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레늄함유 청보리 급여가 거세비육돈의 생산성, 혈액 및 도체특성,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조익환,김국원,최창원,이성훈,한옥규,박태일,최인배,HwangBo, Soon,Jo, Ik Hwan,Kim, Guk Won,Choi, Chang Weon,Lee, Sung Hoon,Han, Ouk Kyu,Park, Tae Il,Choi, In Bae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6

        본 연구는 증가하는 수준의 셀레늄함유 청보리 사료를 비육돈에 급여 시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성상, 도체형질 및 조직 내 셀레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거세비육돈 40두를 공시하였고, 처리구는 셀레늄 수준에 따라 4처리구(0.1 ppm(대조구), 0.2 ppm, 0.4 ppm, 0.6 ppm)로 나누어 처리구당 5 pen씩, pen당 2두씩 배치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늄 함유 및 셀레늄무시비 관행 청보리를 조합하여 배합비의 5%를 배합하였고, 조단백질 및 가소화에너지 함량은 처리구 간 유사하도록 배합하였다. 실험사료 내에 셀레늄함유 청보리의 수준증가는 사료섭취량과 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혈중 총지질 농도는 셀레늄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05),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구가 0.4와 0.6 ppm 셀레늄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중 중성지방농도는 사료내 셀레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낮아졌고(p<0.05). 혈중 면역글로블린 G와 셀레늄 농도는 사료 내 셀레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도체율, 등지방 두께, 육량 및 육질등급은 셀레늄급여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장, 간장 및 등심 내 셀레늄함량은 사료 내 셀레늄함유 청보리 급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셀레늄함유 청보리급여는 비육돈의 지질대사관련 혈액성상을 개선시켰고, 셀레늄강화 돈육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직 내 셀레늄수준을 강화시키기 위한 사료내 적정셀레늄수준은 0.4 ppm인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된 돈육 등심 100 g이 소비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세계보건기구(WHO, 1996)에서 제안한 성인기준 1일 최소셀레늄권장량(40 ${\mu}g$)이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seleniferous whole crop barley (WCB) to finishing pigs on their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s well as on tissue selenium deposition. A total of 40 cross-bred barrow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ere allotted to five replicates of four treatments. Each replicate was arranged to 2 pigs per pen; the experimental period lasted for 6 weeks. The finishing pigs were fed diets containing 0.1 (non-seleniferous WCB as a control), 0.2, 0.4 and 0.6 ppm of selenium (Se) by supplementing the diets with seleniferous WCB. Th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diets containing 5% non-seleniferous or seleniferous WCB were formulated. Feeding seleniferous WCB did not affect (p<0.05) the feed intake and BW gain. Total blood lip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Se levels. Total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 for the control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for 0.4 and 0.6 ppm of Se treatments. Increasing the Se levels in WCB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blood triglyceride concentration; however, the levels increased immunoglobulin G and selenium concentrations. Feeding seleniferous WCB did not affect the carcass rate, backfat thickness and meat quality as well as yield grades. The Se concentration in the kidney, liver and loin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seleniferous WCB.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eding seleniferous WCB may improve the blood characteristic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and thus, could produce selenium-fortified pork. Moreover, it is shown that the dietary optimal selenium level to depose selenium in porcine tissues by utilizing seleniferous WCB would be 0.4 mg of Se/kg of ration. Moreover, when 100 g of pork produced from pigs raised under such condition is served to consumers, it meets the minimum recommended daily requirements (40 ${\mu}g$) of dietary selenium propo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 KCI등재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과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조익환,김국원,최창원,이성훈,Hwangbo, Soon,Jo, Ik Hwan,Kim, Guk Won,Choi, Chang Weon,Lee, Sung H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와 무기셀레늄을 급여 시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 성상, 도체특성 및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거세비육우 20두를 공시하였고, 처리구는 셀레늄 수준에 따라 0.1 ppm Se(대조구), 0.3 ppm Se (T1), 0.9 ppm Se (T2) 및 무기셀레늄 0.9 ppm Se (T3) 급여구로 4처리를 나누어 처리구 구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늄 강화 및 셀레늄 무처리 관행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합하여 건물기준 30%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실험사료 내에 셀레늄 강화수준은 사료섭취량과 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혈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농도는 대조구보다 T2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중 면역글로불린은 셀레늄함유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 T2와 T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중 셀레늄농도는 유기태 셀레늄을 0.9 ppm 급여한 T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도체율, 배최장근,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색 및 지방색은 셀레늄급여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료 내 셀레늄 수준 및 형태는 육질 및 육량등급 간에 관련성이 형성되지 않았다. 신장, 간장 및 후지 내 셀레늄 함량은 사료 내 셀레늄 강화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무기셀레늄급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 셀레늄함량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내 존재하는 셀레늄은 조직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키기에 유효한 셀레늄급원인 것으로 나타났고, 셀레늄 강화 청보리 최고수준(0.9 ppm Se)으로 급여하여 생산된 한우 후지육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셀레늄은 성인기준 1일 최소 셀레늄 권장량($40{\mu}g$)의 약 69%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seleniferous whole crop barley silage (WCBS)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issue selenium deposition infinishing Hanwoo steers. A total of 20 growing Hanwoo steer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eed groups: control (0.1 ppm Se), T1 (0.3 ppm Se), T2 (0.9 ppm Se), and T3 (0.9 ppm of inorganic Se). Five steers were allocated to each treatment group, and the trial lasted for 90 days. All experimental diets combined seleniferous and/or non-seleniferous WCBS up to a ratio of 30%. For the T3 diet, 0.9 ppm Se in the form of sodium selenite was added to the control diet. Dietary level and type of selenium did not affect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Bloo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T2 group than in control. Blood immunoglobulin G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selenium;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2 and T3 than in control. Blood selenium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p<0.05) in T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dressing rate, ribeye area, marbling score, meat color and fat color. Furth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levels and chemical form of dietary selenium and quality and quantity of meat. To the contrary, tissue selenium content in kidney, liver, and hin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selenium; however, feeding inorganic selenium did not introduce a significant increase in tissue selenium content of finishing Hanwoo ste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enium present in seleniferous WCBS was an effectively absorbable selenium source, suitable for increasing tissue selenium content in beef. Approximately 100 g of hind leg muscle from steers fed on the T2 diet met approximately 69% of the recommended daily selenium requirements.

