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정서통합계발 수업의 설계원리 및 방법 탐구: 교과기반 인지·정서통합수업모형을 중심으로

        김대석 ( Dae-seok Kim ),성정민 ( Jeong-min S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교육의 실천적 방법의 하나로 교과기반 인지·정서통합계발 수업의 설계원리와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인지·정서통합수업의 구체적 설계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정서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목표정서를 선정한다. 둘째, 정서구조의 위계성을 고려하여 1차 정서를 먼저 다룬 후, 복잡한 2차 정서를 다룬다. 셋째, 정서구조의 강약을 고려하여 강한 정서를 먼저 다룬 후 약한 정서를 다룬다. 넷째, 정서와 신경계통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신체 감각을 기제로 정서를 유발한다. 다섯째, 정서의 근접성과 구체성 원리에 근거하여 나와 거리가 먼 것보다 가까운 것을, 추상적이고 모호한 것보다 구체적인 것을 소재로 활용하여 정서를 유발한다. 여섯째, 정서효과의 단기 지속성을 고려하여 짧고 반복적으로 정서통합수업을 실시한다. 학습목표 선정 및 진술에서 목표정서는 단원내용과 관련되고 중요하며 교육적으로 가치있는 정서를 추출하여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추상적, 일반적, 문어체적 진술보다 구체적인 정서를 구어체로 진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몰입과 정서를 유발하는 분위기 조성, 활동선정, 매체활용, 리얼한 수업운영 등의 방법들도 적용되어야 한다. 인지·정서통합수업 설계 원리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행동변화, 인성교육, 심리적 안정감 형성, 수업몰입, 학습내용 각인, 학업성취도 향상 등에 효과적이나, 일관되지 못하게 나타나는 학습결과, 수업준비의 어려움, 제한적인 적용가능성 등의 한계를 가진다. For a long time, school educators have taken an interest in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abilities. However, cognition and emotion both affect students' thinking and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methods of cognition and emotion development integrative mode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arget emotion needs to be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ers' level of the emotional development. It is more effective learning complex and high-level emotions after learning simple and low-level emotions. Weak emotions are needed to be learned after learning strong emotions. It is effective to evoke emotion by using a student's physical sensation. It is effective to evoke emotion by using concrete topics which are familiar to learners. Emotion lesson is more effective when lesson is short and frequent(once a week). After choosing a target emotion with considering its educational value, the target emotion should be stated clearly and concretely.

      • KCI등재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김대석(Kim Dae-Seok),조호제(Jo Ho-Ja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공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후, 수준별 수업의 학업성취도 효과를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수학교과에서 공변량 분석 후, 수준별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위 및 하위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효과크기는 매우 미미하였다. 공변량 분석 전, 수준별 이동수업 실시에 따른 성적차이는 상위 및 하위집단에서 유의하였다. 그러나 공분산분석 후, 성적차이는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중위수준의 집단은 공변량 분석 후에도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적차이가 났으나, 효과크기는 매우 작은 편이었다. 결론적으로 수학교과에서 수준별 이동수업은 중간수준의 집단에서 긍정적인 성적차이가 나타났지만 크기가 작았으며, 상위, 하위 집단은 유의미한 성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동질집단 편성이 이질집단 편성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 가설이 증명되지 않은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사전에 예상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세밀한 준비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measured the effects of streaming on students performances of the mathematics score based on PISA 2009.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to measure the effect size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chieve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ing by ability into different classes on mathematics outcomes with PISA 2009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mid-level ability grouping into different classe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bility grouping classes and non-ability grouping classes. The effect size, however, was very small. In high and low level of students achievement, grouping by ability into different classes had n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ability grouping is not a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s in mathematics.

      • KCI등재

        린더(Linder)의 가설과 농산물 무역: 과일 및 채소류 수입을 중심으로

        김대석 ( Dae-seok Kim ),조규대 ( Gue-dae Cho ),서종석 ( Jong-seok Seo ) 한국농업정책학회 2010 농업경영정책연구 Vol.37 No.4

        Using a gravity eq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Linder hypothesis in agricultural trade. Rather than utilizing per capita income similarity generally used in this area, we used the climatic similarity as a proxy variable of the similarity of demand structure between countries. To examine the issue, imports data from 39 countries regarding fruits and 36 countries regarding vegetables from 1999 to 2008 to Korean market was used. This study finds that strong statistical evidence of the climatic similarity increases the agricultural trade between countries,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evidence of the Linder hypothesis explaining agricultural trade.

