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윤인경,김성교,이정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research quality about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based on the studi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mics Educa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in home economics and find out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The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While the numbers of articles appeared in The Korea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re increasing,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oes not show the increase the number of articles.According to the historical changes and distribution, the majority wa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eaching materials.Also, from the point of view in research thesis, there were more articles in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than any others.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types of research, survey was most frequently used.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the sizes of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journals, but the one group research was most frequent and one certain research area was dominant.The teams consist of two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and junior high and high school were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institutions. Generally, it is hard to find research grant. Though there is much difference in numbers of references based upon various journals, almost all articles cited reference date not only from Korean articles, but also from international articles.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 관련 논문을 게재하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를 종합하여 가정과 교과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과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최근의 가정과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가정학의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학회지 발행 현황과 게재된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의 분량에서는 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같이 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한가정학회지에는 그 반대이다. 연구 영역별 분포와 시대별 변천은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연구 주제 단원이나 영역은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구 유형은 대부분이 조사연구로 연구 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 집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자 구성이 다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규모는 학회지별로 규모에 차이가 많았으며, 대상 지역은 1개 지역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구성은 2인 경우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학교 및 연구기관별 게재 현황은 중.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다. 연구비 수혜 상황은 대체로 낮았으며, 참고문헌의 종류는 국.내외 모든 논문을 제시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참고문헌의 수도 학회지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 분석;성과와 과제

        조병은,이현정,이종희,주현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조재순,전미경,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has served as the premiere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he semiannual meetings, the journal, and other informal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members and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in reacting to the many challenge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outh Korea had to encounter due to the social and curricular changes. This study reviews the past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s accomplishments in term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activities.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conducted, followed by thorough analyses of the semiannual meetings, informal activities, and the journal. The article is also discussing future tasks that the Association would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thrive to accomplish in order to continue serving its role of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1989년에 창립된 이래,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학술대회, 학술지 및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이 분야의 주요 학술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사회적 환경 및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가정과교육이 맞게 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회는 회원들을 조직화하고 학술공동체를 이끄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활동을 검토해 봄으로써 학회가 이루어 온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가정과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과, 지금까지의 학술대회 및 특별활동,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앞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발전 방안

        김승희,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Home Economics(HE) teachersʼ culture by figuring out acknowledging characteristics of cultures of HE teachers and impeding factors on development of HE education. For this intensive interview were used. Intensive interviews were made with 14 HE teachers who completed coursework for masterʼs or doctorʼs program of graduate school and belong to HE Teachersʼ Study Associations of each region o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nd analyzed by subjec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establish the philosophy of HE education, and practice education to provide profit to adolescents, their families, as well as society through HE class with their belief that HE is a practical and critical subject to benefit individual adolescents, families, and society. Second, HE teachers form culture to make an effort to continue to improve their expertises by attending graduate school, joining HE teachersʼ associations to enhance teach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and work ability or disclosing their own class. Third, HE teachers settle culture to conduct classes focusing on practical issues by converting the paradigm of HE education to that of practical critique. They also see that the system of three actions(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and emancipative action) should be applied in circulating ways to improve quality and value of life. Forth, for impeding factors of development of HE education, there are educational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However, with HE teachersʼ efforts, HE education settles well, as it reflects demands from students and society, finds studentsʼ talents, and actualizes its own goals. HE teachers believe that student will recognize that HE education is necessary for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s a way to develop Home Economics teacher culture,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more Home Economics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and working in research sessions in each area. It also called for a control tower to enable and lead collaborative networks between local Home Economics curriculum research committees.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each region and be able to help Home Economics teachers by moving more quickly and systematically to cope with the upcoming changes in education. Finally, participants said that in order to prepare a basic framework for the chan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actical critical Home Economics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this e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ess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by taking a deeper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hilosophy for Home Economics teacher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가정과교육 발전의 저해 요소를 밝힘으로써 가정과교사 문화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집중면접의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으며, 각 지역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소속 석사과정 이상인 가정과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응답 자료 분석을 위해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의 철학을 정립한 후 가정교과가 청소년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를 이롭게 하는 실천비판교과라는 신념을 확고히 가지고 가정과수업을 통해서 청소년과 그들의 가정, 더 나아가 사회에 유익을 주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교사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가정교과연구회에 가입하여 수업 방법, 평가 방법,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업을 공개하는 등 지속해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 패러다임을 실천비판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실행해야 한다는 문화를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그들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를 순환적으로 적용하여 삶의 질과 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가정과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에는 교육제도와 사회적 인식이 있었다. 하지만 가정과교사들의 노력으로 가정과교육은 학생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 학생의 적성을 찾아주며 가정교과의 목표를 잘 살린 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이를 통해 가정과교사들은 학생들이 가정교과가 개인과 가정의 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교과라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 가정과교사문화의 발전방안으로 가정과교사들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에서는 더 많은 가정과교사들이 연구회에 참여하고 활동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끼리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이를 이끌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각 지역의 교과연구회의 중심점 역할이 되어서 다가올 교육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조직적으로 움직여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가정과교사들의 힘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는 가정과교육의 변화를 위한 기초적 틀을 마련하기 위해 실천 비판적 가정과교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가정과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생들이 더욱 깊이 있는 가정교과교육철학을 수강함으로써 가정교육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여 유능하고 성숙한 가정과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 최근 10년간(2009. 3~2018. 12)을 중심으로

