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영진(Yeong-Jin Chung),진의(Eui Jin),유지선(JiSun You)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본 연구는 화재 시 화재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Chung s equations 1, 2, 3, Chung s equations-II, -III, Chung’s equation-IV와 Chung’s equations-V, Chung’s equation-VI를 정립하였다. 이들 중 연기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 1, 2, 3을 정립하였다. 첫 째, 연기성능지수(smoke performance index, SPI), 둘 째, 연기성장지수(smoke growth index, SGI), 셋째는, 연기강도(smoke intensity, SI)를 수식으로 정립하여 연기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화재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화재성능지수-II (fire performance index-II, FPI-II)와 화재성장지수-II (fire growth index-II, FGI-II)로서 가연성 대상물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무차원 계수인 화재성능지수-III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와 화재성장지수-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의 값으로 계산하였다. 더 나아가 화재위험성지수-IV (fire risk index-IV, FRI-IV)로서 연소성 대상물의 화재성장지수-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에 대하여 화재성능지수-III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로 나눈 값으로서 종합적인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연기위험성을 평가를 표준화 하기 위하여 기준 물질을 사용하여 연기성능지수-V (smoke performance index-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moke growth index-V, SGI-V)를 정립하였다. 또한 종합적인 연기위험성 평가를 위하여 SPI-V와 SGI-V에 의한 Chung’s equation-VI (smoke risk index-VI, SRI-VI)를 정립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이 새로 정립한 화재위험성평가에 대한 이론을 활용하여 data base를 구축하고, 이를 건축물 설계 및 화재예방 대비책에 활용하고자 한다.
정영진(Yeong-Jin Chung),진의(Eui 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본 연구는 화재안전 설계를 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 1, 2, 3, Chung’s equation-II, -III, -IV, -V와 Chung’s equation-VI를 적용하였다. 첫째, 연기성능지수(smoke performance index, SPI), 연기성장지수(smoke growth index, SGI), 연기강도(smoke intensity, SI)를 적용하였다. 둘 째, 화재성능지수-II (fire performance index-II, FPI-II)와 화재성장지수-II (fire growth index-II, FGI-II)를 적용하였다. 셋 째, PMMA를 기준으로한 화재성능지수-III (fire grouth index, SI-III)와 화재성장지수-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를 적용하여 무차원 지수를 도출하였다. 넷 째, Chung’s equation-IV에 의한 화재위험성지수-IV (fire risk index-IV, FRI-IV)로서 연소성 대상물의 화재성장지수-III (FGI-III)에 대하여 화재성능지수-III (FPI-III)로 나눈 값으로서 화재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다섯 째, 연기위험성을 표준화 하기 위하여 기준 물질을 사용하여 연기성능지수-V (smoke performance index-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moke growth index-V, SGI-V)를 이용하였다. 또한 종합적인 연기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연기성능지수-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GI-V)와에 의한 Chung’s equation-VI (smoke risk index-VI, SRI-VI)를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화재위험성평가에 대한 이론을 적용하여 data base를 구축하고, 이를 건축물 설계 및 화재안전 설계에 활용하고자 한다.
정영진(Yeong-Jin Chung),진의(Eui 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저자는 화재안전 설계를 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 1, 2, 3, Chung’s equation-II, -III, -IV, -V와 Chung’s equation-VI를 정립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립한 이론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 및 독자들에게 이해를 돕고자 한다. 첫째, 연기성능지수(smoke performance index, SPI), 연기성장지수(smoke growth index, SGI), 연기강도(smoke intensity, SI)를 정립하였다. 둘 째, 화재성능지수-II (fire performance index-II, FPI-II)와 화재성장지수-II (fire growth index-II, FGI-II)를 정립하였다. 셋 째, PMMA를 기준으로한 화재성능지수-III (fire grouth index, SI-III)와 화재성장지수-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를 적용하여 무차원 지수를 도출하였다. 넷 째, 화재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IV에 의한 화재위험성지수-IV (fire risk index-IV, FRI-IV)로서 화재성장지수-III (FGI-III)에 대하여 화재성능지수-III (FPI-III)로 나눈 값을 얻었다. 다섯 째, 연기위험성을 표준화 하기 위하여 기준 물질을 사용하여 연기성능지수-V (smoke performance index-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moke growth index-V, SGI-V)를 정립하였다. 또한 종합적인 연기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연기성능지수-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GI-V)에 의한 Chung’s equation-VI (smoke risk index-VI, SRI-VI)를 정립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화재위험성평가에 대한 이론을 적용하여 data base를 구축하고, 이를 건축물 설계 및 화재안전 설계에 활용하고자 한다.
