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MRI로 측정한 3 차원적 종양종괴 크기와 종양표지물질 SCC Ag치와의 상관관계

        김미란,송찬호,이은주,오기석,유희석,장기홍,정태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저자 등은 아주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32명,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환자 15명, 정상 대조군 10예를 대상으로 혈청 SCC Ag치와 MRI로 3차원적 종양종괴의 크기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 혈청 SCC Ag의 평균치는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6.0ng/ml로서 정상 대조군의 0.5ng/ml,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환자의 1.6ng/ml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조직학적 세포형태에 따른 SCC Ag의 평균치 및 양성율은 평평세포암 23예에서 5.7ng/ml 및 48%로서 선암 4예의 1.7ng/ml 및 25%, 선평평세포암 3예의 1.6ng/ml 및 33%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혈청 SCC Ag와 MRI로 측정한 3차원적 종양종괴 크기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 4.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혈청 SCC Ag치와 육안적으로 측정한 2차원적 병변의 크기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14). 결론적으로 치료전에 MRI로 측정한 3차원적 종양종괴의 크기는 혈청 SCC Ag치와 같이 치료후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SCC Ag(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level and tumor volume measured b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we studied 32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rcinoma, 15 patients wi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10 healthy women who were admitted to Aju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December 1, 1994 to Aug 31, 1995. Serum SCC Ag levels were measured by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technique va IMx SCC assay and tumor volume was measured with 1.5 T Signa System(GE, Milwaukee, WI., USA) by obtaining sagittal and axial views with Fast Spin Echo T2 weighted series and consequently reconstructed to 3 dimension, calculating the mean value.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The mean value and positive rate of SCC antigen were higher in invasive cancer(6.0 ng/ml and 50%,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0.5ng/ml and 0%, respectively) an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1.6ng/ml and 26%, respectively). 2. The mean value of serum SCC antigen level was more elevated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5.7ng/ml) than in patients with endocerival adenocarcinoma(1.7ng/ml) and adenosquamous cell carcinoma(1.6ng/ml).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Serum SCC antigen level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umor volume.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SCC antigen level and clinical lesion siz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onclusion, it would be suggested that measurement of pretreatment serum SCC antigen levels and tumor volume by MRI are helpful in pretreatment prognostic factor after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