        이정규,김은경,조재순,Lee, Jeong Gye,Kim, Eun Kyung,Cho, Jaeso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2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2009. 3~2018. 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전체논문 354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논문 발간현황(권, 호, 게재논문 수, 발간형태)과, 형식(연구자 수와 구성, 쪽수, 표와 그림 수, 참고문헌 수와 참고문헌 중 JKHEEA 논문 수), 내용(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주제어)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학회지운영을 점검하고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서 가정과교육 관련연구를 선도하는 독보적인 전문학술지의 지위를 유지해오고 있다. 학회지발간은 2003년 이후 연 4회 발간체제를 지키고 있으나 게재논문수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은 단독연구와 공동연구가 2:8 가량인 추세를 유지하면서 2인 공동연구가 가장 많긴 하지만 최근에는 3인 이상 다인수저자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저자구성은 절반 이상이 교수와 대학원생이나 교사로 구성된 2, 3인 공동연구논문이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게재논문의 형식에서는 논문의 쪽수, 표와 그림수, 참고문헌 수에 있어 범위가 넓게 분포하여 개별논문 간 차이가 큰 특징을 갖고 있다. 대략 절반 이상의 논문이 이들 평균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나 우측으로 길게 뻗은 소수의 논문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중 JKHEEA 문헌 수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논문투고신청서와 심사항목에 이들 항목을 추가하여 개별논문의 특수성을 열어두면서도 느슨한 범위에서 게재논문의 공통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학회지 게재논문 내용의 전체적인 추세는 여전히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많긴 하지만 그 집중도가 완화되면서 교과서와 교육과정 등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교육과 교과내용 통합연구가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연구로 이어져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학회지 게재논문의 내용면에서는 가정교과교육학회지로서의 정체성이 좀 더 뚜렷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주제어 수는 대체로 평균(4.2개) 좌우인 3~5개로, 소수가 1개부터 최대 10개까지 제시하고 있어 앞서 논문 쪽수 등과 함께 점검절차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주제어의 4/5 가까이가 단지 해당논문 한 곳에만 제시되어 있으며, 총 354편의 논문 중 5편 이상의 논문에 공통으로 쓰인 주제어도 31개(3.2%)뿐으로 학회지를 상징하는 주제어의 공통성이 매우 낮아 유사한 주제어 표기를 가능한 통일성 있게 체계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주제어가 논문의 핵심부분인 논문제목과 연구목적, 연구내용에 반영되어 상관성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학회지창간 30주년을 맞아 이상에서 밝힌 게재논문의 변화추세를 반영하여 학회지 특색을 살리면서 게재논문 수를 확보하기 위한 투고규정 등의 점검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during the last decade since 2009. In total, 354 articles from 10 volumes, 40 journal books, were analyzed. This amount to 42.3% of total articles in the JKHEEA for the past 3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journal continuously decreased by approximately 5 articles each year. More than half of articles were co-authored as a joint-research between professors and teachers or graduate students. The numbers of pages, tables, figures, and references vary greatly among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KHEEA. The reviewers and authors would need to check if the pages, tables/figures, or references are indispensable, especially in case there are extremely large number of them. Even though survey research with students as participants is still the most common types of research among recent articles, its percentage is decreasing and diverse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analysis of textbook or curriculum literature are being used. Also, research integrating the pedagogy and educational content, and in turn developing and evaluating educational programs is increasing, which indicates that the journal identity has become better-defined. It is advisable that authors select the key words that are more relevant to the title,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journal revises the publication regulations so that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may be reflect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중등 가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녹색생활교육