      • KCI등재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 한국과 핀란드의 PISA 2006 과학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김대석 ( Dae Seok Kim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PISA 2006 과학영역 자료를 재분석하여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이 PISA 2006 과학영역에서 높은 성취도를 낸 것은 교육내용/지식(β=.06)이나 교수학습활동(β=-.08)보다 많은 학습시간(β=.61)을 투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0교시 학습, 보충학습, 야간 자율학습 등 과학 공부에 많은 학습시간을 들인 결과 그나마 좋은 성취도 결과를 낸 것이며, 과학 교과의 교육내용/지식과 교수학습활동은 미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핀란드의 학습시간(β=.31)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내용/지식(β=.25)과 비슷하였으며, 교수학습활동(β=.12)도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란드는 또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활동 및 학습시간이 밀접하게 연계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도 학습시간보다 교육내용 및 지식과 교수학습활동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과학과 내용 특성에 맞게 적절한 교수학습활동과 학습시간을 채택·운영하는 방안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s of school curriculum on students performances in the science field based on PISA 2006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Finland.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to measure the effect size of school science curriculum on students scor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1) content/knowledge, 2) instruction, 3) learning time on students` science outcomes with PISA 2006 data using the LISREL 8.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oftware. The results are that much learning time(β=.61) was the main cause of South Korea`s high performance in PISA 2006 science field but content/knowledge(β=.06) and instruction(β=-.08) did a little impact on students`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In Finland`s PISA 2006 science field, content/knowledge(β=.25), instruction(β=.12), learning time(β=.31) all were having an impacting to students` outcomes and they were being closely correlated each other.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eded to flexibly correlate instruction and learning time with contents. If necessary, it is worth considering changing the contents of science to more new practical ones.

      •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안전 모니터링 정보 획득을 위한 Zigbee Sensor node 적용에 관한 연구

        김대석(Dae-Seok Kim),이경호(Kyung-ho Lee),이정민(Jung-Min Lee)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

        Recently ships and ocean platforms are getting more technological, unmanned, and huge. The maintenance and safety monitoring of the products are very important for the safety reasons. Therefore, the realtime monitoring of safety regions, such as engine room, hull structure, and so on, and environmental states like fire and pressure of LNG tanks, are required for the sustainable ships. In this paper, Zigbe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is suggested to monitor ships or ocean platforms effectively. But there are some telecommunication problems because the products are made of steel. To resolve this problem, we use mesh networking of Zigbee, which can monitor the regions and environmental states consistently. The telecommunication of monitoring system is tested on a real container ship and the performance is verified. The realtime monitoring results are displayed on the users" smart devices.

      • KCI등재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안전 모니터링 정보 획득을 위한 ZigBee Sensor node 적용에 관한 연구

        김대석(Dae-Seok Kim),이경호(Kyung-ho Lee),이정민(Jung-Min Lee) (사)한국CDE학회 2014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9 No.2

        Recently ships and ocean platforms are becoming increasingly technological, unmanned, and huge. Maintenance and safety monitoring of these products is very important for safety reasons. Therefore, real-time monitoring of safety regions, such as the engine room, and hul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states, like fire and pressure of LNG tanks, is required for the sustainable ships. In this paper, a ZigBe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is suggested to monitor ships and ocean platforms effectively. However, this causes some telecommunication problems because these products are made of steel. To resolve this problem, we use the mesh networking of Zig-Bee that can monitor the regions and environmental states consistently. The telecommunication of such a monitoring system is tested on a real container ship and its performance is verified. The real-time monitoring results are displayed on the users" smart devices.

