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간투자사업의 수익구조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안

        황창용 ( Chang Yong Hwang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論集 Vol.15 No.2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은 민간부문의 투자를 통하여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하고 운영하게 함으로써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및 운영을 도모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민간투자사업에 참여하는 민간부문에게 적정한 수익을 가질 수 있는 사업적 구조가 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민간투자법의 관련규정이 민간부문의 사업시행자에게 적정한 수익적 구조를 법적으로 제공하고 있는지 여부 및 그 개선점을 검토하는 데 있다. 민간투자법 제4조 제1호 사업추진방식(Build-Transfer-Operate), 같은 조 제2호 사업추진방식(Build-Transfer-Lease), 같은 조 제3호 사업추진방식(Build-Operate-Transfer)에 의한 귀속시설사업의 경우, 사업시행자가 준공한 사회기반시설의 소유권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이전하고 그 대가로 무상사용기간을 부여받는데, 이는 대가관계가 분명한 계약이라는 실시협약에 근거한 것이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해당시설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과 일정기간 해당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의 부여, 이양자의 관계는 단절적인 관계가 아니고 그 대가관계가 분명한 것이다. 사업시행자는 투자금 이외에 적정한 사업이윤 또는 사업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는 수익적 구조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런데 민간투자법은 이러한 사업이윤이 제외된 총 사업비의 범위 내에서 해당시설의 무상사용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민간투자법은 사업시행자가 적정한 이윤을 확보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두고 있지 아니하다. 유료도로법이나 독일의 장거리도로민간투자법은 사업시행자가 투자금을 회수하는 사용료 수준을 정할 때 수익률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음을 고려할 만하다. 이러한 사업이윤 또는 사업수익률은 주문관청뿐만 아니라 사용료를 지불하는 사용자에게도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서 법률유보의 관점에서도 사업시행자에게 적정수익률을 보장해 주는 사항을 법률에서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rticle 1 of the “Act on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of Korea” states that the Act aims a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s in public infrastructure in order to establish and operate more creative and effective infrastructure. In order to meet this goal it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to legally establish a project structure which ensures some appropriate returns to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ing private investment projects.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review some relevant provisions of the Act to find out whether such provisions can provide some adequate returns as well as profits to private concessionaires in the private sector and if not what kinds of alternatives can be recommended to promote private investment. Some of controversial issues discussed in this paper ar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er of ownership to the Authority and the free use of infrastructure by the private investor is based on a bilateral contract between the two; and whether the period of free use for the private investor should be measured by the total project profits and costs. In case of revertible projects such as BTO(Build-Transfer-Operate) BTL(Build-Transfer-Lease) and BOT(Build-Operate-Transfer) the ownership of infrastructure completed under the private-public participation projects will be transferred to the authority such as a state or local government while the private investor will be entitled to use such infrastructure free of charge for a specified period. This legal arrangement is a kind of contract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not a separate legal action. In addition a private investor must be willing to invest if a private investment recovery structure assures its profits and returns on its investment. However the Korean Act permits a private sector to use the infrastructure for a ceratin period of time based on only the total project costs not on the sum of the total project costs plus project profits. Thus the Act fails to provide a legal framework for a private investor to recover adequate returns from its investment for such a limited period. Thus it is worth considering other laws such as the Act on Toll Road in Korea or the German Private Financing Law on Through Roads Construction (Fernstrassenbauprivatfinanzierungsgesetz) which considers the rate of return when the user fees as the recovery of the investment are decided. Since project profits or the rates of return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mpetent authority and the infrastructure user who pays for user fees it is important to specify some provisions which guarantee some adequate returns to the project investors.

      • KCI등재

        민간투자도로의 통행료에 관한 법적 고찰

        황창용(Hwang, Chang Yo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4 행정법연구 Vol.- No.40

