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전MgSO₄투여와 미숙아 두개강내출혈 발생 빈도와의 관련성

        황기동(Gi-Dong Hwang),신재훈(Jeh-Hoon Shin),설인준(In-Joon Seol)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2

        연구배경: 미숙아의 두개강내 출혈빈도와 연관되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밝혀져 있다. 임신중독증이 있는 산모에서 출생한 미숙아에서 두개강내 출혈의 발생빈도가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산전 MgSO₄투여가 미숙아 뇌출혈발생빈도를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임신중독증과 산전 MgSO₄투여에 따라 미숙아 두개강내 출혈빈도의 감소가 있는 지를 확인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미숙아실에 입원한 미숙아 174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분만방법, 산모의 임신중독증 유무와 투약여부, 두 개강내출혈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1. 남녀비는 1:1이었고 평균 재태기간은 33.8±2.3주, 평균 출생제중은 1870 ±460gm이었다. 2. 두 개강내출혈의 발생빈도는 전체 26%이었고, 28주 미만에서는 50%, 28에서 32주의 미숙아에서는 43%, 33이상에서는 20%이었다. 3. 두 개강내출혈의 등급을 나누어 보면 GradeⅠ이 가장 많아서 33명(73%) Grade Ⅱ,Ⅲ,Ⅳ가 각각 4명 (9%), 5명(11%), 3명(7%)이었다. 4. 두 개강내출혈의 발생빈도는 복식분만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임신중독증이 없는 산모에서 산전 MgSO₄투여에 따른 미숙아의 두개강내 출혈빈도의 감수는 없었으며, 임신중독증이 있는 산모에서 출생한 미숙아에서 두개강내 출혈빈도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Background : Among the factors increasing for the intracranial hemorrhage(ICH) of premature bab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sence of their maternal toxemia decreased the incidence of ICH. And also, some persons reported that the prenatal administration of MgSO₄ for their mothers decreases the incidence of ICH in premature babies. And so. w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ternal toxemia, the prenatal administration of MgSO₄ and the incidence of ICH. Method : We investigated the 174 premature babies who were admitted to NICU of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1 to Dec. 1994. We evaluate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delivery type. medication and toxemia of their mothers, and the presence of intracranial hemorrhage(ICH). Results : 1. The mean intrauterine period was 33.8±2.3 weeks and the mean birth weight was 1870±460gm. 2. The incidence of ICH was 26% in total. 50% in below 28 weeks. 43% in 28 to 32 weeks and 20% in above 32 weeks of gestational age. 3. Grade I ICH by Papile's classification was most common. 4. When compared to vaginal delivery,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ICH incidence in the cesarean section group(p<.05). 5.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s MgSO₄ infusion and ICH incidence in groups without toxemia. 6. The incidence of ICH whose mother had toxemi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abies from the non-toxemic mother. Conclusion : Among the non-toxemic mothers, the incidence of ICH had no relation to whether or not the prenatal adiministration of MgSO₄. However, the incidence of ICH in the premature babies from the toxemic mother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 Microchip 항온제어용 고효율 TEM 드라이버의 설계

        최종성(Jong-Sung Choi),오재곤(Chae-Gon Oh),창원(Chang-Won Hwang),기동(Gi-Dong You) 대한전기학회 2009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9 No.10

        열전소자(TEM : Thermoelectric Module)를 이용한 전자식 항온제어 기술은 기계적 작동 부품이 없어 소음과 진동이 없으며, 간단한 디바이스 구조로 인해 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이를 이용한 항온제어가 전자제품, 통신 설비 등 많은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단일모듈을 사용하여 냉각과 가열이 가능한 열전소자는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꿈으로서 구현되는데, 기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방법으로는 트랜지스터 양단의 전압강하로 인해 드라이어의 출력 효율이 감소함에 따라 시스템 에너지 효율,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저하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열전소자 드라이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의 H-브리지 양방향 전류제어계를 구성하고 열전소차를 결합한 마이크로칩 항온모듈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존 제어계의 동작 한계범위인 600mA를 극복하고, 100mA에서부터 출력소자가 갖는 한계범위까지의 전 영역에서 84% 이상의 고효율 열전소자용 드라이버가 구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