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량 태양광 모듈용 폴리머-이종접합 박형 커버유리 개발

        박재철(JaeCheol Park),오창원(ChangWon Oh),정성원(SungWon Jung),김태원(TaeWon Kim)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6 신재생에너지 Vol.12 No.3

        A thin cover glass fabricated by laminating a polymer film and sodalime glass (SLG) was developed for lightweight photovoltaic (PV) modules.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over glass with a thickness of 3.2 mmT, the thin cover glass has a stacking structure of polycarbonate (PC) film / ethylene vinyl acetate (EVA) film / SLG. The thin cover glass was fabricated by a lamination process, in which a 0.5 mm thick PC film, 0.5mm thick EVA film, and 1.8 mm thick SLG were used.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i.e., process temperature of 130℃ and duration of 10min, the weight of the thin cover glass with a polymer-interlayer was reduced up to 28%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ver glass with a thickness of 3.2 mmT. The transmittance of the thin cover glass was 90% at a wavelength of 550 nm (@550 nm). Furthermore, post treatments, such as damp heat and UV irradiation tes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the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a results, the transmittance of the post-treated samples was 90% (@550 nm) and the adhesion strength revealed an average force of 150 N at an extension length of 20~120 mm, demonstrating that the silicon PV module fabricated by the thin cover glass had very stable PV parameters: V<SUB>oc</SUB> (37.59V), J<SUB>sc</SUB> (8.57A), F.F (0.77), Eff. (15.51%), and P<SUB>max</SUB> (247.7 W).

      • KCI등재

        EN 13203-2에 기초한 가정용 가스보일러 온수성능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평가방법

        오석호(Oh, Seokho),송기종(Song, kijong),강재철(Kang, Jaecheol),강영각(Kang, yeonggak) 표준인증안전학회 2020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0 No.3

        최근 선진국에서는 과거의 효율등급제도 개선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네덜란드, 이탈리아를 포함한 유럽연합(EU)의 경우, 2005년을 기점으로 해서 지구 온난화 대책 및 에너지 사용기기의 고효율화와 친환경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Eco-design Directive와 같은 제도를 적극 추진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정용 가스보일러를 최우선 품목으로 지정하여 2007년에 Eco-design of Boiler를 발표, 2011년에 강제 적용된 “Eco-design Directive” 발표, 2015년 “ErP 2015 Directive” 발표에 따라 난방효율 및 온수 효율이 낮은 제품은 시장진입을 금지하였으며, 온수량, 온수조절능력, 온수사용량에 따른 온도변화 등의 요건을 관련 표준에서 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조건에 따른 온수공급성능 시험을진행하였으며, 시험에 필요한 온수에 대한 일일 공급 프로그램은 EN 13203-2에 따라 가정의 주방과 욕실에서사용되는 온수로 정의하였다. 유럽에서는 온수 에너지효율을 38% 이상(일반 가정용 보일러 용량, XL)이 되어야설치가 가능하며, 이 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럽의 난방 및 온수 효율 기준을강화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국내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제조사의 유럽 지역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자체 제작한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과정을 소개하였다. Recently, developed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former efficiency rating system. In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EU) including the UK, Germany, the Netherlands, and Italy, starting in 2005, systems such as the Eco-design Directive have been actively promoted in order to reinforce global warming measures, high efficiency and eco-friendliness of energy-using devices. In th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the Eco-design of Boiler in 2007, the “Eco-design Directive” enforced in 2011, and the “ErP 2015 Directive” in 2015,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Eco-design of Boiler in 2007 by designating the gas boiler as the top priority. Products with low heating efficiency and hot water efficiency were prohibited from entering the market, and requirements such as hot water quantity, hot water control capacity, and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hot water consumption, etc were set in the relevant standards. This study conducted a hot water supply performance test according to various usage conditions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a household gas boiler. The daily supply program for hot water required for the test was defined as hot water used in home kitchens and bathrooms according to EN 13203-2. In Europe, hot water energy efficiency must be above 38%(General household gas boiler capacity, XL) to be installed, and if this value is not satisfied, it cannot be used.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to strengthen European heating and hot water efficiency standards, the test process was introduced using self-produced test equipment in order to secure the quality competitiveness of domestic products and promote exports of manufacturers to Europe.

      • 복합재료로 제작된 레저보트의 설계 정보 교환을 위한 현황 분석

        이재철(Jaecheol Lee),오대균(Daekyun Oh),문두환(Duhwan Mun)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8

        레저보트의 건조 과정에서 설계와 인증을 위해서 다양한 도구와 시스템이 필요하나 레저보트 개발을 위한 통합 설계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건조 중심의 레저보트 개발 환경에서는 설계 및 생산 시스템의 자동화가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간의 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복합재료로 제작된 레저보트의 설계 정보 교환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관련 산업 데이터 표준, 설계 자동화 시스템, 업무 단계별 복합재료 데이터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이중 멱승과 오류 확산 기법을 이용한 RSA-CRT에서의 물리적 공격 대응 방법