새로운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지수 및 등급 평가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4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X, Chung’s equations-XI, 그리고 Chung’s equation-XII를 새로 정립하였다. 화재위험성지수-XII (fire risk index-XII, FRI-XII)와 화재위험성등급(fire risk rating, FRR)을 산정하였다. 시험편은 녹나무, 벚나무, 고무나무, 느릅나무를 선택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한 연소 특성을 시험하였다. Chung’s equations에 의해 산정된 화재성능지수-X (fire performance index-X, FPI-X)과 화재성장지수-X (fire growth index-X, FGI-X)은 각각 89.34~1696.75 s2/kW와 0.0006~0.0107 kW/s2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성능지수-XI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과 화재성장지수-XI (fire growth index-XI, FGI-XI)은 각각 0.08~1.48과 0.67~11.89으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녹나무가 148.63 (화재위험성등급: G)으로 화재위험성이 매우 높은 목재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연소성 물질은 FPI-X과 FPI-XI이 낮아지고, FGI-X과 FGI-XI이 높아짐에 의하여 FRI-XII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e evaluation of fire risk for combustible materials was carried out using Chung’s equations-X, Chung’s equations-XI, and Chung’s equation-XII, which were newly established.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and fire risk rating (FRR) were calculated for specimens including camphor tree, cherry, rubber tree, and elm.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using a cone calorimeter according to ISO 5660-1. Chung’s equations caculated the fire performance index-X (FPI-X) and fire growth index-X (FGI-X) values ranged from 89.34 to 1696.75 s<sup>2</sup>/kW and from 0.0006 to 0.0107 kW/s<sup>2</s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 and fire growth index-XI (FGI-XI) varied from 0.08 to 1.48 and from 0.67 to 11.89, respectively.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which is an indicator of fire risk, showed that camphor tree had a value of 148.63 (fire risk rating: G), indicating a very high fire risk. This suggests that combustible material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lower FPI-X and FPI-XI values, higher FGI-X and FGI-XI values, and consequently higher FRI-XII values, indicating an increased fire risk.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5종의 화재위험성 지수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정영진(Yeong-Jin Chung),진의(Eui 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5종의 목재에 대한 화재위험성 지수 및 화재위험성 등급을 평가하고자 Chung’s equations-X, Chung’s equations-XI, 그리고 Chung’s equation-XII를 적용하였다.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 및 화재위험성등급(FRR)을 예측하였다. 시험편은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 나무, 참죽나무, 피나무, 호두나무를 사용하였다. 연소 특성 시험은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Chung’s equations에 의해 예측된 화재성능지수-X (FPI-X)과 화재성장지수-X (FGI-X)은 각각 560.59∼2689.89 s2/kW와 0.0005∼0.0016 kW/s2로 나타내었다. 또한 화재성능지수-XI (FPI-XI)과 화재성장지수-XI (FGI-XI)은 각각 0.49∼2.35와 1.67∼5.33이었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메타세콰이어나무와 은행나무가 각각 10.88 (화재위험성 등급: F), 10.25 (화재위험성 등급: F)으로서 매우 높은 화재위험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FRI-XII가 높다는 것은 FPI-X과 FPI-XI이 낮게되고, FGI-X과 FGI-XI이 높게됨을 의미한다. Chung's equations-X, -XII, and -XII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fire risk index (FRI) and fire risk rating (FRR) of five wood species. The test specimens used were ginkgo tree, dawn redwood tree, toona tree, lime tree, and walnut tree.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was selected and used to test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The fire performance index-X (FPI-X) and fire growth index-X (FGI-X) calculated using Chung’s equations ranged from 560.59 to 2689.89 s²/kW and from 0.0005 to 0.0016 kW/s²,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FPI-XI and FGI-XI varied from 0.49 to 2.35 and from 1.67 to 5.33, respectively. FRI-XII, a FRR, showed that the fire risks of dawn redwood tree and ginkgo tree, at 10.88 (FRR: F) and 10.25 (FRR: F), respectively, were very high. In conclusion, a high FRI-XII value indicates that FPI-X and FPI-XI are low whereas FGI-X and FGI-XI are high.
