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황지영 ( Hwang Jiyoung ) 이화간호과학연구소 2017 Health & Nursing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o validate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Method: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subjects on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4 wee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care workers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in a nursing home.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eath,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pplication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have come to care for the elderly with more respect and cautious attitude, and the fear of death was disappeared when dealing with the elderly before death. Conclusion: This study can provide a framework of practical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change of positive perception for the death of the care workers who are the nursing care assista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resulting that the life and death of elderly people in there can be comfortable without fear.

      • KCI등재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황지영(Jiyoung Hwang),홍해지(Haeji Ho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2010년 발표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 문화다양성은 중요한 의제로서, 국립현대 미술관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 관점에서 국립현대 미술관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운영된 문화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은 주제 중심 접근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이해와 증진, 협동학습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영천(2012)의 연구결과에 따른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토대로 2017-2019년까지 총 80회 운영된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 9가지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음이 분석되었다. 문화적 포용력을 증진시키는 공간으로서 미술관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가치가 실현되는 곳이므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을 아우르는 공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의 방향성을 미술관교육에 담고 있었으며 우리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공동체의 관점으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의 논의가 확장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eoul Agenda: Art Education Development Goal> announced in 2010 was used to identify the flow of social value expansion o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is an important agenda, and thus the case of cultural diversity program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as analyzed to discuss the social rol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summarize the findings, it is a program of promoting understanding on the diversity of art in the same period and various identifies of the members of our society through the exhibition of «Artist of the Year», and it is a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various member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ntemporary artwork. Through theme-based approach,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pplied to develop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Some Perspectives> performed total of 80 times on 14 programs in 2017-2019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9 core values, and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deriv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A Perspective> were ① Engagement, ② Conversation, ③ Citizenship, ④ Coexistence, ⑤ Human Rights, ⑥ Difference, ⑦ Equality, ⑧ Cooperation, ⑨ Solidarity. As the space enhancing the cultural engagement, the art museum is a place for realizing the value on cultural diversity, so it has significance as the space that embraces both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being expanded into the perspective of various groups and communitie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re values of engagement, conversation, citizenship, coexistence, human rights, difference, equality, cooperation, solidarity and direction, which were provided by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n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i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KCI등재

        골목안의 사정(事情)과 치유의 거짓말 - 박태원의 「골목안」을 중심으로 -

        황지영 ( Hwang-ji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5 No.-

        식민지 말기에는 전시총동원체제가 발동되고 전시 불황이 만성화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된 박태원의 「골목안」에서는 식민지 조선인들의 삶이 물질적 측면뿐 아니라 정신적 측면에서도 붕괴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과거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양반이라는 지위를 누리면서 안락한 생활을 했지만, 지금은 ‘집주름’을 하며 생활을 영위한다.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서 거리를 산책하며 근대의 도시공간을 탐색하던 구보를 그렸던 박태원은 이 작품에서 ‘골목안’을 서술의 중심 공간으로 설정하여, 공적 공간인 ‘거리’와 사적 공간인 ‘집’ 사이에서 펼쳐지는 식민지 조선인들의 다층적인 삶을 그려낸다. 골목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은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회복하기 힘든 위기를 맞이한다. 그래서 주인공 영감은 막내아들의 고등소학교 후원회 발기회에 참석해서 자신과 청중의 욕망이 반영된 ‘거짓말하기’를 통해 일시적이나마 삶의 회복을 꾀한다. 이 장면은 이 시기에 조선인들의 삶이 ‘진실말하기’를 통해서는 회복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과 어그러진 시대 속에서는 어그러진 말하기의 방식, 즉 거짓말이 삶의 치유를 위한 장치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e late colonial era,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for the wartime was invoked and the depression came to be chronic. 「In the Alleyway」 created by Park Tae-Won in this period shows lives of Joseon people in the colonial era collapsed both from physical and from spiritual aspects. In this work, a narrative is developed centered on an elderly man who lived a wealthy and comfortable life enjoying his status as a nobleman in the past but now as a ‘house broker’. Park Tae-Won, who depicted Gu Bo taking a walk through the street and exploring the modern urban space in 「One day of the Novelist Gu Bo」, in this work sets ‘In the alleyway’ as a central narrative space and describes a life presented between the ‘street’ of the public space and ‘home’ of the private. People living in the alleyway come to be faced with an irreparable crisis along with a periodic situation. Hence, the hero, elderly man attends a parents' general meeting for his youngest son and pursues recovery of the life through ‘lies’ reflecting the desire of his and the audience. It shows that in this period lives of Joseon people could not be recovered through the truth-telling and that in such an estranged period a mode of the estranged telling, or lies could be function as a device for curing the life.