        길광은(KwangEun Gil),오두환(DooHwan Oh),백이루(YiRoo Baek),하재철(JaeCheol Ha) 한국정보보호학회 201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0 No.2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에 기반한 RSA-CRT 알고리즘은 오류 주입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이 실험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RSA-CRT 알고리즘에 대한 현재까지의 오류 주입 공격 방어 대책을 분석하고 최근 제시된 Abid와 Wang이 제안한 대응 방법의 취약점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중 멱승과 오류 확산 기법을 사용한 오류 주입 공격 대응책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오류 확산용 검증 정보를 이중 멱승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계산하도록 하였으며 수동적 부채널 공격인 단순 전력 분석 공격과 (N-1) 공격에 강한 멱승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Many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RSA-CRT algorithm can be broken by fault analysis attacks. We analyzed the previous fault attacks and their countermeasures on RSA-CRT algorithm and found an weakness of the countermeasure proposed by Abid and Wang.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opose a new countermeasure which uses both double exponentiation and fault infective computa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efficiently computes a fault verification information using double exponentiation. And, it is designed to resist simple power analysis attack and (N-I) attack.

      • 원전 기기 이상 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LED 배열 데이터 복원 기법에 관한 연구

        박재순(JaeSoon Park),양소이(Soi Yang),최유락(Yurak Choi),이재철(Jaecheol Lee),배지훈(Ji-Hoon Ba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0 No.10

        본 논문에서는 원전 기기의 이상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무선 센서 시스템에서 센서 모듈이 전송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무선 통신이 제약되는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특수한 환경에 무선센싱을 적용하기 위하여, 센서 모듈에 탑재된 LED 배열 판넬에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원거리에 위치한 카메라가 이를 촬영하여, 촬영된 LED 배열 영상으로부터 제안된 영상 전처리와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의의 각도로 촬영되거나 주변 광원 잡음이 존재하더라도 LED 배열 영상으로부터 센서 모듈이 전송한 디지털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복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for restoring the sensor module’s information into digital data in a wireless sensor system for monitoring nuclear power plant faults. To apply wireless sensing to an exceptional environment such as a nuclear power plant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restricted, measurement data is first displayed on an LED array panel mounted on a sensor module. Next, a camera located at a distance captures it. Digital data is then restored from the captured LED array image using the proposed image preprocess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igital data transmitted by the sensor module can be reliably restored from the LED array image even when photographed at an arbitrary angle or there is a complex noise environment.

      • KCI등재

        부채널 공격에 대응하는 마스킹 기반의 블록 암호 LEA

        박은수(Eunsoo Park),오수현(Soohyun Oh),하재철(Jaecheol Ha)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7 No.5

        스마트카드와 같은 정보보호용 디바이스에서 평문 데이터를 직접 암호화할 경우 누설되는 부채널 정보에 의해 사용되는 비밀 키가 노출될 수 있다. 특히, IoT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된 LEA와 같은 경량 암호 알고리즘에서도 부채널 공격의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채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마스킹 기법을 소개하고 LEA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마스킹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하는 산술-부울 마스킹 변환 기법은 256바이트 정도의 메모리가 필요하지만 연산 시간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암호 알고리즘의 수행 속도를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약 17%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a cryptographic device such as smart card performs an encryption for a plain text, an attacker can extract the secret key in it using side channel information. Especially, many researches found some weaknesses for side channel attack on the lightweight block cipher LEA designed to apply in IoT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survey several masking countermeasures to defeat the side channel attack and propose a novel masking conversion method. Even though the proposed Arithmetic-to-Boolean masking conversion method requires storage memory of 256 bytes, it can improve the LEA encryption speed up to 17 percentage compared to the case adopted the previous masking method.

      • Eudesmin impairs adipogenic differentiation via inhibition of S6K1 signaling pathway

        Nam, Ki Hong,Yi, Sang Ah,Lee, Jaecheol,Lee, Min Gyu,Park, Jee Hun,Oh, Hwamok,Lee, Jieun,Park, Jong Woo,Han, Jeung-Whan Elsevier 2018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Vol.505 No.4

        <P><B>Abstract</B></P> <P>Eudesmin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diverse therapeutic effects, including anti-tumor,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However, its molecular action has not been implicated in metabolic disease. In this study, we show that treatment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with eudesmin disturbs adipogenesis via suppression of S6K1 signaling pathway. Eudesmin treatment inhibited activ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S6K1. Consequently, S6K1-mediated phosphorylation of H2B at serine 36 (H2BS36p) was reduced upon eudesmin treatment, further inducing the expression of <I>Wnt6</I>, <I>Wnt10a</I>, and <I>Wnt1</I>0b, which disturb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Moreover, eudesmin promoted myogenic and osteogenic gene expression in MSCs. Taken together, we found a novel small molecule, eudesmin, to block adipogene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S6K1-H2BS36p axis, followed by regulation of cell fate determination genes. This study suggests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with eudesmin to cure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P> <P><B>Highlights</B></P> <P> <UL> <LI> Eudesmin inhibits activation sand nuclear translocation of S6K1. </LI> <LI> Eudesmin promotes <I>Wnt</I> gene expression by reducing S6K1-mediated H2BS36 phosphorylation. </LI> <LI> Eudesmin disturbs adipogenic gene expression and de novo adipocyte generation. </LI> <LI> Eudesmin enhances myogenic and osteogenic gene expression. </LI> </UL>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