새로운 Chung’s equation-IX에 의한 연소성 물질의 화재 위험성 등급 평가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2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해 Chung’s equations-VII, Chung’s equations-VIII, 그리고 Chung’s equation-IX을 새로 정립하였다. 화재위험성지수-IX (fire risk index-IX, FRI-IX)와 화재위험성등급(fire risk rating, FRR)을 산정하였다. 시험편은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 참죽나무, 피나무, 호두나무를 선택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한 연소 특성을 시험하였다. 연소 종료 후 Chung’s equations에 의해 산정된 화재성능지수-VII (fire performance index-VII, FPI-VII)는 15.15~182.53 s<sup>2</sup>/kW로 나타났고, 화재성장지수-VII (fire growth index-VII, FGI-VII)는 0.0023~0.0165 kW/s<sup>2</sup>로 나타났다. 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기준으로 한 화재성능지수-VIII (FPI-VIII)는 0.29~3.45로 나타났고, 화재성장지수-VIII (FGI-VIII)는 2.88~20.63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IX (FRI-IX)는 메타세콰이어가 71.14 (화재위험성등급: G)로 화재위험성이 매우 높은 목재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체적밀도가 낮은 목재는 FPI-VII와 FPI-VIII가 낮아지고, FGI-VII와 FGI-VIII가 높아짐에 의하여 FRI-IX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o evaluate the fire risk of combustible materials, Chung's equations VII, VIII, and IX were newly established. The fire risk index-IX (FRI-IX) and fire risk rating (FRR) were calculated. Ginkgo, dawn redwood, toona, lime, walnut,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ere selected as test specimen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according to ISO 5660-1. After combustion, the fire performance index-VII (FPI-VII) of the specimens, varied between 15.15 and 182.53 s<sup>2</sup>/kW, as determined by Chung's equations, and the fire growth index-VII (FGI-VII) varied between 0.0023 and 0.0165 kW/s<sup>2</sup>. The fire performance index-VIII (FPI-VIII) based on PMMA varied between 0.29 and 3.45, and the fire growth index-VIII (FGI-VIII) varied between 2.88 and 20.63. The FRI-IX, which is the fire risk rating, showed dawn redwood has a very high fire risk, with FRI-IX values of 71.14 (fire risk rating: G). Therefore, wood with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 low bulk density showed a high value of FRI-IX by lowering FPI-VII and FPI-VIII and increasing FGI-VII and FGI-VIII.