      • KCI등재

        돈분의 효율적인 지렁이 퇴비화를 위한 Bulking Agent의 이용

        황보순,조익환,Hwangbo, Soon,Jo, Ik-Hwa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1

        본 시험에서는 가축분의 퇴비화에 수분조절제로서 사용되는 bulking agent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톱밥을 수준별(0(SSD0), 10(SSD10), 20(SSD20), 30(SSD30) 및 40%(SSD40))로 돈분과 혼합한 다음 지렁이 먹이로 이용하였을 때, 지렁이 생육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지렁이 분립의 생산량 및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여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질율과 지렁이 생존율은 SSD0구가 각각 10.19와 35.2%이었으나, 톱밥 혼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탄질율은 11.09~16.44로 높아졌으며, 실험기간 동안 지렁이의 생존율은 35.2~100%로 나타났다. 산자수는 SSD40구에서 16.6 마리로 나타났으며, SSD0구 및 톱밥을 30% 이하 첨가구에서는 새끼 지렁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포수와 난포중은 SSD30과 SSD40구가 각각 23.8~59.8개와 256~660mg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렁이 분립생산과 소화량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p<0.05), 분립의 탄질율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져 SSD30과 SSD40구가 다른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중금속 함량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돈분에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톱밥 30~40% 혼합 시에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을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vermicomposting of swine manur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awdust mix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earthworms, amount of earthworm cast produced,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when mixing swine manure in different levels (0(SSD0), 10(SSD10), 20(SSD20), 30(SSD30), and 40%(SSD40)) with sawdust commonly used as moist control in manure composting. The C/N ratio of the feed and the survival rate of earthworms for the SSD0 treatment (10.19, 35.2%), The C/N ratio of the feed was 11.09-16.44 and increased with higher level of sawdust mixed, and the survival rate of earthworm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35.2-100%. The number of earthworms was 16.6 in the SSD40 treatment, and young worms were not found in the SSD0 treatment or the treatment with less than 30% sawdust in the mix. The number and the weight of cocoons in SSD30 and SSD40 treatments were found to be in the ranges of 23.8-59.8 and 256-660 mg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earthworm cast and digested amount were higher with the higher level of mixed sawdust (p<0.05), and the C/N ratio of cast increased with the mixed sawdust ratio, being significantly higher ratio in SSD30 and SSD40 than other treatments (p<0.05). Heavy metals content tended to decrease with the mixed sawdust level. To summarize, the higher level of mixed sawdust wa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growth and reproduction of earthworms, and 30-40% sawdust mix in particular could result in efficient vermicomposting.

