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래잡초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확산과 생육지 특성

        황선민,길지현,김영하,김성열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4

        Purple ammannia (Ammannia coccinea Rottb.) is an exotic weed originated from North America. It was known tobe a noxious weed in a rice paddy field for the competition with rice. We investigated its distribution and habitat types in Korea toobtain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plan of this species. Although purple ammannia is currently not a dominant species in naturalhabitats, its nationwide distribution was found in our study. We categorized the types of its habitats as margins of rice paddies,abandoned paddy fields, riverine wetlands and reservoirs. Particularly, purple ammannia plants were frequently located alongbanks of irrigation channels that ran through rice paddies and surrounding wetlands. Because they mainly occurred along thedirection of water flow, we considered that the plants have spread along water courses. A total of 69 vascular plant taxa was identifiedat the habitats of purple ammannia. The largest group of life form among purple ammannia population was therophytes,which indicates that purple ammannia mostly grow in the disturbed habitats. 본 연구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외래잡초이며 농경지에서벼와 경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자연상태의 생육지에서넓은 면적으로 우점 분포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라남도,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등 전국적으로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은 크게 논 주변부, 묵논, 하천습지, 저수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점들 중 많은지점이 농경지 주변의 습지 지역으로 벼농사를 위해 농수로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이었다. 다수의 조사지점에서 농수로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미국좀부처꽃이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미국좀부처꽃은 물길을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판단된다.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총 27과 51속 64종 5변종 등 모두 69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36분류군, 52%로 가장 높게 출현하여 미국좀부처꽃의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생식물 미국실새삼의 분포 및 기주식물상

        황선민,길지현,이창우,김영하 한국자원식물학회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6 No.2

        Surveys were conducted to study nationwide distribution and identify habitats and host plants of Cuscutapentagona Engelm. as a parasite. The major habitat types were arable land near agricultural waterways (54.3%), open fieldnear roadside (41.3%) and artificial grassland (4.3%). The investigated host plants of Cuscuta pentagona consist of total 130taxa: 10 varieties, 1 subspecies, 119 species, 95 genera, and 37 families. Among them, 30 taxa were alien plants. As for theuseful plants, there were 59 taxa of edible ones (45.4%), 54 taxa of medicinal ones (41.5%), 13 taxa of ornamental ones(10%), 13 taxa of industrial ones (10%), and 9 taxa of pasture ones (6.9%). On arable land, it caused damage particularly tothe growth of agricultural crops such as Oryza sativa L. (Rice) and fruits such as Malus pumila Mill. (Apple) etc. Its growthand distribution may cause economic loss for crops because of the close location of the arable land. 본 연구는 국내의 자연생태계에 확산되고 있는 외래 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의 분포와 그에 따른 생육지의 유형을구분하여 기주식물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생태계 영향을파악함으로써 미국실새삼의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을수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실새삼의 분포는 전국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생육지 유형은 경작지변(54.3%), 도로변 나지(41.3%),인공초지(4.3%) 등 3가지로 구분되었다. 총 37과 95속 119종 10변종 1아종 등 130분류군의 기주식물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이 4.6%를 차지하고 외래식물은 30분류군으로 전체 기주식물 중 23%로 나타났다. 기주식물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68분류군, 52.3%로 가장 높게 출현 하여 미국실새삼의 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주식물 중 유용식물을 분석한 결과 총 90분류군으로 기주식물 중 69.2%를 차지하였으며, 식용자원 59(45.4%)분류군, 약용자원 54분류군(41.5%), 공업용과 관상용자원이 13분류군(10%), 초지자원 9분류군(6.9%)으로 확인되었다.

      • 코어 없는 PCB 변압기와 인덕터를 이용한 ZVS Forward DC-DC 컨버터

        황선민,안태영,Hwang, Sun-Min,Ahn, Tae-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8 No.4

        본 논문은 코어 없는 PCB(Print circuit board) 변압기와 인덕터를 이용한 ZVS (Zero voltage switching) Forward DC-DC 컨버터의 실험 결과 및 실용 가능성을 보고한 것이다. 최대출력 12W, 최대 스위칭주파수 2.2MHz, 정격 입력전압 24V를 갖는 실험용 컨버터가 검증되었다. 코어 손실이 없기 때문에 코어 없는 PCB 변압기와 인덕터가 고주파 동작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혔다 실험 컨버터는. 최저 70% 에서 80%의 전력변환 효율을 나타내었고, 12V 출력전압은 0.7% 이내에서 안정되었다.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pplication potentials of a ZVS Forward DC-DC converter based coreless PCB transformer and coreless inductor are presented. The experimental converter, that has a maximum power of 12W, maximum switching frequency of 2.2MHz and nominal input voltage of 24V,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coreless PCB transformer and inductor are found to have many favorable characteristics to high frequency operations due to the absence of a core loss. A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experimental converter was measured at 70${\sim}$80%, and the output was regulated at 12V within 0.7% tolerance.

      • Effect of Tannic Acid Coating on Heavy Metal Ion Adsorption of Waste Silk Fabric

        황선민,여용호,박원호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수십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구 및 급속한 산업화는 수질의 심각한 오염을 유발하였다. 수질오염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로 중금속 이온이 있으며, 이는 생분해가 되지 않아 생물에 축적되어 생명을 위협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 오염의 원인인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실크 폐직물(waste silk fibroin fabric, SF)에 탄닌산(tannic acid, TA)을 코팅하여 중금속 이온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TA 는 식물에 풍부하게 존재하여 가격이 저렴한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갈롤기(gallol group)와 카테콜기(catechol group)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반응기들은 중금속 이온과 배위 결합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F 에 대한 TA 의 흡착량 및 흡착되는 과정에서의 SF 와 TA 간 형성된 자가 가교반응을 다양한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중금속 이온 중 대표적인 납(Ⅱ)을 이용하여, 제조된 SF/TA 의 중금속 흡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여 중금속 흡착제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여계산(경기도)의 식물상

        황선민,이웅빈 용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8 自然科學硏究所論文誌 Vol.13 No.1

        Abstract - Mt. Yeogye is located 37°10' 10″~37°10' 40″ N in latitude at 127°01' 30″~127° 03' 00″ E in longitude in Gyeonggi-do.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consist of total 120 taxa: 1 forms, 16 varieties, 103 species, 87 genera, 37 families, 21 orders, 4 classes. Six special plants designated by Environment Ministry were investigated: 4th grade for 2 taxa, 3rd grade for 1 taxa and 1st grade for 3 taxa. As for the useful plants, there were 55 taxa of edible ones(45.8%), 24 taxa of medicinal ones(20.0%), 11 taxa of ornamental ones(9.2%), 21 taxa of industrial ones(17.5%), and 2 taxa of poisonous ones(1.7%)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