“Chung's Equations”에 의한 화재위험성평가 및 사례 연구
정영진(Yeong-Jin Chung),진의(Eui 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화재위험성을 예측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 1, 2, 3에 의하여 연기성능지수(smoke performance index, SPI), 연기성장지수(smoke growth index, SGI), 연기강도(smoke intensity, SI)를 정립하였다. 또한 Chung’s equations-II에 의하여 화재성능지수-II (fire performance index-II, FPI-II)와 화재성장지수-II (fire growth index-II, FGI-II)를 정립하였다. 무차원 지수를 도출하기 위해 Chung’s equations-III에 의한 화재성능지수-III (fire perfomance index, SPI-III)와 화재성장지수-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를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IV에 의한 화재위험성지수-IV (fire risk index-IV, FRI-IV)를 정립하였다. 특별히 연기위험성을 평가를 하기 위해 Chung’s equation-V에 의하여 연기성능지수-V (smoke performance index-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moke growth index-V, SGI-V)를 정립하고 무차원 지수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종합적인 연기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VI에 의하여 연기성능지수-VI (smoke risk index-VI, SRI-VI)를 정립하였다. 위와 같은 화재위험성평가에 대한 이론을 적용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건축물 및 화재안전 설계에 적용하고 자 한다.
Chung's Equation-IX과 Chung's Equation-XII의 비교에 의한 목재 4종의 화재위험성 예측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유지선 ( Jisun You ),정영진 ( Yeong-jin Chung ) 한국공업화학회 2024 공업화학 Vol.35 No.3
4종의 목재에 대한 화재위험성의 예측 및 화재위험성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Chung’s equations-IX과 Chung’s equation-XII를 이용하였다. 시험편은 녹나무, 산벚나무, 고무나무, 느릅나무를 선정하였다. 연소시험은 ISO 5660-1의 콘칼로리미터 시험법을 이용하였으며, 화재위험성지수-IX (FRI-IX)과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에 대한 화재위험성과 화재위험성등급(FRR)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재성능지수-XI (FPI-XI)와 화재성장지수-XI (FGI-XI)은 0.08~11.48와 0.67~111.89로 얻어졌다. 그리고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산벚나무(0.45): 등급 A (순위 5) < PMMA(1): 등급A (순위 4) < 고무나무(1.23): 등급 A (순위 3) < 고무나무(1.56): 등급 A (순위 2) << 녹나무(148.23): 등급 G (순위1)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화재위험성지수-IX (FRI-IX)는 산벚나무(0): 등급 A (순위 3) ≈ 고무나무(0): 등급 A(순위 3) ≈ 느릅나무(0): 등급 A (순위 3) ≈ PMMA(1): 등급 A (순위 2) << 녹나무(66.67): 등급 G (순위1)의 순이었다. 공통적으로 화재위험성은 녹나무가 가장 높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FRI-IX와 FRI-XII의 기준을 바탕으로 보여준 바와 같이 지수의 표현은 다르나, 가연성 재료의 화재위험성평가에 의한 예측은 유사한 경향성을 제시하였다. Chung’s equations-IX and Chung’s equation-XII were utilized to predict the fire risk and evaluate fire risk ratings for four types of wood: camphor, cherry, rubber, and elm trees. The combustion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cone calorimeter test method by ISO 5660-1 standards. The fire risk and fire risk rating (FRR) were compared for Fire Risk Index-IX (FRI-IX) and Fire Risk Index-XII (FRI-XII). The results yielded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 ranging from 0.08 to 11.48 and Fire Growth Index-XI (FGI-XI) ranging from 0.67 to 111.89.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indicating fire risk rating, exhibited an increasing order of cherry (0.45): Grade A (Ranking 5) < PMMA (1): Grade A (Ranking 4) < elm (1.23): Grade A (Ranking 3) < rubber (1.56): Grade A (Ranking 2) << camphor (148.23): Grade G (Ranking 1). Additionally, the fire risk index-IX (FRI-IX) was cherry (0): Grade A (Ranking 3) ≈ rubber (0): Grade A (Ranking 3) ≈ elm tree (0): Grade A (Ranking 3) < PMMA (1): Grade A (Ranking 2) << camphor tree (66.67): Grade G (Ranking 1). In general, camphor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fire risk. In conclusion, although the expression of the index is different as shown based on the standards of FRI-IX and FRI-XII, predictions based on fire risk assessment of combustible materials showed similar trends.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4종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적용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4 공업화학 Vol.35 No.1