        민간투자도로는 민간부문의 비용으로 건설, 유지ㆍ관리되는 도로 기반시설로 유료도로로 운영된다. 이러한 유료도로는 도로사용이 무료이라는 원칙에 예외이다. 최근 이러한 민간투자도로의 높은 통행료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 논문은 통행료의 유료도로법 및 민간투자법의 분석을 통하여 통행료의 법적 성질, 통행료 결정기준 및 도로사용자의 권익보장을 위한 장치를 검토하려 한다. 먼저, 통행료는 법적 성질은 기본적으로 해당 도로시설을 이용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비용으로 사용료의 성질을 가진다. 그러므로 통행료는 사용자의 시간과 비용의 편익측면에서 당해 도로를 이용하는 통행이익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만약 통행료가 사용자의 편익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은 더 이상 사용료가 아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도로관리청이 부과한 도로사용과 무관한 부담금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부담금의 성격을 가진 통행료는 도로사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엄격하게 규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유료도로의 요건과 관련하여, 유료도로법은 (1) 통행자가 당해도로의 통행으로 현저한 이익을 얻어야 하고, (2) 대체도로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요건을 제시하고 있다. 민간투자도로의 경우 민간투자사업을 정당화할 수 있는 민간투자법에 따른 소위 (3) 적격성 조사를 추가적 요건으로 하여야 한다. 민간투자사업의 순현재가치비용이 정부실행대안보다 낮게 나오면 민간투자사업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당성이 확보된다. 마지막으로, 유료도로법은 크게 통행결정기준으로 응익성의 원칙과 비용보전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응익성의 원칙은 해당 유료도로의 통행으로 인하여 시간과 비용 면에서 통상적으로 얻는 이익의 범위에서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정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비용보전의 원칙은 통행료의 총액은 해당 유료도로의 건설유지비 총액을 초과할 수 없다는 원칙을 말한다. 통행료의 법적 성질과 도로사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응익성의 원칙이 비용충당의 원칙보다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Road Infrastructures which are constructed and maintained by private sector"s investment under the Act on Pubic-Private Partnerships habe been operated as Toll roads, which are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free road. Recently, high toll pricing of PPPs roads become a critiacl social issue. This paper looks into the legal character of toll, the criteria of toll price determinations, and measures to enhance the status of road users by analyzing Toll Road Act and PPPs Act.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legal nature of road tolls is basically user tariff, the payment for the use of road infrastructure facilities by users. Therefore, tolls should be determined within the limits of user’s benefits obtained in terms of time and costs relating to driving on the relevant toll road. If tolls exceed the limits of user"s benefits, the exceeding part of tolls is not usage tariff any more. It is, in essence, charge which is imposed by road control authorities. So, If toll price includes any charge, it should be more tightly regulated in favor of road passengers" rights. Next, in relation to requirements as for Toll Road, Toll Road Act requires these; (1) one who drives on the Toll Road obtains substantial benefit; and (2) there should be an alternative road available for free. PPPs roads additionally are required to be met as follows ; (3) authority should conduct the so-called “value for money test” pursuant to PPPs Act, with this test PPPs toll road project can be justified. When the NPV(Net Present Value) cost of PPPs is lower than the PSC(Public-Sector Comparator), the PPP can be justified. Lastly, Toll road Act provides two criteria of tolls determination largely. One is that toll pricing shall be determined within the limits of passenger benefit obtained from driving on the relevant toll road, the other is that the total amount of tolls shall not exceed the total amount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for the relevant toll road. the former shall be applied prior to the latter in light of the legal nature of toll and the protection of toll road users.

      • KCI등재

        도로 지하도상가에 대한 법적 규율 : 기부채납 및 무상 사용・수익허가 방식을 중심으로

        황창용(Hwang Chang Y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圓光法學 Vol.36 No.4

        Underground passageways have many benefits as decreasing traffic accidents by reducing crosswalks on the ground, facilitating ground traffic, and bringing convenience in walking in wet weather. In some cases, these underground passageways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by the public-sector party but they may be constructed and operated by the private-sector party as well. In the case of underground passageways constructed by the private-sector party, they have been promoted in a way that allows the private-sector party to operate the underground shopping complex from the past because they should be able to retrieve the investment. They have been promoted in a way that the private-sector party constructs an underground shopping complex, donates it to Public Entity, and receives free use permission in return according to Public Property Act. It can be considered as BTO(Build-Transfer-Operate) method,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promoting Public-Private-Partnership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by reviewing the relevant provisions of Public Property Act and Road Act, the legal basis of contributed acceptance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nd free use permission method. First, the Pubic Authority may grant permission to use or profit from administrative property according to Public Property Act. However, the current Operating Standards of Public Property of Local Government are different from the above regulations of the Public Property 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donor can use or profit from administrative property pursuant to the above operating standards. N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gal nature of donation and free use permission according to Public Property Act.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is a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ona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nd free beneficiary right of use. In particular, the donor s interests need to be protected even if the permission for use is revoked.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public control by Public Authority is required to acquire necessary administrative property, such as project feasibility, forced open bidd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the donation and free use permission. Lastly, the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under the road are required to obtain permission to occupy and use roads according to Road Act. Recently, the Local Government Ordinance on the Occupancy and Use of Roads deleted the applicable provisions that may grant a long-term permission for occupation and use of roads considering a high initial investment by the private-sector party. This study reviewed the period of permission for occupation and use of roads. 지하도는 지상의 횡단보도를 줄임으로써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고 지상 교통을 원활하게 하며 우천시 보행의 편익을 가져오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지하도는 지방자치단체 등에 의하여 설치・운영되는 경우도 있지만 사인에 의한 설치・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사인이 지하도를 설치하는 경우 그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어야 하므로 종래부터 상가를 포함한 지하도상가를 설치하고 이를 운영하도록 허용해 주었다. 통상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에 따라 사인이 지하도상가를 설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고 그 대가로 무상 사용・수익허가를 받는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다. 일종의 민간투자사업 추진방식 중 하나인 BTO(Build-Transfer-Operate)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지하도상가에 대한 기부채납 및 무상 사용・수익허가방식의 법적 근거인 공유재산법과 도로법의 관련규정을 검토하여 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공유재산법에 따른 기부채납 및 무상 사용・수익허가방식은 행정재산에 국한하여 허용되고 행정재산은 그 목적 또는 용도에 장애가 되지 아니한 범위 내에서만 예외적으로 사용・수익허가할 수 있다. 그런데 현행 지방자치단체 공유재산 운영기준에 따르면 무상 사용・수익허가기간 중 행정재산을 전면적으로 용도 외 사용・수익할 수 있는 것처럼 되어있다. 위 운영기준이 공유재산법령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공유재산법에 따른 기부채납 및 무상 사용・수익허가의 법적 성질을 살펴보았다. 기부라는 용어에도 불구하고 기부되는 지하도상가와 무상 사용・수익권은 대가적 관계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사용・수익허가가 취소되는 경우에도 기부자의 이익이 보호될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세 번째로, 기부채납 및 무상 사용・수익허가방식의 경우 사업타당성, 공개경쟁 강제, 적정한 건설관리 등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로 지하에 지하도상가는 불가피하게 도로 지하부분을 점용하게 되므로 도로법에 따른 도로점용허가를 받아야 한다. 최근 지방자치단체 도로점용료징수조례는 민간자본의 투자에 따라 장기간 도로 점용허가기간을 부여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삭제하였다. 도로법에 따른 도로점용허가기간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KCI등재

