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년도 범죄통계를 통한 공동주택의 공간구문론 분석 연구

        홍관선 ( Kwan Seo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범죄를 환경의 산물로 판단하는 환경범죄학이론을 연구적 배경으로 하여, 범죄발생 통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도시 구조적인 물리적 환경이 범죄발생의 어떤 부분에서 연관성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다년도 범죄통계 자료의 분석과 축선도 분석에 의해 정량적인 기초적 지표가 되는 분석방법인 Space Syntax 이론을 활용하고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대상은 범죄발생빈도 다발 지역을 경찰청 자료에 의거해 선정한 후, 연구대상 지역의 53개 공동주택단지(연구대상지역 44개소, 인접생활영향권 9개소)로 한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범죄발생통계와 Space Syntax 변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적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낸 것을 설명하자면, 고위험군 아파트의 경우, 야간강·절도 발생건수와 통합도, 명료도 간에만 부적인 상관관계를 아주 높게 혹은 높게 나타내고 있었으며, 중위험군 아파트의 경우, 세대수, 강·절도, 성범죄 발생건수와 국부통합도의 양적인 상관관계만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저위험군 아파트의 경우, 세대수, 주간강·절도 발생건수와 국부통합도 간에 양적인 상관관계를, 명료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다소 높게 나타내고 있었으며, 강·절도 총 발생건수와 명료도 간에도 부적인 상관관계를 다소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환경범죄학이론을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한 관계로 다양한 사회적인 변수를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사회적 변수만이 아닌 간접적인 사회적 변수까지 고려하여 복합분석을 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centrate on identifying how physical environment of city structure is correlated to crime incidence based on study background of environment criminological theory through comparison with and analysis of crime incidence statistics. To deduce results, this study utilized Space Syntax theory, the analysis method which can serve quantitative basic index by axial map analysis and multiyear crime statistics data analysis, and carried out analysis. The study area of 53 Apartmen Houses (44 points study area, 09 sites adjacent living influence)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incidence of crime and police data-prone areas, subjects. In most cases, correlation between crime incidence statistics and Space Syntax variable was found to be small. With regard t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m, apartment in high risk groups showed very high or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robbery and theft of integration value and intelligibility value, while apartment in middle risk groups showe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households, robbery and theft, and local integration value. Apartment in low risk grou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daytime robbery and theft and local integration value,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ibility value,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obbery and theft, total number of intelligibility value. Apartments in high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except those in middle risk group,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expert on-site evaluation analysis and crime incidence statistics. Since this study failed to consider various social variables since it is based on criminological theory. Future studies will perform complex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indirect social variables rather than direct social variables, expand effects of various physical variables to the vulnerable area of crime prevention, not only apartment house analyzed in this study, and carry out studies with more social valu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도시가로경관에서의 미디어적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1

        도시에서의 가로는 도시의 이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요소이며, 가로경관은 도시 생활인에게 일생을 통한 경험의 장이 되고 다양한 시민의 요구를 서비스하는 공공의 공간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환경과 도시가로경관 역시 예외는 아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도시가로의 물리적 구조와 성장패턴, 그리고 그 동안 도시가로가 수행해 왔던 기능과 역할을 새롭게 변모시키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은 도시가로경관을 공간적으로 담아내고 있으며, 동시에 그 문화의 생성과 지속을 위해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도시공간의 구체적 맥락 속에서 독특하게 형성되고 있다. 지금의 도시는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른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가로의 독특한 다양성과 가치관 형성을 위해 공존하면서 서로를 부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가로 경관의 개선을 위해 단지 개별건물이나 시설물 등의 요소를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환경 전반에 그들의 삶의 시공간적 의미와 지향성을 담아내고 표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도시가로경관에서의 미디어적 표현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인의 접근 방향을 문화, 소통, 기술 인식적 접근과 건축물, 시설물, 도로 등의 실존적 접근 등의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도시가로경관에서의 미디어적 표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Urban streets are the elements that show the images of the city best, and urban street landscape becomes the place of experience to urban people throughout their life and is a public place which gives a service to diverse requirements of urban peopl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influenced almost all fields of our society, and our urban environment and urban streets landscape that we live are not an excepti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physical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of urban streets landscape, and functions and roles that urban streets have performed all the while. The present city is judged to stand out, coexisting together for unique diversity and for the formation of view points, instead of unconditional acceptance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technology. Thus, this study tries to apply digital medea as the method to focus on expressing temporal and spatial meaning and directivity of urban people life in the whole streets, instead of targeting individual buildings or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street landscape, and suggest the guidelines for applying the direction to actual urban street landscape, by drawing the approach of urban street landscape design applying digital media from culture, communication, and technology-cognitive approach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 such as buildings, facilities, and roads.

