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조수경(Cho, Sookyung),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 수면관련 생활시간(학업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 심리정서적응(우울증상, 신체증상, 공격성)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0)의 2012~2016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2,21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은 중학교 1학년∼3학년까지 일정하게 감소하는 선형모형으로 나타났고, 수면시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학업시간과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수면시간에 미치는 동시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업시간과 전자매체 사용시간은 중학교 1학년, 2학년 시기의 수면시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3학년 시기에는 수면시간에 미치는 학업시간의 영향력은 이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반면 전자매체 사용시간은 수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면시간 초기치는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우울증상, 신체증상,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수면시간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을 규명하였으며 부족한 수면시간이 장기적으로 심리정서적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심리정서적응을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면시간 관리가 필요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의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를 위한 개입이 필요함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and other relevant factor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The subjects comprised 2,21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from 2012 to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SPSS21.0 and AMOS24.0.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sleep duration changed in linear manners over the three years of the study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cepts and linear slope. Second, students’ study time had contemporaneous effects on sleep duration in these three years, and electronic media usage time had only contemporaneous effects in 2014 and 2015. The intercept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in 2013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pression, somatization, and aggression symptoms reported in 2016.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ong-term sleep duration management for the psychological-emotional adaptation of adolescent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증상과 자녀에 대한 분노의 매개효과

        조은주 ( Cho Eunju ),이소연 ( Lee Soy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증상과 자녀에 대한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 150명으로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해 응답한 자료를 Prescher와 Hayes(2008)이 개발한 Process Macro를 이용해 매개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 자녀의 문제행동은 모든 변인들 간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우울증상과 자녀에 대한 분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을 이해하는데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를 검토하고 이에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and anger toward children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working-family fathers with infantile children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Based on data from 150 fathers of dual-income families raising infants, they conducted a parametric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developed by Prescher and Hayes (2008) and conducted Bootstrap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As a result, first, double-income family fathers' work-family conflicts, depressive symptoms, anger toward their childre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showed static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depressive symptoms and anger toward children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s of the work-family conflict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xamine and intervene i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ve symptoms of working-family fathers and their anger toward their children in understanding their child's problematic behavior.

      • KCI등재

        어머니의 수면의 질과 유아의 문제행동 관계에서 유아의 수면 문제와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검증

        조문주 ( Cho¸ Moonju ),이소연 ( Lee¸ Soy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수면의 질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의 수면 문제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5세에서 5세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차적 매개 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이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수면의 질은 유아의 수면 문제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가운데 하나인 모의 수면의 질이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leep problem and parenting stress in the effect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on the mother’s sleep quality. For this, the self-report scale of mother’s sleep quality,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ren’s sleep problem, and parenting stress was conducted targeting 239 children. In the result of bootstrapping using the Process Macro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mother’s sleep quality had direct effects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Specifically that mother’s sleep quality increases children’s sleep problems, and increased children’s sleep problems increase parenting stress increases, providing a negative parenting environment for children, thereby increasing their problem behavior. This study provided data to understand the mother’s sleep quality, one of the parent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rovided parenting information to par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leep quality and children’s sleep. In the counseling scene, empir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were presented to the counselor.

      • KCI등재
      • KCI등재

        생약복합제 Pulmuone Healthy Aloe Gel의 위장질환 개선 효과

        강민희(MinHee Kang),조소연(SoYean Cho),김현수(HyunSu Kim),김동현(DongHyun Kim),정춘식(ChoonSik Jeong) 대한약학회 2005 약학회지 Vol.49 No.3

        Present study was perform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upplementary product with gastroprotective effect. The preliminary screening were conducted for the effects of HCI.ethanol-induced gastric lesions in rats. Samples were aloe gel,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 mentioned that have GI protective property and pulmuone healthy aloe gel (PHAG) that mixture of natural products from Pulmuone company. Aloe gel significantly inhibited HCI.ethanol-induced gastric lesions at the oral dose of 5 ml/kg. AHCC showed the strongest effectiveness at the oral dose of 1,200 mg/kg. PHAG also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s at the oral dose of 10, 20 g/kg. In pylorus ligated rats, the treatments of aloe gel, AHCC and PHAG showed decrease in the volume of gastric secretion and acid output. And aloe gel, AHCC and PHAG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aspirin-induced ulcer and chronic ulcer in pylorus ligated rats. The treatments of aloe gel and PHAG significantly reduced acetic acid-induced ulcer at the oral dose of 5 ml/kg and 10 g/kg for 12 days.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PHAG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ute gastritis and ulcer at the dose of 20 g/kg and in chronic gastritis and ulcer at the dose of 10 g/kg. Also we evalu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treated with aloe gel, AHCC and PHAG. PHAG had a equivalent anti bacterial activity with ampicillin against H. pylori at the dose of 1 g/k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