      • Snap-through Induced Locomotion of Liquid Crystal Elastomer Filaments

        Dae Seok Kim(김대석)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Here, the LCE actuator in fibrous form, a pre-curved single LCE fiber is used as a building block to produce self-regulated actuation from N-fold closed loops where each fiber is geometrically constrained by the others. Upon heating, each fiber in the ring undergoes a twist-driven buckling, followed by snap-through. Since the rings are connected, the boundary conditions and number of fibers per ring play important roles in the actuation response. Through these results, I’d like to highlight the combination of geometric designs and anisotropic polymeric network of LCE materials is able to offer new insights to develop self-regulated complex motion of soft actuator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과 및 교과외 활동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석 ( Kim Dae Seo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국어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정서학습(SEL)의 중요성,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을 함양하기 위하여 실천하고 있는 교과 및 교과외 교육활동의 실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양국의 초중고 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과내·외 활동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LDA) 분석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이 모두 발견되었다. 양국 모두 사회정서학습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균형 잡힌 사회구성원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므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한국은 대인관계 관점에서 더불어 잘 살기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미국 교사들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조절하고 타인의 감정을 인식·공감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사회정서학습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것은 한국 교사들에게서 볼 수 없는 특징이다. 교과내 활동은 양국 공히 텍스트 기반 활동을 많이 하였다. 한국은 텍스트 등장인물의 감정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는 공감활동과 자신의 경험을 동료와 공유하는 활동이 많았다. 미국은 교과내·외 활동 모두 한국보다 다양하였다. 양국 모두 교과외 활동은 교과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였다. 한국은 상대에 공감하고 대인관계를 개선하고 책임있는 의사결정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학급회의 활동이 많았으나, 이것은 미국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미국의 경우 요가, 명상, 마음챙김 활동을 많이 수행하였으나 한국에서 이러한 활동은 수행하는 경우는 전혀 없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결론은 양국 교사들 모두 사회정서학습이 사회정서역량 함양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관련된 교과내·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활동의 실제에는 양국의 차이가 있으므로 향후 한국의 특성에 맞는 사회정서학습 수업모형,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cross-cultural study is to understand how language arts and literacy teacher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erceive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and in what ways these teachers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using academic and non-academic practices in a classroo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as used to analyze participants' open-ended survey responses. Findings show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eacher perceptions and practices. Although detailed examples of the SEL practices vary, teachers in both countri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SEL and appraise the benefits and positive impacts of SEL for students to become emotionally balanced, responsible, and contributing members of society. Teachers also valued the benefits of text-based activities to promot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pecific examples of non-academic practices are unique to each country.

      • KCI등재

        A. N. Whitehead의 관계맺음과 자기생성과정이 교육에 주는 함의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를 중심으로

        김대석(Kim Dae-seok),성정민(Seong Jeong-min)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58 No.-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implications of Whitehead's Relation & Becoming to education. We particularly studied their implications centered on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The process of education is evaluation itself. If the process is results and also results are the process of continuous becoming, evaluations are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the evaluations should exist in the process of education. Because if evaluation exists out of the process of education, its being(or life) terminates. This means the process of teacher's feelings and attitudes which is accompanied with evaluation is one of the process of education. The process of teacher's feelings and attitudes is evaluation itself. This is the process based evaluation. If realities are the process of continuous becoming, the process of education is also the process of becoming. If the process of becoming is the process of positioning, the process of education is also the process of finding student's position in the world. This means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to assist for students to find their positions in the world. Every being or reality has duality. This means that every reality has two characteristics. One is the complex connectedness as characteristic of micro-world and the other is the clear dividedness as characteristic of macro-world. Subject knowledges are kind of reality. They also have duality. They are connected complexly. They however, are divided clearly. We therefore, need to consider subject knowledges' duality while we integrate school curriculum. Prehension are evaluation, awareness, recognition, perception, understanding etc. Prehension is feeling itself according to Whitehead. That is, prehension is feeling and feeling surely accompanies the emotional tone of the subject. This is the subjective form. If evaluation accompanies emotional tones of subject, evaluation is never value neutrality. Evaluation surely accompanies teacher's feeling about students. Teacher's feeling while evaluating is natural. Teacher needs to use his or her feeling about students desir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