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추사(秋史)의 「송자하입연십수병서(送紫霞入燕十首幷序)」고(攷) -추사(秋史)의 근세문학사적(近世文學史的) 위상(位相) 정립(定立)을 위하여-

        김갑기 ( Kab G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북학의 고증적·실사구시학이 17·8C 조선후기 학·예론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본고는 북학이야말로 우리의 영성한 근세문학사, 혹은 문화사를 벌충할 의식의 전환기였다고 전제하며, 북학의 학·예론을 한 시대의 신사조, 혹은 새 의식의 패러다임으로 솔선한 추사의 학·예론을 선배 자하의 연행(燕行)에 즈음해 써 준 시 「송자하입연 10수 병서」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창작 동기는 경학은 물론, 금석 및 고증학, 그리고 감식안의 1인자일 뿐 아니라, 수많은 시·서·화 진적과 해박한 관련 지식을 가진 옹방강(翁方綱)을 만날 것을 권유하며, 그를 만났을 때 의 필담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 했다. 그 10수의 짜임은 크게 서시·본사·결사 3단으로 구성되었다. 제 1수는 연행 사실과 옹방강을 만난 감회로 시상을 열었으며, 본사 8수는 그의 심오한 학문 및 저술(2수), 그의 기본 서체가 전자체임과, 서법의 정도를(3), 그의 서실 시경헌 편액의 유래와, 다양한 고전적 자료(4·5). 동파의 상을 소재로 그에 대한 존상과, 담계에 대한 연모(6·7), 왕어양에 비긴 옹방강 문제들의 생일 수연회(8), 옹의 사실적 시 및 시론(9), 그리고 결사는 당나라의 진귀한 비석과 많은 서화, 한나라의 무량사상 등 희귀한 유물들이 언젠가는 또 사라질 것이라는 애상적 감상으로 시를 맺었다. 남는 문제는 옹방강을 발신자로 한 수신자 「자하와 추사의 시·서·화 비교론」을 목표로 하되, 우선 「추사의 담계 수용론」, 「자하의 담계 수용론」, 「17·8C 근세문학사론」 등 후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The Northern School(北學)`s Silsagusihak, the Study of Empiricism and Scholarly Precedent, had a great impact on the arts and science of the late Chosun Dynasty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the Northern Learning had truly provided an occasion to enrich incompleteness of the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or the history of culture, the current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thoughts on arts and learning of Chusa (秋史), who led the new thoughts of the times and a paradigm of new consciousness by analyzing the `Sending Jaha off to the Yan (燕) State, Ten Poems.` The motivation for his writing the poems was to encourage meeting with Weng Fanggang (翁方綱), a leading figure in the epigraphy,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es as well as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who also had good discerning eyes with abundant data and extensive knowledge about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It was also aimed at informing Jaha for his dialogue with Weng Fanggang when he met with the latter. The ten poems consistof three phases: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The introduction part, the first two poems, starts with two poetic concepts: Chusa`s visiting to the Yan State and his feelings for Weng. The next eight poems, the body of the poetry, describes the following subjects respectively: Weng`s profound knowledge and works based on historical researches (2) his basic calligraphy style, a seal character style, and the right way of brush writing (3) the history of the tablet of his library, Sigyeongheon (詩境軒) and various classic data in the fourth and the fifth one; reverence for Weng based on Dongpa`s figure (東坡像) and a longing for Weng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one; a pleasant situation that Weng`s disciples congratulates Weng on his birthday in the eighth one; an explanation of Weng`s realistic poems and poetics in the ninth one. Lastly, the tenth poem concludes with sad feelings, depicting the poet`s sad feelingsthat precious stone monuments and lots of calligraphy works of the Tang Dynasty and portraits of numerous wise men and masters and rare relics of the Han Dynasty would fade away some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