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방안 탐색

        황해익(Hwang Haelk),남미경(Nam Mi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지능검사와 같은 정척평가가 갖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Vygotsky (1978)의 근접발달영역(ZPD)과 Feuerstein 등(1979)의 중재학습경험(MLE)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연구 되어온 역동적 평가(Dynamic Assessment)를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몇 가지 역동적 평가방법에 대한 검토에 이어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역동적 평가도구의 개발 및 관련연구를 통해 역동적 평가가 유아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역동적 평가를 취학 전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데 적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n dynamic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reviewed on dynamic assessment approaches and dynamic assessment instruments of young children. Several implication and strategies suggested which to apply dynamic assessment on assessment about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Suggest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it should be assessed through error pattern analysi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specially, story problem process and ability. Second, it should be extend the dynamic assessment to varied non-intelligence factor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s motivation, attitude etc. Third it should be accepted integrated approaches, as complement of standard approaches and clinical approaches of dynamic assessment.

      • KCI등재

        디지털 포트폴리오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력 및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손유진(Son YouJin),황해익(Hwang Hael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창출되는 정보화사회에서 교사의 내적동기와 자기주도력의 개발이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포트폴리오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101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전략으로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의 자기주도력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과 일반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은 모두 포트폴리오 활용이 가치롭다고 하였으며,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은 일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이 보고하고 있는 자료 저장의 어려움, 자료를 두 번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의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력 신장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elf-effici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s very important ability in 21st, it helps to get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al knowledge. Therefore instructors have to provide opportunity to improve self-effici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Digital portfolio can be helpful to ge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digital portfolio application on self-effici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m of self-efficiency of portfolio application group is higher than the those of control group.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self-efficiency of digital portfolio application group and the those of portfolio application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gital portfolio application in classes is useful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iency. So, instructors can use the digital portfolio in teaching pre-service teacher, and it is needed to develop more specific methods to apply digital portfolio in their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