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치안 수요 자동범주화 연구

        홍세은(Hong Seeun),정인규(Jeong Inkyu),이용걸(Lee Yonggeo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국민의 체감안전도와 치안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찰활동과 치안에 대한 정확한 수요를 파악해야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정확한 치안 수요를 포착해내기 위해 개방형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범주화와 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측면에서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수요 응답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자동범주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A 지역에 거주하는 480명의 주민들로부터 취합한 응답 자료에 주관적 범주화와 자동범주화를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출현 빈도가 높은 대부분의 주요 범주들은 두 방법 모두에서 공통으로 추출되어 자동범주화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자동범주화를 통해 주관적 범주화에서 누락될 수 있는 수요를 포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반대로 문맥 해석을 통해 추상적 혹은 포괄적으로 구성되는 범주는 추출하기 어렵다는 한계점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 내 주제를 요약하고 범주 구성에 대한 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안 수요 조사에 있어 자동범주화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atisfaction level, the government should grasp the exact demand for police activities and public security. In some areas, open-ended surveys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xact demand for police activity,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time and cost involved in categorization and data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automatic categorization technique using text-mining as one of the ways to analyze open-ended responses. We collected response data from 480 residents in the A-area and compared the categories derived from both subjective categorization and automatic categorization. The majority of the major categories with high frequency of emergence were extracted in common from both methods. So the possibility of using automatic categorization technique was confirmed. Although it was confirmed that some demands that could be omitted from subjective categorization can be captured through automatic categorization, the limitations were also identified that it is difficult to extract categories that are composed abstractly or comprehensively.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automatic categorization technique in the survey of security needs was confirmed, given that text-mining technique can be used to summarize the topics in the data and derive some criteria for the composition of the categories.

      • KCI등재

        범죄경력자 거주지 분포에 관한 사회생태학적 접근 : 사회환경적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홍세은(Hong, Seeun),윤상연(Yoon, Sangye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20 교정복지연구 Vol.0 No.67

        본 연구는 범죄경력자의 거주지 분포와 지역의 사회환경적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범죄경력자의 거주지 선택과 연관된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 복귀와 적응을 위해서 어떠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행정동을 지역적 분석단위로 하여 등록된 범죄경력자 수와 사회환경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때 공간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공간회귀모형과 공간적 비정상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가중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범죄경력자 수와 기초생활수급가구비 등 모든 변수 내에서 공간적 군집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역의 기초생활수급가구비가 높을수록, 추정소득이 적을수록, 1인가구비가 높을수록, 인구 1천 명당 주류업소 수가 많을수록, 주택유형 중 다세대주택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범죄경력자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지적 관점에서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마다 그 연관성이 상이하게 추정됨을 확인하였으며, 공간적 비정상성을 고려한 공간가중회귀모형에서 적합도와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범죄경력자 밀집지와 사회환경적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출소자들이 성공적으로 사회에 재진입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특성에 맞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ex-offenders and the social-environmental factors of the region, thereby identify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sidential selection of ex-offenders and discussing what policy approaches are needed for their successful return to the society. To this e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umber of registered ex-offenders and the social-environment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eoul as a research area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gional analysis unit.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re to be more clearly identified by using the spatial regression which can take into account spatial effects and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hich can take into account spatial non-stationar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spatial clusters were identified within all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ex-offenders living in the area and the ratio of basic living allowance househol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basic living allowance households in the region, the lower the estimated income, the higher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higher the number of liquor stores per 1,000 people, and the higher the ratio of multi-household housing, the higher the number of ex-offenders living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by applying a spatial weighted regression that can check the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from a local perspective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s are estimated differently from region to regi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showed the highest suitability and explanatory power. Through the result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residential area of ex-offenders and social-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onfirmed, and what policy approach is needed for ex-offenders to successfully return to the society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대화경찰 역량모델에 대한 연구

        표선영(Pyo, Sunyoung),홍세은(Hong, Seeun),정제용(Jung, Je Yo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2