      • KCI등재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조익환,Hwangbo, Soon,Jo, IK-Hwa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3

        본 실험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 호밀, 밀과 트리트레일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우분뇨 시용구, 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유기질 비료구, 우분뇨 및 콩과작물 혼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청보리를 급여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8~3.1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 우분뇨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TDN과 RFV는 유기질비료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콩과를 혼파한 호밀을 급여할 경우 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사육두수는 평균 2.8~3.2두 규모의 가축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9~7.44, 0.53~0.60 및 4.35~5.04 톤으로 나타나, 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트리트케일의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 유기질비료구, 우분뇨구 및 콩과혼파구가 무비구와 화학비료 PK구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p<0.05). 트리트케일을 급여할 경우 유기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4~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학비료와 동계사료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인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하는 것이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Hanwoo carrying capacity when whole crop barley, rye, wheat and tritcale as winter forage crops was grown on different applying sources (chemical fertilizer, cattle or organic fertilizer) and mixed sowing combination with hairy vetch or forage pea during the period of 2011~2012. The experimental plots within whole crop barley or rye were consisted of 7 treatments, which were non-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P+K), chemical fertilizer (N+P+K), organic fertilizer, cattle slurry, cattle slurry with hairy vetch, and cattle slurry with forage pea. Each plot was triplicates and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allocated in the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whole crop barley, annual mean dry matter (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were the highest in N+P+K plo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rganic fertilizer,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The TDN were the highest in mixed sowing plots of forage pea plus cattle slurry application. As 450 kg Hanwoo heifers were fed diets included 70% whole crop barley, organic fertilizer, cattle slurry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plots of forage pea is capable of raising average 2.8 to 3.1 heads/ha a year. For whole crop rye, annual mean DM were the highest in N+P+K plo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attle slurr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DN and relative feed value (RFV) in comparison with treatments of N+P+K fertilization as chemical fertilizers. In case of 450 kg Hanwoo heifers fed diets included 70% forage rye, it is estimated that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ed sowing with legumes) plots can rear average 2.8~ 3.2 heads/ha a year. For whole crop wheat, annual DM,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of application groups and mixed sowing treatment with legumes showed 6.90~7.44, 0.53~0.60 and 4.35~5.04 ton/ha, respectively. In case of 450 kg Hanwoo heifers fed diets included 70% forage rye, it is estimated that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ed sowing with legumes) plots can rear average 3.1~3.7 heads/ha a year. For Triticale, TDN yiel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N+P+K plots, organic ferilizer, cattle slurry, cattle slurry with legumes than for no fertilizer and N+P+K plots. The Crude protein (CP)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mixed sowing plots of forage pea plus cattle slurry application. In case of 450 kg Hanwoo heifers fed diets included 70% forage triticale, it is estimated that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ed sowing with legumes) plots can rear average 3.4~3.7 heads/ha a year. It can be concluded that, on the basis of DM yield, not only mixed sowing with legumes by applying cattle slurry rather than single sowing of whole crop barley or whole crop rye enhanced production yield and feed values, but also it could be a substitute for imported grains as dietary protein sources in the case of feeding Hanwoo.

