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rogen exposure causes the progressive growth of SK-Hep1-derived tumor in ovariectomized mice

        Oh Sungryong,Kwon Hee Jung,Jung Joohee 한국독성학회 2022 Toxicological Research Vol.38 No.1

        Liver cancer, one of the leading death causes, has different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in men and women. The influencing factor is considered to estrogen. However, the role of estrogen in liver cancer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strogen on tumor progression. Total RNA sequencing was analyzed in SK-Hep1-derived tumor tissues, and 15 genes were expressed only in female mice. Among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matrix metalloprotease 7 (MMP7), germ cell associated 1 (GSG1), and chromosome 6 open reading frame 15 (C6orf15)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overall survival rates based on their expression level in liver cancer patients. Interestingly, exogenous estrogen aggravated SK-Hep1-derived tumor growth in ovariectomized (OVX) mice. When OVX mice were treated with exogenous estrogen, SK-Hep1-derived tumor tissues exhibited high MMP7 expression levels and low GSG1 and C6orf15 expression levels. These expression pattern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liver cancer patients with low overall survival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genes are expected to be prognostic biomarkers of liver cancer.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estrogen exposure may promote tumor growth in OVX mice.

      • KCI등재

        Sex‑dependent effects of estrogen pellets in human liver cancer xenograft models

        Sungryong Oh,Kiheon Choi,Kyoung Mee Kim,Joohee Jung 한국독성학회 2020 Toxicological Research Vol.36 No.2

        Liver cancer shows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rate and mortality between genders. To investigate the estrogen effect on tumor progression in liver cancer, we developed a xenograft model using estrogen pellets. SK-Hep1 cells (human male liver carcinoma) were inoculated into male or female nude mice. Subsequently, estrogen pellets were subcutaneously implanted into these xenograft models. Interestingly, the marked adverse effect of estrogen pellets (0.5 mg/21 days) were observed in the male-derived xenograft model, with increased ulcerative dermatitis in male mice than in female mice. Additionally, necrosis was observed in male mice with SK-Hep1-derived tumors. However, the estrogen pellet (0.5 mg/60 days) did not exhibit these adverse effects. Tumor growth in female mice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estrogen (0.5 mg/60 days). Tumor growth was also suppressed in male mice implanted with estrogen (0.5 mg/60 days), but the suppression was not significant. We found that estrogen-induced skin damage was more severe in male mice than female mice. The tumor suppression of estrogen was effective in female mice compared to male mice bearing liver canc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ex difference affects estrogen activity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eclinical assessment.

      • SCISCIESCOPUS

        AMPK–SKP2–CARM1 signalling cascade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utophagy

        Shin, Hi-Jai R.,Kim, Hyunkyung,Oh, Sungryong,Lee, Jun-Gi,Kee, Minjung,Ko, Hyun-Jeong,Kweon, Mi-Na,Won, Kyoung-Jae,Baek, Sung Hee Nature Publishing Group, a division of Macmillan P 2016 Nature Vol.534 No.7608

        <P>Autophagy is a highly conserved self-digestion process,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homeostasis and viability in response to nutrient starvation(1-4). Although the components of autophagy in the cytoplasm have been well studied(5,6), the molecular basis for the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regulation of autophagy is poorly understood. Here we identify co-activator-associated arginine methyltransferase 1 (CARM1) as a crucial component of autophagy in mammals. Notably, CARM1 stability is regulated by the SKP2-containing SCF (SKP1-cullin1-F-box protein) E3 ubiquitin ligase in the nucleus, but not in the cytoplasm, under nutrient-rich conditions. Furthermore, we show that nutrient starvation results in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dependent phosphorylation of FOXO3a in the nucleus, which in turn transcriptionally represses SKP2. This repression leads to increased levels of CARM1 protein and subsequent increases in histone H3 Arg17 dimethylation. Genome-wide analyses reveal that CARM1 exerts transcriptional co-activator function on autophagy-related and lysosomal genes through transcription factor EB (TFEB).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CARM1-dependent histone arginine methylation is a crucial nuclear event in autophagy, and identify a new signalling axis of AMPK-SKP2-CARM1 in the regulation of autophagy induction after nutrient starvation.</P>

      • Traumatic Elbow 환자에 있어 Modify Elbow Oblique View 촬영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귀철(GuiChul Lee),오윤아(Yuna Oh),김동영(DongYoung Kim),권순안(SoonAn Gwon),김성룡(SungRyong Kim),민관홍(GwanHong Min)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3 No.-