      • KCI등재

        아이돌 휴먼브랜드의 특성이 소비자의 아이돌 휴먼브랜드 애착, 모방 욕구, 동일시 욕구와 패션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지영 ( Jiyoung Hwang ),박민정 ( Minjung Park ) 한국의류산업학회 202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3 No.5

        The popularity of K-pop, the development of diverse media and communications, and rapid globalization are increasing consumers' attachment to celebrities. These celebrities, called “Human brand”, have a growing impact on consumers. However, research on idol celebrities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eenagers. Furthermore, there are limits to the studies on consumers' attachment to idol celebrities who do not advertise specific products and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s which are not advertised but related to the idol human brand.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301 out of 400 adult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in Kore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ol human brand,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desire to imitate the idol human brand, desire to identify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its fandom community, and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and AMOS were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ol human brand which are trust, professionality, soci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positively influenced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The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positively affected the imitation desire toward the idol human brand, and the identification desire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to identify with its fandom community. Additionally, the desire to imitate and to identify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its fandom community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판타지 학원물에 나타난 ‘청소년 능력주의’ 연구 –2020년대 한국 OTT 오리지널 드라마를 중심으로-

        황지영(Jiyoung Hwang)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4 한국교육논총 Vol.45 No.1

        본 논문은 청소년들의 입시, 경쟁, 생존, 투쟁 등을 다루는 2020년대 한국 OTT 오리지널 드라마 중에서 판타지 학원물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나타난 ‘청소년 능력주의’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본래 능력주의는 귀족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지능과 노력이 계층 이동을 만들어내는 힘임을 긍정하는 이론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교육과 시험에 의한 능력주의로 변화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명문대에 대한 집착을 강화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무한경쟁과 승자독식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자리 잡는다. 하지만 판타지 학원물들에서 청소년들은 왜곡된 능력주의를 그대로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삶과 죽음의 격전장이 된 학교에서 능력주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보이며 자신의 삶을 구성해 나간다. 이러한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2장에서는 최상위권이 되기 위해 마약 중독도 마다하지 않는 명문고 고3들의 모습이 담긴 <하이 쿠키>를 살피고, 3장에서는 수능 가산점을 얻기 위해 학도병으로 참전하는 고3들과 그들의 불안정한 내면을 그려낸 <방과 후 전쟁활동>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4장에서는 <지금 우리 학교는>을 통해 좀비들이 출현한 죽음의 전장에서 일시적이긴 하지만 경쟁보다는 협력과 연대를 선택한 청소년들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5장에서는 <우수무당 가두심>을 중심으로 친구를 살리기 위해 자발적으로 희생을 감수하면서 자기 긍정에 이르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드라마들이 한국 사회와 청소년 능력주의가 지닌 부조리함을 폭로하면서, 동시에 능력주의 너머에서 자기 긍정, 우정과 사랑, 협력과 연대 등 우리 사회가 회복해야 할 가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fantasy school dramas among the original Korean OTT dramas in the 2020s that deal with adolescents' entrance exams, competition, survival, and struggles. Exploring the “youth meritocracy” in these dramas. Originally, the meritocracy was considered the opposite of aristocracy, affirming that intelligence and hard work are the forces that create class mobility. However, over time, it has transformed into a meritocracy based on education and exams. Especially in Korea, it reinforces the obsession with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eventually becomes a way to justify endless competition and winner-takes-all thinking. However, in fantasy school dramas, young people don't just accept the distorted meritocracy as it is; they shape their own lives by exhibiting a variety of attitudes toward the meritocracy in schools which have become battlegrounds for life and death. Chapter 2 examines "High Cookie" a film about high school seniors at a prestigious school who are willing to use drugs to get to the top of the class, while Chapter 3 analyzes "After-School War Activities" a film about high school students who join the military as student soldiers to earn extra credit for the SAT and their unstable inner lives. Chapter 4 examines "All of Are Dead"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eenagers choosing cooperation and solidarity over competition, albeit temporarily, in a zombie apocalypse. Chapter 5 focuses on the drama "Superior Shaman Gadusim" to examine the self-affirmation of adolescents who voluntarily sacrifice themselves to save their friends. In doing so, I argue that these dramas expose the absurdity of Korean society and youth meritocracy, but also reveal that they talk about the values that we need to recover beyond meritocracy, such as self-affirmation, friendship and love, cooperation and solidarity.

      • KCI등재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핵심역량 모델 개발

        유재경(You, Jaekyoung),황지영(Hwang Jiyoung),박은미(Park, Eun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early child hood education teachers, which reflects the Nuri process revised in 2019. Based on pri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a core competency plan was derived. Afterwards,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head of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14 persons), university professors(6 persons), and kindergarten teachers(12 persons). Modifications have been made to the core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through the F.G.I. Finally, a feasibility test was conduct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3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s been developed to reflect the revised Nuri Process in 2019.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the early child hood education was composed of 8 core competencies, 23 lower competencies, and 92 sub-components. The 8 areas of the co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re the development of teacher s professionalism, interaction with children, playground,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family and community, kindergarten opera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modelled the core competencies that domestic nursery teachers need. This allows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core competencies as a whole. It is also meaningful in this study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eliminary early child hood education teachers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revision of 2019 i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원장(14인), 대학교수(6인), 유치원 교사(12인)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와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토대로 핵심역량안을 도출하고, F.G.I.를 통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안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이후,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핵심역량 타당성 검증 절차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유아교사 핵심역량모델은 핵심역량 8개, 하위 역량 23개, 하위내용 92개로 구성되었으며,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8개 영역은 교사인성 및 전문성 개발, 유아와의 상호작용, 놀이지원, 유아의 성장과 발달, 교육환경과 교육과정, 가족과 지역사회, 유치원운영 및 학급관리, 문화소양으로 개발되었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구체적으로 모델링 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가 스스로 핵심역량에 대해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학에서 2019년 개정누리과정을 반영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