      • KCI등재

        경북지역에서 콩과작물의 혼파와 우분 시용이 총체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조익환,Hwangbo, Soon,Jo, Ik Hwa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4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4 No.1

        본 실험에서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에 콩과작물의 혼파재배와 우분시용이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단위면적당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시험은 분할구 집구로 배치한 3반복으로 주구는 총체밀 단파, 총체밀과 헤어리베치 혼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를, 세구에는 우분 4수준으로(0, 50, 100 및 150 kg N/ha) 시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주 시험구에서 시험구별 단 혼파 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건물은 전 시험구에서 시 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 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총체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05). 경산지역에서 총체밀의 가소화양분총량(TDN) 함량은 사료용 완두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총체밀 단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83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3.11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35두 보다 높았으며(p<0.05), 총체밀 단파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헤어리 배치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경북지역에서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우분을 시용하며,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분 수준을 ha당 100~150 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을 혼파하는 것이 가축사육 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Hanwoo carrying capacity when whole crop wheat, as a winter forage crop, was grown on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by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wheat during the period of 2012~2013.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 plots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culture methods such as whole crop wheat and mixed sowing combination with hairy vetch or forage pea. The subplots consisted of four different applications of cattle manure (0, 50, 100 and 150 kg N/ha). The annual amount of dry matter (DM) of whole crop wheat in Gyeongju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Gyeongsan and Yeongju, and the mixed-sowing of hairy vetch mixture was the highest (p<0.05) compared with the single-sowing of whole crop wheat and mixed-sowing of legume in Gyeongju. The DM amounts were increased proportionately corresponded to the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0.05) high at the level of 100 and 150 kg/ha groups. With the feed value of forage, the crude protein (CP)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than the single-sowing of whole crop wheat at the wintering experimental sites of legume. For whole crop wheat,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mixed sowing plots of forage pea in Gyeongsa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ingle-sowing of whole crop wheat. The carrying capacity of Hanwoo (head/ha) was higher (p<0.05) in Gyeongju (3.83 head) than that in Gyeongsan (3.11) and Yeongju (1.35). Further, the carrying capacity in the single-sowing of whole crop wheat was lower than that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the hairy vetch was the highest among the mixed-sowing groups (p<0.05). Overall, the present results recommend taking into account the wintering for the mix-sowing of legume in Gyeongbuk province. The cattle manure may be applied for legume in the wintering unavailable regions. In addition, applying cattle manure at the level of 100~150 kg/ha and the mix-sowing of legume may increase the productivity per unit area and feed value, including the CP, for improving the carrying capacity of Hanwoo.

      • KCI등재

        버섯폐배지와 맥주박 첨가 섬유질발효사료 급여가 흑염소의 생산성, 사료섭취량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Hwangbo, S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4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의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흑염소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조사하였다. 증체조사를 위한 사양 시험은 거세흑염소 20두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5두씩 30일간 수행하였고, 소화율 시험은 거세흑염소 12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여, 처리구는 대조구(배합사료 및 볏짚 급여구)와 3개의 시험구(버섯폐배지, 맥주박 비율이 각각 15와 25%(T1), 10과 30%(T2) 및 5와 35%(T3))로 각각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T1구가 T3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1일 두당 건물섭취량과 유기물섭취량은 T1과 T2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섭취량을 보였다(p<0.05). 건물소화율과 유기물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가 각각 62.39∼63.39%와 65.02~65.25%로 T3구의 각각 56.39와 59.0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축적량은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는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대등한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보였다. 그러나 버섯폐배지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흑염소의 생산성 저하가 우려되므로 버섯폐배지 첨가는 25~30% 수준으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effects of total mixed fermentations (TMF) with spent mushroom (Flammuliua velutipes) and wet brewer's grain on estimating the productivity and nutrient utilization of Korean black goats.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set up with each of the 5 animals for a 30-day feeding trial on growth performance. 12 black goats with regard to nutrient digestibility were allocated to 4 groups of 3 animals each by a latin-square design control group (offered concentrate and rice straw) and 3 treatment groups (TMF with 15% spent mushroom and 25% wet brewer's grain (T1), 10, 30% (T2) and 5, 35% (T3)). The average daily gain (ADG) of the control and T1 treatment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3 treatment group (p<0.05). Dry matter (DM) and organic matter (OM) intake (kg/head) for T1 and T2 treat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digestibility of DM and OM for the control group (62.39~63.39%) and the T1 treatment group (65.02~65.2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3 treatment group (56.39, 59.01%) (p<0.05). Further, nitrogen re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1 treatment group (p<0.05). Thus, these results conveyed that productivity and nutrient utilization were similar between TMF with spent mushroom and wet brewer's grain and commercial feeds. However,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feed must contain 25~30% spent mushroom due to the fact that the productivity of Korean black goats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spent mushroom.