        목적: Traumatic elbow 환자 또는 소아환자에 있어 기존 elbow oblique 촬영은 환자가 자력으로 position을 취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손상 부위의 움직임으로 인한 고통 유발 및 상태 악화 등으로 촬영을 포기하거나 정상적 영상 획득이 힘들다. 따라서 검사 시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modify elbow oblique 촬영을 연구하여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 키며 작업종사자가 받아야 할 불필요한 피폭을 줄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실험에는 X-ray 촬영을 위한 DR system (Discovery XR656, GE, USA)과 영상 평가를 위해 PACS (INFINITY Healthcare, Korea) system을 사용 하였다. 대상은 정상인 성인 10명으로 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Original elbow medial & lateral oblique view 촬영과 modify elbow medial & lateral oblique view 촬영을 1회 하였다. Modify view 의 경우 환자는 true AP position에서 medial oblique 과 lateral oblique 각각 15° 에서 40° 까지 5° 간격으로 tube angle을 주어 촬영 하였다. Tube의 angle의 경우 medial oblique 은 내측으로 lateral oblique는 외측으로 주어 original 촬영법과 흡사한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촬영 후 영상은 PACS로 전송하여 방사선사 3인이 평가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modify elbow medial oblique의 경우 tube angle 을 medial 쪽으로 35°~40° 정도 주었을 때 평가 항목별 적절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lateral oblique의 경우는 tube angle 을 lateral 쪽으로 30° ~ 35° 주었을 때 평가 항목별 적절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Traumatic 환자에 있어 modify elbow oblique 촬영의 경우, 환자의 고통 감소와, 손상 부위의 보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보여지며, 특히 협조가 어려운 소아환자 촬영의 경우 기존 작업 종사자가 환자를 잡고 촬영해야 하는 방식 때문에 작업종사자의 피폭이 있었지만, modify 촬영법의 경우 환자가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종사자의 피폭을 줄이 는데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study is to research a modified elbow oblique photography in order to minimize the patients’ movements which minimize the patients’ pain and the unnecessary exposure of the employee. Subject and Method: The subjects were 10 healthy adults the method was to photographthe original elbow medial & lateral oblique view and the modified views once each. After the photography, the images were transmitted to PACS and was evaluated, compared, and analyzed by 3 radiologists. Result: In the case of the modified elbow medial oblique an image relative to the evaluation category was obtained by giving 35°~40° tube angle towards the medial, in the case of the lateral oblique an image relative in the evaluation category was obtained when the tube angle was given 30° ~ 35° towards the lateral. Conclusion: In a traumatic patient the photography of the modify elbow oblique show the minimization of the patients’ pain, the conservation of the impaired region, especially in pediatric patients.

      • Digital Mirror를 위한 인터렉티브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훈(Kihoon Lee),정지홍(Jeongji Hong),반영환(Younghwan Pan),오성룡(Sungryong Oh),박진우(Jinwoo Park),조현철 (Hyuncheol Jo),이동욱(Dongwook Lee)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인간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변화된 인간 생활 중 가장 큰 변화는 기술의 발전 이전에 사용되던 각종 제품 및 도구들이 디지털 기술의 힘으로 새롭게 재탄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재탄생된 제품 및 도구들은 사람과 제품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서로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Digital Mirror를 들 수 있다, 기존 인간 생활에서 사용되던 일반적인 Mirror가 최근 들어 Digital Mirror라는 새로운 형태의 제품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Digital Mirror는 일상생활 속에서 기존 거울을 대체하고 있으며,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현재 Digital Mirror는 광고, 인터렉티브 아트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Digital Mirror# 새로운 제품 산업군으로 확대하여 신사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콘텐츠 제작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Digital Mirror의 인터렉티브한 콘텐츠 제작을 목적으로, 기존의 인터렉티브한 콘텐츠 사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콘텐츠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아이디어를 통해 어린이 사용자를 타곗으로 새로운 사용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컨셉을 정하여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사실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주는 콘텐츠 제작방향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놀이와 참여,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놀이 도구라는 개념으로 AR기술을 이용해 캐릭터를 좀 더 사실적으로 체험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어린이 사용자가 캐릭터 마커를 착용하고 Digital Miiror앞에 서게 되면 캐릭터 마커에 해당되는 3차원 입체영상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어린이 사용자의 모습과 합성되어 사실적인 캐릭터 콘텐츠를 체험 할 수 있게 해 주는 콘텐츠이다.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를 3D로 제작하여 캐릭터 소스로 활용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저작 툴을 개발 완료하여 제작하였다.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실제 Prototype 제작하였다.

      • SCISCIE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