        장상옥,이연숙,박미정,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ements of green life education reflected in the Korean and Japanes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a. Although sustainable living at home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main issues of Home Economics since the first curriculum period, green growth education has more reinforced in recent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a of both countries. Thus the 2007 revised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Korea and 2008 revised middle school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Japan were analyzed. The content analyses were done to examine the elements of green life education reflected in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Contents dealing Strategies’ parts of the curriculum through two checking steps. The elements of green life education were included in all parts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a of both countries except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part of Japanese Curriculum.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Curricula, the element of green life was the most frequently and concretely reflected in the ‘Contents’ part, contrary to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part where the element was the most rarely and abstractly reflected.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green life education were more emphasized than the theoretical ones in both countries' curricula. The green life educational elements need to be included in all part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with concrete manner to ensure these elements to be reflecte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o be actively implemented in classroom.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중등 가정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내용취급에 명시된 녹색생활 교육내용의 관점을 비교ㆍ분석하는데 있다. 한국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ㆍ가정,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가정과학과 일본의 2008 고시 중학교 기술ㆍ가정, 2009 고시 고등학교 가정기초, 가정총합, 생활디자인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정 교육과정 분석결과, 양국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내용취급’ 요소에 모두 녹색 생활 교육의 다양한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양국 모두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에 녹색생활 교육 측면이 가장 많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반면 ‘성격’과 ‘목표’ 요소에는 반영 정도도 낮고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으로 반영되어 있다. 양국 교육과정 전반에 나타난 가정교과에서의 녹색생활 교육은 이론적 측면보다는 가정생활 전반에 걸쳐 실천적이고 체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었다. 녹색생활 교육 요소가 적고 편중된 내용영역은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발할 때 관련 내용의 보완이 요구되며, 핵심 내용요소는 사실적 지식 제시를 넘어서 환경과의 관련성에서 구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윤남희,손상희,Yoon, Nam-Hee,Sohn, Sang-H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과정을 통해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을 살펴보고,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단계에 따라 통일교육지침서와 통일교육 선행 연구, 북한이탈주민 관련 선행 연구와 2015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추출한 뒤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고, 두 차례의 전문가 집단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종 개발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목표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남북한 생활문화의 차이를 존중하고 공동의 가치를 발견하며, 통일사회에서의 발생 가능한 실천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로 선정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내용 체계는 '생활문화 중심의 통일교육'을 핵심주제로 선정하고 내용 요소들은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남북한 소비생활환경의 이해, 남북한 생활문화 관련 언어, 북한 음식을 포함한 지역별의 식생활 문화의 다양성 유지, 사회적 규범과 옷차림, 올바른 주거가치관과 공동주거생활 예절의 6가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앞서 도출된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다. 셋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교수 학습 과정안은 통일에 대한 문제 인식하기,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하기, 행동의 결과 및 파급효과 파악과 대안적 방법 선택하기,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하기의 4가지 주제를 포함한 총 8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35개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contexts affecting life culture through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o select the goal and contents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o form healthy unification community an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Unification Education Pre-Study, Pre-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sis of the 2015 Revision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Korea, Goal and content system. Based on this, we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a student activity place applying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fter extracting practical problems, and prepared a final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wo expert group eval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is to 'Based on the social-cultural context, we develop the ability to cultivate healthy reunification by resp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ures of the two Koreas and discovering common values in a unified society and resolving practical issues in a unified society.'. Second, the content system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unification education was selected as the core theme of 'Unifica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Living Culture'. The content elements were comprehending the socio - cultural context that affects the life culture of the two Koreas, Related language, maintenance of diversity of dietary culture in each region including North Korean food, social norms and attire, correct housing value and common living etiquette. Based on the goal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school curriculum, we selected practical issues as 'What should we do to create a healthy unified community?'.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o recognize the problem of unification,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culture of the two Koreas, to grasp the effect of the action and the ripple effects, to select alternative methods, And 4 subjects for 8 teaching learning course plan, and 35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가정과교육에서의 개정 교육과정의 과제와 방향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 분석 결과를 기초로-

        김은정(Kim Eeun Jeu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2

        한국 사회는 급격한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야기한 교육과정의 변화와 다문화교육관련 내용이 현재 2007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에 의거해 제작된 7학년가정교과서에 다문화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가정과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에 명시된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이 교과서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그 구체적인 내용과 그 목표 수준은 무엇인지를 분석․제시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문화교육의 제 이론들, 다양한 접근 방법과 아울러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개정 교육과정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7학년 가정교과서 여섯 종을 중심으로 개정 교육과정과 국제이해교육 관련 문장 서술과 삽화 등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면 개정 교육과정과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이 부족할 뿐 아니라 그것도 대부분 동화주의적 관점에 입각한 것들이었다. 이러한 교과서로는 가정과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문화사회에 필요한 문화적인 안목이나 감각, 능력을 갖추어 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되는 8학년 가정교과서부터는 개정 교육과정과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을 적극적으로 담아낼 뿐 아니라, 단순한 다문화 소개에 그치지 말고 여러 문화를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세계 시민 의식을 양성할 수 있도록 질적인 면에서의 제고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fact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needs revising as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goes dramatic changes; this change demonstrates that Korea society now turns into a multicultural community. In this vei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incorporated the ess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that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program into the coursebook, and to suggest which part of the coursebook needs revising to enhance its validity. To attain this goa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two programs are implemented in secondary school, and to propose how tho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address the immediate needs of the current society. To illustrate, this study examines a variety of theories and methodology on ho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alo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society. In addition,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acquire empirical data from 6 coursebooks —the frequencies of statements and visual aids that are considered to be directly reflect the essence of two program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wo programs are relegated into a lesser position compared to other programs; furthermore, they lack materials to deepe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al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fore, the considerable revision needs to be conducted to embrace the ess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programs, and sensitize students to the immediate needs of the current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