      • KCI등재

        방목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Hwangbo, S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36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8두씩 공시하여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수행하였다. 단태의 비율은 방목구가 31.5%, 사사구가 37.0%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는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1.76과 1.69두로 사육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유 시의 두수는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1). 사육형태에 따른 생시체중은 방목구가 2.3 kg, 사사구가 2.29 kg 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후 90일 령 이유 시 방목구가 9.97 kg 로 사사구의 9.45 kg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9), 포유기간 일당증체량에서도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분만형태, 산자수 및 생시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두수 및 자축의 일당증체량에서는 방목사육 형태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방목이 흑염소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흑염소 생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s of grazing and barn feeding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lack goats and the growth performance of goatlings to gather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goat-breeding system. A total of 36 Korean black goats were grouped by feeding system (a pasture grazing group and a barn feeding group, n=18) over the 8-month study period from April to November 2011.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ngleton pregnancy rate of the grazing group, measured at 31.5%, and the barn-feeding group's 37.0%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breeding type did not yield any meaningful differences, with 1.76 live births recorded for the grazing group and 1.69 recorded for the barn-feeding group. In regard to weaner goats, the grazing group showed a higher number compared to the barn-feeding group (p=0.11). The birth weight of the grazing group was measured at 2.3 kg, while that of the barn-feeding group was 2.29 kg, with breeding type yield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azing group's weight at 90 days of age was 9.97 kg, which was higher than the barn-feeding group's 9.45 kg (p=0.09). The grazing group showed higher daily weight gain during the lactation period than the barn-feeding group (p=0.13). Overall, with breeding type considered, the grazing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live births and birth weights compared to the barn-feeding group; however, the grazing group showed better outcomes in terms of daily weight gain. As it has been shown that grazing satisfies the physiological needs of goats more effectively than barn feeding, we believe that it contributes to the farming of healthy goats.

      • KCI등재

        우분에 깔짚 혼입 수준이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적 성상 변화와 지렁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조익환,손장호,Hwangbo, Soon,Jo, Ik-Hwan,Son, Jang-Ho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1

        본 연구는 가축의 축사에 깔짚으로 이용되는 톱밥을 수준별(0(CSD0구), 10(CSD10구), 20(CSD20구), 30(CSD30구) 및 40%(CSD40구))로 우분과 혼합한 다음 부숙기간 중의 이화학적 성상 변화가 지렁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vermicomposting을 이용한 가축분의 친환경적 처리에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3주부터 모든 구에서 지렁이의 생존이 가능하였다. 처리구별 탄질비는 톱밥 혼합구가 CSD0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3주차의 탄질비는 23.26~61.05로 나타났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CSD0구에서 가장 높았고, 톱밥의 혼입 비율이 높을수록 pH와 전기전도도는 낮은 경향이었다.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pH와 전기전도도는 각각 7.4~7.7과 0.28~1.17mS/c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분에 다양한 수준의 톱밥을 혼합하여 부숙시켰을 경우 이화학적 성상 변화는 모두 지렁이 생존이 가능한 범위로 나타났으나, 우분의 효율적인 지렁이 퇴비화를 위해서는 톱밥 혼입 비율에 따른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 조사를 위한 시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treatment of manure using vermicomposting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hysiochemical property change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on the survival of earthworms after mixing cow manure in different levels (0(CSD0), 10(CSD10), 20(CSD20), 30(CSD30), and 40%(CSD40)) with the sawdust that is used bedding in livestock pens. As composting proceeds, earthworms were able to survive in all treatments after 3 weeks. In terms of the C/N ratio by treatment groups, the sawdust mix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SD0 treatment (p<0.05). The C/N ratio in the 3rdweek when earthworms started surviving was 23.26-61.05. As composting progressed, pH and electrolytic conductivity were highest in the CSD0 treatment and tended to decrease with higher proportion of sawdust in the mix. It was found that pH and electrolytic conductivity that earthworms starting to survive are 7.4-7.7 and 0.28-1.17 mS/cm respectively. To summarize, when composing cow manure with various levels of sawdust mix, all physiochemical property changes turned out to allow the survival of earthworms, but the results suggest that efficient vermicomposting requires the tests to examine growth and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sawdust mix ratio.

