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신봉자 ( Shin Bong Ja ),김혜순 ( Kim Hye Soon ),이명희 ( Lee Myung H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게 비디오를 이용한 유머중재가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인 상태불안과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비디오 유머중재 선행 연구(Kim & Suh, 1996; Suh & Kim, 1994)에 의하면 입원환자들은 유머의 내용으로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아침보다는 점심 때를 더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10-20분, 20-30분의 순이었고,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유머를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혈액투석 환자는 외래환 자로서 혈액투석이 주 3일,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개별적으로 침상TV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중간인 오전에 30분간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하였다.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Beck의 도구로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19,34점에서 12,73점으로 6.60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21.42점에서 19.04점으로 2.38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비디오 유머중재 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중재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켰다는 Lee 등(200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정도는 Lee 등(2006)의 연구에서 21.9점, Yun, Yang과 Hahn(1999)의 연구에서 22.9점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Lee 등(1995)이 우울 점수 9점 이하는 정상(normal), 10-15점은 경한(mild) 우울상태, 16-23 점은 보통 (moderate) 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severe)우울상태로 구분한 것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는 보통의 우울상 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ung의 도구로 검증한 Kim 과 Suh(1996)의 연구에서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결과와 Suh와 Kim(1994)의 유머중재가 항암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울과 관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즉 Suh와 Kim(1994)의 연구대상인 암환자의 경우중개기간이 항암제 치료기 간으로 항암제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머중재에 관심을 적게 갖지 않았나 하는 점도 고려할 수 있다. Kim과 Suh (1996)의 연구대상인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로 기동 성장애를 경험하는 환자들은 기동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Suh와 Kim (1994)의 암환자의 우울점수 39,9점보 다 많은 42점으로 나타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h와 Kim (1994)은 우울은 상황적인 요소라기보다는 특성적인-요소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간호중재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머중재 연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간에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혈액투석이 끝나는 1 시간 3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였으나 Kim과 Suh (1996) 의 연구에서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1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유머중재 전에 우울도구와 우울점수에 따른 유머중재의 횟수와 시간, 내용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디오 유머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혈액투석시간 이외에도 대상자들 간에 서로 바라보며 웃기도 하고 큰소리로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치료를 평생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심리 · 정서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혈액투석환자들만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투석을 받는 시간만이라도 의료인들이 대상자의 심리 · 정서적 지지방법으로 비디오 유머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투석시간외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유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유머중재 전 · 후 상태불안, 혈청 코티졸을 검증 한 결과,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나 혈청 코티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은 실험군은 43.86점에서 35.08 점으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은 47.85점에서 49.71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머중재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는 Suh와 Kim (199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들의 불안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Kim과 Suh (1996)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상태불안 점수 43점은 기동성 장애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3점(Kim & Suh, 1996), 척추손상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Song, 2003), 암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Kam, 2003)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동성장애 환자의 경우 생명에 위급함을 느끼기 않는 만성적인 질환인 반해 일상생활에서 생명의 위급함을 느끼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에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통하여 불안이 더욱 더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불안은 주관적 근심과 걱정에서 오는 막연한 것으로 두려움, 근심, 죽음이나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Jo & Sung, 2000). 혈액투석환자의 불안은‘투석기계에 생명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것’,‘ 가족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투석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의 예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치료계획에 따라 기계에 의존해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들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머중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혈청 코티졸 검정결과에서 실험군은 8.64㎍/dL에서 13.12mg/dL으로 4.47㎍/dL 증가, 대조군은 8.85㎍/dL에서 16.29㎍/dL으로 7.43㎍/dL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혈청 코티졸 수치가 2.96㎍/dL 더 높게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을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H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오전에 검사한 혈청 코티졸의 정상범위가 6-28 ㎍/dL임을 감안할 때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혈중 코티졸 농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한 Daugirdas, Peter와 Todd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러나 Heo (2007)의 연구에서 실험군은 0.30 ㎍/dL, 대조군은 1.57㎍/dL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코티졸 상승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는 투석중에 개인별로 유머비디오를 적용하였으나 Heo (2007)의 연구에서는 투석이외의 시간에 집단별로 웃음요법을 시행한 결과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CRH-ACTH계의 활성증가를 통해 CNS에 의해 매개되는 코티졸 분비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Galla & Luke, 1996). 혈장 코티졸 농도의 증가폭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자극 세기에 비례하며, 스트레스는 질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질병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질병과 치유과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혈액투석환자들은 Glucocorticoid의 활동으로 조직의 저항에 의하여 혈중 코티졸 수치가 올라가고 반감기가 증가된다(Daugirdas et al., 2001). 또한 코티졸 수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투석과정에서 혈청 코티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혈액투석환자들의 투석 전, 중, 후에 따른 비디오 유머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정과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umorous video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3) and a control group (n=21). Treatment was watching humorous video tapes 30 min each time, three times a week. The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xiety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Cortisol was measured by a blood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test, and t-test. Resul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umorous video tape could be a usefull tool at home and clinical sett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 SCOPUSKCI등재