Chung’s equation-XII에 의하여 4종의 목재에 대한 화재위험성 및 화재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편은 미국물푸레나무, 버드나무, 들메나무, 산벚나무를 선정하였다. 시험편의 연소특성 시험은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를 이용하여 화재위험성등급(FRR)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화재성능지수-X (FPI-X)과 화재성장지수-X (FGI-X)은 각각 469.03~1109.73 s<sup>2</sup>/kW와 0.0009~0.0280 kW/s<sup>2</sup>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성능지수-XI (FPI-XI)과 화재성장지수-XI (FGI-XI)은 각각 0.41~0.97와 1.11~3.11이었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들메나무가 7.60 (화재위험성 등급: D)으로서 가장 높은 화재위험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hung’s equation-IX인 화재위험성지수-IX (FRI-IX)와 비교하였다. FRI-IX과 FRI-XII에 의한 화재위험성 등급은 버드나무와 들메나무가 공통적으로 높았다. 또한 FRI-XII와 FRI-IX에 의한 결과는 유사한 관계가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화재안성등급의 크기는 서로 간 근접하게 일치하였다. The fire risk and fire safety of four types of wood were comprehensively evaluated according to Chung’s equation-XII. White ash, willow, fraxinus mandshurica, and sagent cherry trees were selected as test specimens. A cone calorimetery (ISO 5660-1) was used to examin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iece, and finally, the fire risk rating (FRR) was predicted using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The predicted fire performance index-X (FPI-X) and fire growth index-X (FGI-X) ranged from 469.03 to 1109.73 s<sup>2</sup>/kW and 0.0009 to 0.0280 kW/s<sup>2</sup>,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 and fire growth index-XI (FGI-XI) ranged from 0.41 to 0.97 and 1.11 to 3.11, respectively.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representing a fire risk rating, showed that the fire risk of frasxinus mandsurica tree (FM) was very high at 7.60 (fire risk rating: D). And it was compared with Chung’s equation-IX, fire risk index-IX (FRI-IX). The fire risk ratings according to FRI-IX and FRI-XII were generally high for willow and frasxinus mandsurica tree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FRI-XII and FRI-IX had a similar relationship, and the size of each fire safety rating closely matched each other.
심층면접을 통한 충북지역 종가(宗家) 음식문화 특성 연구
김미혜(Mi-Hye Kim),한정인(Jung-In Han),정혜경(Hae-Kyung Chung)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25 No.4
This researchs main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special qualities of food culture of the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a case study on the diversified types of meals that the Main Family cooked, such as courtesy food, normal food, and seasonal food. The research identifies traditional ingredients of specialties from Chung-Buk through old literature. According to ?Sejongsillokjiriji?, there are a myriad of ingredients:, including jujube, ginseng, pine mushroom, manna lichen, persimmon, mandarin fish, crab, sweetfish, lacquer, honey, and terrapin, which represent Chung-Buks unique ingredients. Another reliable source, Banchandungsok , does not provide a detailed list of traditional foods, but rather a simple list. The majority of food from Chung-Buk, in Banchandungsok , consist of side dishes like kimchi and salt greens. Eventually, salt greens became diversified. As Chung-Buk is a landlocked province, people often used dried pollack. Kimchi and raw coaker were frequently used as well, and rice cakes encompassed multiple ingredients such as: jujube, mushroom, pine nut, and, dried persimmon.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diversity of food and amount of dishes used by the Main Families of Chung-Buk dependent on the ingredients and wealth of each Main Family. Chung-Buk has a landscape full of mountains, so potatoes were abundant and used to make potato Dasik. When cooking process was completed, people placed kelp on to the finished product. Seasonal food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especially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Backjoong, which was a day dedicated to laborers. These foods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the community to build stronger bonds by sharing rice cake and Yukgaejang with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It is apparent that Jeobbingac culture, or guest culture, flourished since people in Chung-Buk are traditionally taught to leave spare food for the guest at all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