      • KCI등재

        동계사료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 Silage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Soon Hwangbo),조익환(Ik Hwan Jo),정기웅(Gi Woung Jung),김원호(Won Ho Kim),임영철(Young Cheol Lim),김종덕(Jong Duk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 (♂)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 (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사일리지 첨가구 (T4)}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과 유기물 섭취량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조단백질 섭취량도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p<0.05). ADF와 NDF 섭취량은 IRG > HV > 총체보리 단파 >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일당증 체량은 IRG와 HV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총체보리 단파사일리지 첨가구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p<0.05). 질소섭취량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총체보리와 헤어리베치 혹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가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nutritive value of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eeding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in KBG (Korean black goat) on feed intake,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The 12 male KBG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 i.e. T1: barley silage added group, T2: mixed-sowing hairy vetch silage added group, T3: mixed-sowing field peas added silage, T4: mixed-sowing Italian rye grass added silage group. Three KBG per each treatment were allotted into individual metabolic cages by Latin-square desig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DMI (dry matter intake) and organic matter intake in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and crude protein intake in T4 also recorded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The highest values in intakes of ADF and NDF were observed in T4 followed by T2, T1 and T3 in order. The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s in T4 and T2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The dry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n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The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n T1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in T2 and T4. The nitrogen intakes in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3.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eeds supplemented with whole crop barley with hairy vetch and Italian rye grass mixture silage increased KBG productivity resulted from increases i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 KCI등재

        가시오갈피 지엽의 급여가 흑염소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Soon Hwangbo),조익환(Ik-Hwan Jo),이성훈(Sung-Hoon Lee),김성규(Seong-Kyu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가시오갈피 지엽의 사료가치와 고품질 기능성 축산물 생산에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가시오갈피 지엽의 첨가 비율에 따른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소화율, 질소 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2두의 숫흑염소를 네 처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완전 임의배치하여 개별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고, 실험기간은 21일간 지속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 및 가시오갈피 지엽을 10, 20 및 30%수준으로 첨가하여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이 대조구가 13.39%이었고, 가시오갈피 시험구는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낮아졌다. ADF와 NDF 함량은 대조구가 가시오갈피 첨가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NFC 함량은 가시오갈피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 섭취량은 시험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가소화 건물량에서는 가시오갈피를 20과 30% 첨가한 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0.05).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 비율은 가시오갈피 20%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가시오갈피 30%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ADF 및 NDF 소화율은 가시오갈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소화율을 보였고, 특히 가시오갈피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 축적량과 질소 축적율은 가시오갈피를 20과 30% 첨가한 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혈장내 요소태질소농도(PUN)는 가시오갈피 30%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혈장내 triglyceride는 가시오갈피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가시오갈피 지엽을 20% 수준으로 첨가시 소화율, 질소 축적, 혈장내 요소태 질소 및 triglyceride 농도를 개선시켰고, 이는 흑염소의 생산성 향상에 잠재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only to investigate effects of different supplementation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on feed intakes,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Korean black goats but also to obtain basic data for nutritive value of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and production of high quality functional animal products. Twelve Korean black goats were allotted to treatments in four groups of three goats per treatment and then they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ages with completely random arrangements for 21 days. Four treatments were separated into controls and three different supplementation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such as 10, 20 and 30%, respectively. Fo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crude protein (CP) contents of controls were 13.39% and those of supplementation treatments were lowered with increasing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Control groups tended to have highe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as compared to supplementation groups, but non-fibrous carbohydrate (NFC)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for supplementation groups than those for controls. Feed intak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but digestible dry matter am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20 and 30% supplementation groups than those for other treatments. Dry matter intakes per metabolic body weight and their ratio per body weight were highest in 20% group, but those of 40% groups were lowest (p<0.05). Crude protein, ADF and NDF digesti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canthopanax senticosus supplementation groups in comparison to controls (p<0.05), and in particular, they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supplementation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Nitrogen re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20 and 30% treatments than those for controls (p<0.05). Plasma urea nitroge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for 30% supplementation group than those for controls (p<0.05). Furthermore,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for Acanthopanax senticosus groups than those for controls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l level of 20%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to Korean black goats improved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plasma urea nitrogen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Consequently, it might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production of Korean black go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