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립유치원 일반 유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김은경,Eunyoung Grace Jung,백상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2

        In this study, general teachers of K-do public kindergartens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for teaching disabled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inclusive education of the responding kindergarten teachers was generally high, but the teacher efficacy for teaching disabled children was generally low at the average level.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training hours and inclusive class experience,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raining hours. In addition, training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teacher efficacy. The influence of these background variables was examin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K도 공립유치원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한 일반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 시간 및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특수교육연수 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 관련 연수는 전반적 교사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통합교육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유아교사에 대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객관적 자료 확보를 위해 표본 확대를 통한 연구 및 교사 효능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통합교사의 교육과정 수정전략 인식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 분석 연구

        백상수(Baek Sangsu),배정윤(Bae Jungyoon),Jung Eunyoung Grac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 유아가 재원하고 있는 공립 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의 20 가지 구체적 실제들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에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수정에 대해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개선이 필요한 실제들을 확인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교육과정 수정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한 반면 교육과정 수정이 현장에서 보통 주순으로 실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 수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구체적으로 활동 계열화 조절, 선호하는 사람 배치, 활동/교구 선호도 활용 등 3가지 구체적 실제들을 장애 아동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교육과정 수정전략이라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settings. Particularly, their percep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20 curriculum modifications practices were examined. In additi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to identity the specific practice to improve. As results, respondents rated more highly the importance of all practice comparing it to their medium level rating of performa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identified three specific practices to improve; activity arrangement, adults and peers reference, activity, and material preference.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