        경막외 Morphine, Morphine 과 Nalbuphine 병용투여, Morphine 과 Droperidol 병용투여가 제왕절개술 후 통증조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비교

        김혜자,이정은,김동일 대한마취과학회 2001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1 No.3

        Effect of Epidural Morphine, Morphine with Droperidol and Morphine with Nalbuphine after a Cesarean Section Tong0Il Kim, M.D., Hye-Ja Kim, M.D., and Jung-Un Lee, M.D.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Background: A number of recent reoprts have described the usefullness of the epidural injection of narcotics for the relief of postoperative pain. Morphine, an ??-receptor agonist, produces strong analgesic effects with side effects. Nalbupine, a ??-antagonist and ??-agonis, has an analgesic effect comparable to morphine with little side effects. The comparison of side effects and analgesic effects of epidural morphine with little side effects. The comparison of side effects and analgesic effects of epidural morphine alone and a combination of nalbuphine and droperidol respectively to morphine were sutudied in cesarean section patients. Methods: We divided 45 patients into 3 groups utilizing a two-day Boxter infusor in normal saline 100 ml at 2.0 ml/hr: Group M (n = 15) initially a 1 mg bolus + 2 mg/day of maintenance morphine. Group M + D (n = 15): initially received a 1 mg bolus + 2 mg/day of maintenance morphine + 1.25 mg/day of maintenance droperidol. Group M + N (n = 15): initially received a 1mg morphine bolus + 2 mg/day of maintenance morphine + 5 mg/day of maintenance nalbupine. The Analgesic effect was evaluated by a visual analogue scale (0-10) at 30 min, 4 hr, 12hr and 24 hr postoperatively and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was observed too. Results: The average VAS scores are below 3 in all groups.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group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de effects between groups except sedation of patients is significantly (P < 0.05) high in group M + D.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analgesic effect of epidural morphine, morphine with nalbuphine and morphine with droperidol are good in all patient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even though there is a belief that a combination of nalbuphine or droperidol increases analgesic effects of morphine. Comparing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in the three groups, the sedative effect of morphine with droperidol i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other two groups.intubation. (Korean J Anesthesiol 2001; 41: 324~329)

      • 各種魚類 및 菜蔬類中 아미노산의 成分分析 (I) : By Two Dimensional Paper Chromatography Method Two Dimensional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한 分析

        金惠子 淸州敎育大學校 1983 論文集 Vol.20 No.-

        The principal food of Korean people is polished rice specifically among various cereals and the side dishes are meats, fishes and vegetables. Although Meats are composed of ample proteins and contain ample Amino Acid, under the present national economic living level they take more fishes and vegetables than meats. The writer has analysed what kings of Amino Acid are contained in the hydrolyzates of various kinds of fishes and vegetables. From the samples obtained in the hydrolysis of fishes and vegetables, the writer has confirmed that, after an experiment of analyzing the samples by the method of two dimensional paper chromatography, essential Amino Acid and separate Amino Acid and etc. are proportioned equally in general.

      • KCI등재
      • KCI등재

        길 ·소매원형제도에 관한 CAI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정과 수업의 효과분석

        김해정,이혜자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199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5 No.-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CAI programs for bodice and sleeve pattern drafting for the 3rd 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and to compare the students' achievement degree in using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ith that in using CAI programs. On the basis of results abov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using computers in education home economics is another aim. For this study, after the programs are developed, which is on the model of middle school text book, one hundred girl students of 2nd grade of middle school in Songpa Gu, Seoul, who have two groups: one is called comparsion group, which is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hich is taught by CAI programs. To evalute the learning achivement degree, evaluation test,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interest degree test and time test are given. Questionaire investigation about CAI program i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AI programs on pattern drafting are developed and can be used in the class. 2. In the tests of achievement degree, of effectiveness, and of interest the experimental group gets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ison group. 3. In the time test about how many students can draft the pattern in a given time, in every step mor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finished drafting than the comparison group. 4. The students showed interest in CAI programs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using computers. Therefore, using CAI programs in the class of pattern drafting saved the teachers lots of difficulties and enables individual learning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 hope the studies of CAI will be established in other fields as well as Home Economics, especially clothing part, and computers will used lively.

