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미술관에서 미술작품과 태그의 협력 태깅 관계 시각화 - 경기도 미술관 소장품 태그를 중심으로 -

        허소임 ( Hur So Im ),서용준 ( Seo Yong Jun ),박승호 ( Park Seung H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태그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탐색하는 방안으로써 시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현재 경기도 미술관에 축적된 태그와 미술작품들의 연결 관계를 한 화면에서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시각화 결과물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관람자의 작품 감상 맥락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의미를 분류하였고, 이를 시각화에 적용하여 기존 체계에서 태그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의 모호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각화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행능력을 측정한 결과, 경기도 미술관의 태깅 시스템보다 데이터를 탐색하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었으며, 사용자들 대부분이 본 시각화 결과물이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미술관에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태그를 사용자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각화를 통해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데이터 시각화 영역에서 다루지 않은 미술작품과 태그라는 생소한 주제에 대해 기초적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결과물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suggests a data visualization that connects the relationship of the tags accumulated by collaborative tagging of artworks in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GMOMA) in order to effectively display massive tags and artworks at interfac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artworks, the meaning of dat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perspectives of visitors that appreciate artworks. As a result of user test, the time for searching data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GMOMA environments and users evaluated it is quite usefu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moting methods to effectively utilize the consistently increasing tags through visualization. In addition, the study has made attempt in dealing with the unfamiliar field of artworks and tags, not yet handled in the existing field of data visualization, through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technique that can be utilized as basic guidelines for fields.

      • KCI등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터랙션으로 인한 세렌디피티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조인성 ( In Seong Cho ),서지희 ( Ji Hee Seo ),이민주 ( Minju Lee ),허소임 ( So Im Hur ),이윤지 ( Yoon Ji Lee ),이효선 ( Hyo Seo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5 감성과학 Vol.18 No.4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의외성을 제공할 때 사용자는 만족을 넘어 감동할 수 있으며, 최근몇몇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서비스는 이러한 의외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의외성 자체는 오히려 사용 용이성을 떨어뜨리는 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음에도,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관련 연구들은 주로 사용성 중심의 만족을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외성으로 인한 사용자 경험의 변화를 세렌디피티(뜻밖의 발견으로부터 유발되는 예상치 못한 즐거움) 개념을 이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UX 분야에서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로부터유발되는 요인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했다. 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을 통해 유발시킨의외성과 동시에 게임 요소를 제공한 세렌디피티, 지각된 신규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만족등의 요인들 간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세렌디피티가 지각된 신규성에 정(+)의, 사용 용이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신규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세 가지 요인 모두 사용자 만족에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관찰됐다. When product or service provides unexpectedness the user would be satisfied, and lately some mobile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provide those unexpectedness. However, unexpectedness itself can make negative effects such as decrease of the ease of use, still studies about mobile application are focused on satisfaction from the usability. Therefore, we would study experimentally user experience changes caused by unexpectedness using serendipity in mobile application UX, and observe how those changes to affect to us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e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such as the unexpectedness caused by interactions of mobile application, the serendipity provided game, perceived new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ability, and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serendipity has positive effect to the perceived newness and negative effect to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new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 to perceived usability positively, and all three factors are have positive effects to the us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