        파산절차상 미이행쌍무계약으로서의 민간투자사업실시협약

        황창용(Hwang Chang Yo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3

        민간투자사업은 민간부문이 사회기반시설의 건설ㆍ운영에 투자하고 원칙적으로 자신이 사업위험을 부담하면서 공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행정주체와 사업시행자가 시너지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협력방식으로 추진하는 사업이고, 이를 위하여 행정주체와 사업시행자는 실시협약을 체결한다. 한편, 도산법 제335조 제1항은 쌍무계약에 관하여 채무자 및 그 상대방이 모두 파산선고 당시 아직 이행을 완료하지 아니한 때에는 파산관재인은 계약을 해제 또는 해지하거나 채무자의 채무를 이행하고 상대방의 채무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파산절차에서 미이행쌍무계약으로서의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을 다루고 있다. 민간투자사업은 사법상 쌍무계약에 부합하지 아니한 공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사업시행자는 해당시설의 준공 및 이를 운영해야 하는 의무를 부담하고 주무관청은 해당시설에 대한 사용ㆍ수익권을 부여하고 다양한 사업위험에 대한 분담 및 그 처리에 협력해야 하는 의무를 부담하는 점에 비추어,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은 본질적으로 쌍방이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가지는 채무를 부담하는 계약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민간투자사업은 사업기간 동안 사업시행자와 주무관청의 협력의무가 존재하므로 운영기간 도중에 실시협약이 해제 또는 해지되는 경우 사업시행자와 주무관청의 쌍방 의무는 통상 모두 미이행 상태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이 중도 해지되는 때에는 도산법 제335조 제1항이 정하는 쌍방 미이행쌍무계약에 해당한다. 파산관재인이 실시협약을 해제 또는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 파산관재인은 주무관청과 협의하는 규정을 신설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민간투자사업이 목적하는 공공서비스의 지속적 제공은 가능한 파산절차에서도 관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파산관재인에 의하여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이 해제 또는 해지되는 경우 그 효과를 검토할 때 사업시행자가 수요위험 등 경제적 위험을 부담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업시행자가 실시협약 해제 또는 해지되는 경우 그 원상회복 또는 청산의 기준금액은 해당시설의 사용ㆍ수익권의 시장가치로 보아야 한다. Concession contract is used to deliver public services. Concession involves a contractual arrangement between a public authority and a concessionaire as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at has shown its added value. The latter provides public services and is remunerated by being permitted to exploit the service. Article 335 (1) of the Bankruptcy Act stipulates that, when a debtor and the other party to a bilateral contract have yet to fulfill the contract at the time they are each declared bankrupt, the bankruptcy trustee shall cancel or terminate the relevant bilateral contract or require the fulfillment of the other party s obligations after fulfilling the debtor s obligations. This paper deals with Concession Contract as Executory Bilateral Contract in the bankruptcy proceedings. Although Concession Contract has some features of public law which do not match the bilateral contract in civil law, the concessionaire shall bear the obligation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and operate the facility, and the competent authority shall bear the obligation to grant use rights to the facility and cooperate with various business risks in essence. It is a contract between two parties where each party bears reciprocal obligations upon a single contract. So the Concession Contract should be regarded as a bilateral contract. Both of parties can not be regarded as fulfilling all of their performances of the concession contract at the time the concession contract is early terminated, since both have the obligation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 project period in light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Therefore, when the concession contract is early terminated, the concession contract at that time shall be regarded as a non-execution contract for both parties. The continuing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aimed at the concession contract should be undertaken as far as possible in bankruptcy proceeding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stablishing new regulations that the bankruptcy trustee shall consult with the relevant competent authority, where he/she cancels or terminates a concession contract, The recent revision of Article 335 (3) of the Bankruptcy Act is worthy of reference.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early termination of the concession contrac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oncessionaire bears economic risk such as demand risk. Therefore, the amount of money to be returned by the concessionaire at the time of early termination of the concession contract should be the market value of the use right of the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