      • SCOPUSKCI등재

        김치 starter 용으로 분리한 효모의 동정

        김혜자,이철수,김영찬,양차범,강상모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4

        김치발효로 인해 생성되는 유기산 중 젖산과 초산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며, 통기적 성질을 가지며, 어느 정도 저온성(10℃)과 내산성(pH 3.2)의 성질을 갖는 11균주를 김치로부터 순수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균주는 형태적, 배양적 및 생리적 특성에 의해 진균류에 속하는 3종류의 속으로 분류되었다. 첫번째로 YK-6과 YK-10 균주는 Debaryomyces속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YK-10 균주는 Debaryomyces coudertii로 동정되었고, 두번째로 YK-11, YH-4 및 균주는 Pichia속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YK-11 균주는 Pichia media, YH-4 균주는 Pichia chambardii, 그리고 YH-5 Pichia haplophilia로 동정되었다. 세번째로 YK-12, YK-17, YK-18, YK-19, YK-20 및 YH-3 균주는 Saccharomyces속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YK-19 균주는 Saccharomyces fermentati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의 산 이용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최소배지 및 젖산과 초산의 유기산 첨가 배지에서 생육도를 측정하였는데 균분리시와 틀리는 미량금속이 함유되지 않은 최소배지에서도 모두 자랐다. 특히 Saccharomyces sp. YK-17와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가 생육상태가 비교적 좋았으며, 두 균주 모두 젖산 0.3%과 초산 0.6% 첨가시는 낮은 생육을 보였다. 이중 YK-19 균주는 25℃에서 보다 10℃에서 더 잘 자라는 저온성 균주로 판명되었다. The eleven strains, which could be used lactic and acetic acids as carbon sources,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the strains were facultative microorganisms which could be grown at low temperature (10℃) and around pH 3.2. As results of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5 species of 3 genera were identified as Debaryomyces coudertii, Pichia media, Pichia chambardii, Pichia haplophilia and Saccharomyces fermentati. Each strain was grown in basal media. In acidic resistance and acid utiliztion test, Saccharomyces sp. YK-17 and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were grown well in basal and YM media containing 0.3% lactic acid. And two strains were grown in basal and YM media containing 0.3% lactic acid and 0.6% acetic acid. Since strain YK-19 was grown better at 10℃ than that in 25℃, strain YK-19 was known to be a psychrophilic strain.

      • 김치의 제조 및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성 변화

        김혜자,나영아,양차범 韓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8

        김치의 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새로운 양념을 김치원료 무게의 0.5%가 되게 다른 부재료 배합시 함께 첨가하여 대포장 김치(벌크 제품, 3kg, 5kg)와 소포장 김치(500g)를 각각 제조하였다. 포장단위에 따라 숙성, 저장 및 포장 조건을 달리하여 각 실험군간의 pH, 총산도, 미생물의 경시적인 변화, 김치발효 중 가스압력의 변화 및 관능검사 등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28일째에 대포장 김치는 신규양념을 첨가하여 24시간 숙성 후 냉장 보관한 BB-1군에서, 소포장의 경우 신규양념을 첨가하여 숙성시키지 않고 4초간 진공포장한 PA-2 군이 다른 실험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총산도는 대포장 김치에서는 BB-l 군이, 소포장의 경우 PA-2군이 각각 0.79%와 0.78%로 산생성이 가장 낮았다. 포장내의 가스압력 및 미생물 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포장의 경우 PA-2군이 타 실험군에 비해 내부압력이 가장 낮았고, 산패의 주요 원인 균주로 알려져 있는 Lactobacillus 屬과 군덕맛과 이취를 생성하는 균주로 알려져 있는 Yeast의 번식이 저해되었고, 김치의 상큼한 맛과 탄산미를 더해주는 Leuconostoc 屬의 번식은 상대적으로 촉진됨을 보였다. 대포장의 경우는 BB-1군이 신맛을 유발시키는 Lactobacillus 屬과 Yeast의 번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Leuconostoc 屬의 번식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도 미생물의 변화와 일치하였는데, 대포장 김치의 경우 신규양념을 첨가하여 저장용기에 담아 24시간 숙성 후 포장한 BB-1군이 자연스럽게 국물이 생성되고 혐기적 환경이 조성되어 김치 고유의 맛과 향미가 가장 잘 유지되었으며, 소포장의 경우는 포장 작업시 위생적인 측면과 작업 효율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신규양념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지 않고 곧바로 진공포장하여 4℃에서 냉장 보관한 PA-2 군에서 김치의 맛과 향미를 월등히 향상시키는 이중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신규양념을 첨가한 실험군(PA-2, PB-2)이 신규양념을 첨가하지 않고 숙성 후 포장한 CB-2 군 김치와 유의적인 차이(P<0.05)로 높게 평가되었다. Large packaged Kimchi (bulk product, 3kg, 5kg) and small packaged Kimchi were made with adding development new spice for improving preservation of Kimchi when blending with other sub-material (0.5% of total Kimchi material weight). It was studied pH, total acidity, change of microorganism, change of gas pressure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with various factor for maturation. The change of pH in large packaged Kimchi was shown higher level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 in cold preserve BB-1 group after 24hrs mature with adding new spice. The same result can be made PA-2 group with new spice, vaccume packing for 4 see which doesn't have maturation. BB-1 group and PA-2 group are the lowest level in total acidity, large packed Kimchi and small packed Kimchi, separately. As the result of studying changes of microorganism and gas pressure in inner packing, PA-2 group was the lowest in the inner pressure and be shown to inhibit growth of Lactobacillus sp. group and Yeast, to activate growth of Leuconostoc sp. group. relatively. The result of sensory test is the same with change of microorganism. BB-1 group with 24hrs mature in the preserve container after adding new spice made original Kimchi which had the best taste and odor in large packing. PA-2 group which doesn't have mature, vaccume packing, cold preserve at 4℃ after adding new spice considering sanitation and working efficiency made much more nice result in small packing. In evaluation of total acceptability, experimental groups with adding new spice (PA-2, PB-2) were significantly (P<0.005) highed between CB-2 which mature and packing without new spice.