      • KCI등재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 표현특징에 관한 연구

        강박(Jiang Bo),홍관선(Kwan-Seo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최근 몇 년간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건축양식과 디지털 도구가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건축물을 구현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건축물은 기존의 정형 건축물과는 확연히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디자이너는 비정형 건축물을 구축할 때 다양한 방법이나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비정형 건축 형태와 보다 자유로운 건축 형식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비정형 건축형태 특성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첫째, 본문은 비정형 건축물의 외부형태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정형 외부 형태 요소를 고찰하고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비정형 형태의 유형을 분류하는 동시에 비정형 건축형태의 디지털 프로세스 디자인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셋째, 본문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비정형 건축물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형태 표현의 특징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련 분야의 연구를 위한 사례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비정형 건축물의 특징과 관련된 분포 법칙과 존재 가치를 모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기능적 용도의 분포와 결합하여 분석을 전개하였으며, 비정형 형태가 용도별로 건축물에 적용되고, 이러한 형태의 적용 추이를 파악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자 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unstructured buildings have begun to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s with digital tool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formal buildings. Designers will use various methods or digital tools to complete the unstructured and freer architectural forms when building an unstructured building.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structured architectural forms is raised. First, the text was reconstructed by considering and integrating the elements of the unstructured exterior form based on prior research, with the external form of the unstructured building as the main research object.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various types of unstructured forms an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designing digital processes of unstructured architectural forms.Third, from 2000 to 2020, the text focused on the study of unstructured buildings and conducted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orm expressions. While providing a case basis for the study of related fields, distribution laws and presence valu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nstructured buildings were sought.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functional use of buildings, and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in that the atypical form is applied to the buildings by use, and the application trend of this type is understoo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atypical form of buildings.

      • KCI등재
      • KCI등재

        뉴욕사례를 통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의 도시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두보위(Bo-Yu Du),홍관선(Kwan-Seo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현대 도시의 불확실성과 유동성은 전통적인 도시계획에 큰 도전을 제기했지만, 이런 도전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도시 오픈 스페이스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중요한 실천의 장으로, 수많은 경관 디자이너들에게 전시의 플랫폼을 제공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핵심적인 내용이 오픈 스페이스 속에서 표현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국내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과 실천이 창시된 뉴욕에 연구 시각을 집중했다. 연구방법은 도시 오픈스페이스 구성요소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구축하여 사례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뉴욕시의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고찰하는 것이다. 사례 분석을 통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다섯 가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연 지형 융합이나 모방, 녹색 인프라 구축, 생태 복원력 강조, 무계획적인 사건 대응하는 적응성, 다중스케일에서 부지의 해석이다.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제시한 디자인 제언은 향후 국내 도시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방향에 참고할 가치가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lanning of traditional urban has to face great challeng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uncertainty and mobility of contemporary cities. While for this kind of challenge, it has brought the chance to develop Landscape Urbanism quickly. As an important practice place for Landscape Urbanism, open space provides a platform for many landscape designers to displa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xpression of the core content of Landscape Urbanism in open space, and propose the design tendency of open space in Korea.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elements of urban open space and the core concept of Landscape Urbanism, this thesis establishes the analysis framework, which carries out the case empirical analysis for the open space of New York. Through case analysis, we can see that there are five major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That is, the integration or imitation of natural terrain, gree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emphasizing ecological resilience, adaptability to unplanned events, and analyzing the site from multiple scales. In this research, the design proposal proposed on the basis of Landscape Urbanism is able to provide enlightenment for the urban open space design of Korea in the future.

      • 집단기억 표현 요소로 분석한 역사적 Landmark 건축물에 관한 연구

        강박(Jiang Bo),홍관선(Hong, Kwan-S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It can be considered as a modern cultural landscape of the city. But if such cultural landscapes may not let people think of urban features or "past" in urban space, they may let people feel unfamiliar.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building is a landmark of the city and contains the specific memories of the city. However, as the memory itself remains a trace of time and space, the rapidly changing modern city is the place of human collective memory. In this situation, the city"s landmark building is a tool of collective memory and can realize the memory of different individuals in collective memory.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support to related design cases by studying how memory elements of modern city are embodied in city "s landmark buildings by analyzing components of collective memory. The study analyzes landmark architecture from the viewpoint of collective memory and explores how landmark architecture contain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development. First of all, via the literature survey, concepts and components of collective memory and landmark architecture are introduced. Then summarize them. Next, via on-site surveys, actual surveys on selected cases are conducted and analyze cases with regional history, culture, sustainability, and structure of collective memory are analyzed. The collective memory is to obtain a form that is expressed specifically in the landmark architecture.

      • 테마호텔의 객실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초기(Xiao, Qi),홍관선(Hong, Kwan-S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Themed hotels is a new form of hotel development that is rising at home and abroad.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as a leading position. And The design of the themed hotel is different from tradition as hotel as it more innovative. Its biggest feature is to give the hotel a theme, and around the theme construction has the difference of the hotel atmosphere and management system. People are attracted to themed hotel for its" unique interior design especially the guest room. Moreover, the guest room is not only a core part of themed hotel but also one of the primary considering factors when customer selecting a hotel. As an appealing and unique themed hotel can attract more customers. For the sake of promoting the themed hotel"s running better, guest room design characteristics can"t be neglected. However, from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themed hotel, there is less analysis related to the themed hotel"s guest room design.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est"s room design in the themed hotel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themed hotels in recent yea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reference to design the guest"s room of the themed hot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