'Korean Dream' by the growth of Korea's economy, 'Korea Fever' by the influence of the Korean drama, movie, and entertainment stars and the young people's avoidance of 3D(Difficulty, Dirty, Danger)jobs. There is now the great influx of foreign workers and students from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Vietnam, Indonesia and Filipino. Eventually, the rate of inter-cultur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y is rapidly growing in Korea society. However, there is two sides of 'the light' and 'the darknes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gatively, the Korean society and church have faced a lot or problems such as a cultural prejudice, a race discrimination, a inter-cultural marriage, an educational and poverty issue. If the Korean society does not endeavor to solve the problems it can become the "Risk Society" which Ulrich Beck predicted in his book. Positively, Korean church today has a great opportunity to evangelize them from 'the centripetal mission' perspective which Begnt Sundkler traces through the Old Testament. Now the Korean church looks for not only a several solutions to the problems, but also a several strategies from cultural, biblical, missiological and social welfare perspectives. Culturally, Korean church tries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is ready to accept it by the cultural training based on the Bible. Biblically, it learns multi-cultural family in the story of Ruth. Ruth and Boaz story is a good model for inter-cultur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y. Moabite woman Ruth as a foreigner with Naomi of her mother in law, battered by life's tragic blows-famine, exile, grief, loneliness, bacame the ancestor of the King David after Ruth had met and married Boaz. Missiologically, many intercultural married women and men are Muslims. It is not easy for the Korean missionaries to evangelize Muslims in their own countries. However, it is a great opportunity to reach out to them in Korea.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many multi-cultural family are in the problems of poverty, the children care and education. The Koream church can look for the biblical solution of the problem in the story of Baoz's mercy(Hebrew. Hesed). The most obvious examples are the practice of gleaning for the poor and the role of the kinsman0-redeemer. In sum, it is the time for the Korean church to accept the evangeliza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s a new mission paradigm. 얼마 전(금년 3월) 외국인 근로자 모임 후 필리핀 자매를 아내와 함께 승용차로 약 30분 정도 소요되는 김해 상동의 집까지 태워 주었다. 집 안에는 시어머니가 밭일을 하고 계셨고 그 시어머니 옆에 젊은 여자가 밭일을 돕고 있어서 친딸 인줄 알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베트남 여성으로 그 시어머니의 며느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시어머니의 두 아들의 며느리 중 한명은 필리핀, 다른 한명은 베트남 여성이었다. 농협중앙회는 금년을 "다문화가정 지원 확대 원년"으로 선포하고 "농촌 사회의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로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보았다. 10년 후 농촌 절반은 다문화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하고 농업의 미래가 이들에게 달려있다고 보았다. 오늘날 농·어촌에는 결혼가정 10가정 중 4가정이 국제결혼이고 이 현상은 농·어촌 지역에만 국한 될 것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용산에는 국제 이주자가 10%를 차지하고 무슬림 여성들이 사용하는 '부르카' 문제도 조만간 제기될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와 3D 직종 기피로 이민의 적극적 수용 가운데 국제이주자와 다문화 가정 증가로 한국은 다문화 사회로 갈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런데 최근(7월22일) 노르웨이에서 일어난 비극적 테러사건은 다문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사회로 하여금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였고 언론 및 방송은 그 사건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울리히 벡이 그의 책 『위험사회』에서 지적한대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치밀한 대비가 없다면 한국도 유럽처럼 위험사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 가운데 담론과 대안이 제시되었다. 핵심어는 '톨레랑스'(Tolerance, 관용)였다. 노르웨이 사태 후 국내 한 일간지는 희생자들에게 헌화된 장미를 이렇게 묘사했다. "테러의 땅에 장미 바다...오슬로의 가슴에 톨레랑스가 피어났다". 부일 읽기 김현정 독자위원의 "노르웨이에서 다문화의 길을 묻다"(8월1일)에서도 톨레랑스가 강조되었다. 최근 영국의 폭동(8월10일)이후 폭도에 아들 잃은 무슬림 아버지가 "슬픔 억누르고 톨레랑스 호소하다"는 기사에서도 동일하였다. 톨레랑스는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화두(話頭)이다. 모더니즘이 강조하는 보편성과 획일성 대신 포스트모더니즘이 강조하는 다름과 차이를 포괄하는 가장 매력적인 용어이다. 이 사상에 기초한 것이 유럽의 다문화정책이다. 노르웨이 사건은 지난해 말 독일의 메르켈 총리, 금년 초 영국의 캐머런 총리와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의 다문화주의 정책 포기와 궤를 같이 하는 가운데 일어났다. 이들의 "다문화주의 포기" 발언은 1970년대 그것을 처음 도입한 호주와 캐나다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유럽의 다문화주의 포기를 한국은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프랑스의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는 어떤 문명이나 민족도 다른 집단 보다 우월한 것이 없다고 주장함으로, '우수한' 서구 문명이 '미개한' 원시문화를 지배한다는 서구 우월주의의 편경을 깨뜨렸다. 그 책 「야생의 사고」는 이런 서구의 오만한 '환상에 대한 해체'를 선언하였다. 그는 이런 인류학적 연구의 결과로 문명의 우열을 뛰어 넘어 상대방의 문화를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며, 공존과 상생의 의식을 가지게 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국제이주자와 다문화 가정을 '그들'과 '우리를' 하나 되게 하는 데는 '2%'가 부족하다. 이유는 레비스트로스의 나라 프랑스에서 최근 이런 철학에 기초한 다문화 정책을 포기하는 가운데 그들이 주장한 톨레랑스의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것들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국제이주자와 다문화 가정에 대한 톨레랑스 및 다문화정책을 유지하되 그것이 가지는 피상성을 경계하자는 것이다. 이런 다문화주의 포기는 그들이 주장하는 톨레랑스의 사상적 피상성에 기인한다. 이 피상성은 캐머런과 사르코지의 우파정권이 국익 때문에 다문화주의를 포기하는 것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다문화정책과 톨레랑스의 전유물인 유럽 좌파는 우파의 다문화 정책 포기를 비관하지만 그것이 수사(修辭)로 그친다면 그 피상성을 피할 수 없다. 해결책은 진정성이다. 인간에 대한 진정성이다. 프랑스의 유태인 철학자 레비나스는 서양철학을 모두 "존재론"이라 못 박고 그것을 한 마디로 '주제 중심'의 철학이라고 주장했다. 이 철학은 인식의 대상으로 모든 것을 자기중심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이'와 '다른것'에 대한 관심과 배려 대신 그들을 자신의 욕망의 충족과 정복의 대상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레비나스는 이 서양 철학을 "전체주의적 철학", "전쟁의 철학", 그리고 "이기주의적 철학"이라고 단죄한다. 그가 이런 서양 철학을 비판하는 이유는 서구가 식민지 정복과 1,2차 세계대전이 '주체 중심'의 철학 즉 '전체주의'와 '전챌의 철학'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그가 시도하고자 한 것은 "전체성의 철학, 또는 전쟁의 철학에 대항해서 어떤 무엇으로 환원될 수 없는 개인의 인격적 가치와 타자에 대한 책임을 보여주는 평화의 철학"이었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주체중심'의 철학에서 생겨나는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