      • 한방재료를 첨가한 타조 추출액의 영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애정,여정숙,장준혁,우경자,김혜진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2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chemical composition, macro- and micro-mineral contents of ostrich bone with flesh meat (BF), ostrich bone with flesh meat with herb medicine (BFH) and ostrich bone with internal organs (BI). Crude fat of the BFH was lower, but crude protein and crude ash of the BF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BF and the Bl. Among the minerals, Ca, P. Mg, Fe, Cu, Zn content of the BF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ent in the BF and the BE The minerals, Ph, Cd and As were not detected in ostrich and herb medicine extracts. From the sensory, test of ostrich and herb medicine, the preferenc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ostrich bone with flesh meat with herb medicine (BFH), ostrich bone with flesh meat (BF), and ostrich bone with internal organs (BI) in extracts.

      • 김치의 양념조성 변화에 의한 보존성 증진 효과

        김혜자,양차범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99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7

        Replacement of sugar and monosodium glutamate with complex seasoning (mixture of glucose, starch, citric acid and dietary fiber) on storage stability of Kimchi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H, total acidity, reducing sugar and ascorbic acid, sensory properties and microorganism of Kimchi were compared to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he pH changes during fermentation showed a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acidity of complex seasoning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addition of complex seasoning prolonged optimum ripening time of Kimchi by two-fold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in two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abruptly after 15 days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slowly as the acidity of Kimchi increased. The change of reducing sugar during Kimchi fermentation were more in complex seasoning group. The ascorbic acid showed less decrease in complex seasoning group than control group during fermentation. The content in former two times than the latter at 30 days fermentation The microbial changes in two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otal microorganism flora and Leuconostoc sp. However,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p which was main acidifying microorganism for Kimchi fermentation was inhibited by approximately 10 times by complex seasoning addit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urness taste, texture and appearance, and total acceptability showed higher in complex seasoning group than control group, especially more after 15 days fermentation.

      • 김치 제조 및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성 변화

        김혜자,나영아,양차범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8

        Large packaged Kimchi (bulk product, 3kg, 5kg) and small packaged Kimchi were made with adding development new spice for improving preservation of Kimchi when blending with other sub-material (0.5% of total Kimchi material weight). It was studied pH, total acidity, change of microorganism, change of gas pressure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with various factor for maturation. The change of pH in large packaged Kimchi was shown higher level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 in cold preserve BB-1 group after 24hrs mature with adding new spice. The same result can be made PA-2 group with new spice, vaccume packing for 4 sec which doesn't have maturation. BB-1 group and PA-2 group are the lowest level in total acidity, large packed Kimchi and small packed Kimchi, separately. As the result of studying changes of microorganism and gas pressure in inner packing, PA-2 group was the lowest in the inner pressure and be shown to inhibit growth of Lactobacillus sp. group and Yeast, to activate growth of Leuconostoc sp. group. relatively. The result of sensory test is the same with change of microorganism. BB∼1 group with 24hrs mature in the preserve container after adding new spice made original Kimchi which had the best taste and odor in large packing. PA-2 group which doesn't have mature, vaccume packing, cold preserve at 4℃ after adding new spice considering sanitation and working efficiency made much more nice result in small packing. In evaluation of total acceptability, experimental groups with adding new spice (PA-2, PB-2) were significantly (P<0.005) highed between CB-2 which mature and packing without new sp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