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Chungin of the Late Chosôn and Early Modern Eras

        Hwang Kyung Moon(황경문) 역사실학회 2001 역사와실학 Vol.21 No.-

        조선정부에서 세습적으로 기술전문직을 차지하였던 中人(기술관, 또는 雜科中人) 관리들은 근대 이전 한국 문명사회에서 흥미로운 과제였다. 中人의 존재와 활동 속에 그들에 대한 修鍊, 자격인정 및 사회적 정통성을 부여하는 조선정부의 광범위한 권위가 나타났다. 외국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백성들을 치료하고, 전국의 농업계획을 위해 기상을 예보하고, 主要 사건과 인물들을 남기는 畵員들을 양성하는 데, 나라에서는 中人의 직접 역할을 강조하였다. 참으로 유교의 理想이 지식을 배양하고, 국민들을 돌보는 데 있어서 家父長的 통치자의 개입이 필요할 때는 조선 조정은 中人들을 통해서 中國帝國의 경우 이상으로 유교적인 지배를 달성하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中人 후손들은 점차 더 세력 있는 관료의 지위로 상승하고, 외국학문에 대한 가치를 자각하고, 한국의 생활에서 中人의 지위를 분명히 인식하고, 물질적인 富를 축적함에 따라서, 사회 및 관료 계급조직에서 증진하고 추월하기 위하여 전통적 구실의 성과를 잘 운용하였다. 약간의 저명한 中人 후손들은 식민지 관료정치에서 고위직을 차지하였지만 그들의 공헌은 문학, 예술, 知的인 교육, 기업 및 정치무대에서 대단히 현저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출하였던 몇몇 인물들은 金奎植, 玄鎭健, 高義東, 玄采, 崔南善 및 崔斗善이었다. 조선시기에는 中人의 사회적 지위가 정부로부터 현저히 발산되었던 반면에, 20세기 초의 근대 엘리트가 시사하듯이, 관료계가 아닌 직업에서 주름잡던 中人들의 존재는 그들의 재능이 관료계 밖에서 많이 발휘되었던 점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진전관계는 한국 현대에서 전문직의 기원을 고려해 볼 때 특히 유익하다 하겠다.

      • KCI등재

        The expression patterns of RANKL and OPG in murine tooth eruption

        Hwang, Kyung-Mun,Kim, Eun-Jung,Kim, Hy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2

        치아의 맹출은 치아기 (dental organ)와 치조골의 세포와 연관된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우선 치아 맹출이 일어나기 전에 파골세포가 치낭으로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치낭의 역할은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 지는 골개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치아 맹출과 연관된 많은 유전자들이 치낭에서 발현되기 때문이다. RANKL는 TNF ligand family로써 조골세포에 존재하며 파골세포의 형성 및 전구세포로 부터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이러한 RANKL은 OPG에 의해 그 작용이 억제되며 RANKL와 OPG의 상대적인 비율이 파골세포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Runx2유전자의 변이는 조골세포의 분화와 활성에 차질을 가져오고 결국 RANKL/OPG pathway를 통해 파골세포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치아의 발육 및 맹출에 미치는 RANKL 및 OPG의 영향을 알아보고 Runx2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태생 1, 3, 5, 7, 9, 11일된 쥐의 하악 및 제1대구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RANKL, OPG, Runx2의 mRNA가 태생 1일부터 11일까지 치낭 및 치아주위조직에 특성있게 나타났다. 이중 태생 5일에서 9일 사이에 RANKL 및 Runx2는 치아의 교합면측과 하방 치조골 부위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OPG는 약한 발현을 보였다. 이는 또한 파골세포의 활성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TRAP염색을 실시하여 태생 5일에서 9일 사이에 최대의 활성화를 나타낸 결과와 연광성 있게 나타났다. RANKL, OPG, Runx2의 특성있는 발현양상들을 종합해 볼 때, 치아 맹출은 치낭, 치아기, 치조골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 지며, 이는 치낭이 치아 맹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들 (RANKL, OPG, Runx2) 이 치아의 맹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ooth eruption is a complex and tightly regulated process that involves cells of the tooth organ and the surrounding alveolus. Osteoclast precursors must be recruited into the dental follicle prior to the onset of eruption. This function of dental follicle may be regarded as the ability of bone remodeling characterized by the interaction of osteoclasts and osteoblasts. This is because tooth eruption is a localized event in which many of the genes required for eruption are expressed in the dental follicle. RANKL is a membrane-bound protein that is a member of the TNF ligand family, which is present on bone marrow stromal cells and osteoblasts, and induces osteoclast formation and activation from precursor cell. The biologic effect of RANKL is inhibited by OPG and, in bone, the relative ratio of RANKL and OPG modulates osteoclastogenesis. To evaluate the roles of RANKL and OPG in tooth eruption and the relations with the expression pattern of Runx2, in situ hybridization was performed with mandibles of mice at postnatal stage 1, 3, 5, 7, 9 and 11. mRNA of RANKL, OPG, and Runx2 are expressed in dental follicle and surrounding tissue from P1 to 11. To determine the sites of osteoclastic activity duing tooth eruption, mandibles were dissected. Peak osteoclastic activity in alveolar bone along the occlusal and basal regions was observed from P5 to 9, with osteoclasts in these regions being large and strongly TRAP-positive. The specific spatic-temporal expression patterns of RANKL, OPG and Runx2 in our study suggest that tooth eruption could be progressed through the interactions of molecular signaling among dental follicle, dental organ and alveolar bone, furthermore it means that dental follicle is quite important in tooth eruption. In addition, it indicates that these genes (RANKL, OPG, and Runx2) play critical roles in tooth eruption.

      • KCI등재

        조대술에 의한 하마종의 치료

        강동균,황경문,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하마종은 구강저에 발생하는 점액 남종으로 주로 설하선과 관련된다. 즉, 하마종은 설하선 분비도관의 파열로 인하여 타액이 분비도관에서 빠져나와 주위의 연조직 내에 저류됨으로써 발생하는 가성 낭으로 정의 되며, 원인은 설하선 도관의 파열이나 폐색이다. 하마종의 임상소견은 청색의 투명한 종창이 구강저의 소대를 중심으로 편측으로 발생하며, 무통성이며, 촉진시 파동성을 나타낸다. 조직소견은 결합 조직 내 와동이 형성되지만, 낭 벽은 상피세포가 아닌 육아조직으로 구성되는 가성 낭을 관찰할 수 있다. 하마종의 첫 번째 치료법으로는 하마종의 내벽이 구강점막의 일부가 되도록 만들어 주는 조대술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특징적인 하마종의 임상소견을 보이는 환아에게 gauze-packing등을 동반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로써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보고하고자 한다. Ranula is a mucocele which occurs at the mouth floor and mostly related to sublingual gland. In other words ranula is definded as a pseudocyst which occurs as the secretion duct of sublingual gland is destructed there as the saliva from the the secretion duct flows out and retention in the soft tissue. The cause of ranula is destruction or obstruction of the duct. The clinical findings of ranula is a painless, unilateral bluish transparent swelling around the frenum and shows fluctuation when palpated. Histological finding represent a formation of cavity inside the connective tissue. but a pseudo-cyst can be seen which the wall of the cyst is composed of granulation tissue rather than epithelial cells. The first treatment of ranula can be considered as marsupialization. which induces the inner wall of the Ranula to be a part of oral mucosa. This case report shows a treatment of marsupialization with gauze packing in a young patient representing a clinical finding of characteristic ran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