        집회 현장에서의 평화로운 집회시위를 보장하고 집회참가자와 경찰의 대립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한국 경찰은 2018년부터 대화경찰 제도를 도입해서 시행하고 있다. 대화경찰 제도는 비교적 구체적 목적의식을 가지고 도입이 되었으나, 본격 시행 전 대화경찰의 구체적 역할이나 그 역할 수행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선행되지 않아, 실제 현장 운영과정에서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대화경찰이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정책인 만큼 대화경찰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체가 부족하고, 일부 수행된 연구도 외국의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고찰이나 국내 대화경찰 제도 도입 후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대화경찰의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역할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화경찰에 대한 기대역할을 분명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대화경찰에게 필요한 역량모형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장 대화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대화경찰에게 필요한 5개 역량군과 14개 역량을 도출하였다. 대화경찰 제도의 발전을 위해 이렇게 도출된 역량을 향후 교육훈련 등에 반영하는 방안 등 실무적 함축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The Korean police force have implemented the Dialogue Police System since 2018 as a measure to ensure the peaceful holding of demonstrations and to preven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testers and the police. Although the dialogue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with a relatively specific purpose,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specific role of dialogue police or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officers to perform that role was not conducted before it is fully implemented. Studies on dialogue police system conducted so far is mostly about introduction of the dialogue police system of several foreign countries, and there are no studies that empirically explored the specific abilities and roles of the dialogue police in Korea.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aimed at designing a competency model for dialogue police as a way to help clarify the expected role of dialogue police in Korea. Five competency groups and 14 competencies required for dialogue police were deriv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of on-site dialogue police officers. The policy implications of how this competency model can be used when planning training program for dialogue police officers a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영국경찰의 집회연락관 제도에 관한 소고

        김학경(Kim, Hakkyong),정제용(Jung, Jeyong),염윤호(Yeom, Yunho),홍세은(Hong, Seeun)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65

        본 연구는 비교제도적 연구를 통하여 한국형 대화경찰의 효과성을 간접적으로 검증하고자, 대화경찰과 유사한 영국의 집회연락관(Police Liaison Officer) 제도의 역할과 임무, 효과성 및 개선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영국의 집회연락관 제도에 대한 상세한 고찰을 기반으로 한국형 대화경찰이 나갈 방향성에 대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집회연락관 제도는 정복 착용 등 공개적인 활동을 통하여, 평화로운 집회시위를 촉진하고 무질서를 감소시켰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국내외에서 받고 있다. 이 제도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대화경찰의 효과성을 보여주는 “실용적인 가설 테스트”에 해당하며, 한국형 대화경 찰의 건전성 및 효과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집회 연락관 활동에 대한 구체적 매뉴얼이나 지침의 부족, 범죄정보(intelligence) 수집의 문제, 자질의 문제, (장기간의 배치 시) 복지 문제 등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 서는 영국 집회연락관 제도의 장점과 개선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의 발전 방향으로서, 1) 역할수행을 위한 전문 교육·훈련의 필요성, 2) 정보수집 역할과 관련된 기준 및 지침의 명확화, 3) 대화경찰관의 선발 및 배치기준에 관한 구체화, 4) 업무 범위 확대의 필요성이라는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ialogue police in Korea by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dialogue police in Korea and its counterpart in the UK, Police Liaison Officer(PLO). In particular,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role, mission, effectiveness, and drawbacks of the PLO. Furthermore, based on a detailed review of the UK’s police liaison officer,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dialogue police. The police liaison officer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at home and abroad for promoting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reducing disorder through more conspicuous police activities, such as wearing a vest with high visibility. The positive evaluation on the PLO corresponds to a ‘practical hypothesis test’ that possibly and indirectly indicates the effectiveness and soundness of the Korean dialogue police. Despite the positive evaluation on the PLO,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lack of detailed manuals or guidelines for dialogue police practices, potential risk of collecting intelligence beyond their designated duties, quality and welfare issues of police liaison officers on the field. Comprehensively review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LO in the UK,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n dialogue police 1) set up a specializ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fulfill their roles, 2) set the criteria related to the scope of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3) clarify the criteria for selection and placement of dialogue police officers, and 4) expand the scope of social issues where they are allowed to interv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