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강소기업의 특성과 기술개발 방법 : 독일 강소기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문구,Huh, Moon-G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8

        독일의 강소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강소기업은 독일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가지며, 연구와 정책개발을 위해서는 그 차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전반적 특성과 전략적 행동 및 성과 측면에서 지역의 강소기업은 독일 기업에 비해 업력이 현저히 짧고 특정 분야에의 전문화 정도는 오히려 낮으며, 특히 원가경쟁력과 세계화 등의 측면에서는 약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개발 방법에 있어서, 독일의 강소기업은 자체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개발과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두는 반면, 지역의 성공적 중소기업은 협력적 기술개발, 특히 기술제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의 기여와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 SMEs in Korea and German hidden champions, with respect to both strategic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ajor competitive dimensions, and mode of technology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public databases, and the sample comprises successful SMEs located in regional area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hidden champions are relatively low regarding specialization of business domain and globalization while German hidden champions have positioned in global niche market. It is also found that local firms utilize technology alliances actively for technology development while German hidden champions rely heavily on internal R&D as a primary source of innovation. Based upon these results, policy directions for fostering local hidden champ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전략 연구의 쟁점: 개념, 측정 및 유형화를 중심으로

        허문구 한국전략경영학회 2003 전략경영연구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damental issues of the strategy field-the concepts, measurements, and classifications of strategy. The strategy construct is defined and analyzed by three dimensions, that is, the scope of the definition, level of analysis, and intentions versus realizations. For improving the validity of empirical study, the operationalization and measurement issues of the strategy construct are delineated and compared. I also discuss the relativ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the classification methods of the strategy. 본 논문은 전략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면서도 흔히 많은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거나 오류를 범하고 있는 전략의 개념과 측정방법 및 유형화의 문제를 다룬다. 최근에 들어 전략이란 용어가 보편화되고 널리 사용됨에 따라, 전략의 개념과 주요 쟁점에 대한 면밀한 검토없이 연구가 이루어지거나 전략 개념에 대한 오용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전략의 주요 쟁점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전략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엄밀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한다. 먼저 연구접근방법에 따라 타당한 연구설계 및 방법론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략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전략 개념을 범위, 분석 수준, 및 의도 대 실현이라는 세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연구주제나 목적에 따라 바람직한 개념화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실증 연구를 위해 필요한 전략 개념의 측정과 유형화에 있어서 여러 접근방법을 비교 분석한 후, 연구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과 연구주제나 내용에 따라 타당한 방법과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인재유인력의 지역분포와 특성분석 - 인재유인잠재력지수(TMPI) 산출을 중심으로 -

        허문구 한국지역학회 2015 지역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with the Talent Magnet Potential Index(TMPI), which is calculated through the extra-regional talent attracting environment(Magnet factors) and intra-regional talent cultivating environment(Incubator factors) of each region. As a result, Seoul, Daejeon, Gyeonggi, Ulsan etc. ranked highest, and regions developed in knowledge-based services, R&D capability, and manufacturing turned out to have a higher TMPI. The region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and the regional type analysis showed that the cumulative effects of Type I(Talent comparative advantage type) and Type III(Talent absolute shortage type) contribute to widening the economic gap among these regions. In addition, although the metropolitan based Type IV(intra-regional talent dependant type) had excellent talent training capability, there seemed to be an outflow of talent into Type I or Type II(extra-regional talent dependant type). This paper has done a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TMPI.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alent by type and TMPI turned out to be very hi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2T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showing that tolerance contributes a much greater deal to talent attracting and training than expected. Finally, based on the main analytical results, implications for talent attraction & training policy projects and 7 improvement plans have been proposed. 본고에서는 각 지역의 역외 인재 유인환경(Magnet요소) 및 역내 인재 양성환경(Incubator 요소)을 통해 인재유인잠재력지수(Talent Magnet Potential Index, TMPI)를 산출함으로써 지역분포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 대전, 경기, 울산 등이 1~4위의 상위권을 차지하여 지식기 반서비스업 및 R&D역량, 그리고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TMPI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4개로 분류한 인재유인력 지역유형에서는 유형Ⅰ(인재비교우위형)과 유형Ⅲ(인재절대부족형)의 누적적 효과로 인해 향후 이들 지역 간의 경제격차 확대가 예상된다. 더불어 광역시 중심의 유형Ⅳ(역내 인재의존형)의 경우는 인재양성역량은 우수하나 유형Ⅰ 또는 유형Ⅱ(역외인재의존형)으로의 인재 유출 이 우려된다. 본고는 TMPI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16개 시도 대상의 유형별 인 재와 TMPI 간 상관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T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나 그간 상대적으로 경시된 관용성 부문이 인재의 유인 및 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새로이 확인하 였다. 그러나 인재가 집중하는 서울을 제외한 15개 시도 대상의 상관관계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마지막 으로 이러한 주요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의 인재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역성장과 지역소득 변동경로 요인분석 - 지역순환가설의 GRDP 적용을 통한 검증

        허문구,이상호,안기돈 한국지역학회 2009 지역연구 Vol.25 No.1

        Even though per capita income has been frequently used to measure the regional growth, it depends on the growth rates of income and population because per capita income is composed of income and population. It is worth analyzing the paths of per capita income through investigating the dynamic changes of income and popul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gional growth stages. This paper employed the regional cycle hypothesis which decomposes the GRDP growth into income and population growth in order to analyze the regional growth paths of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present four kinds of regional cycle patterns. First, both income and population decline in the metropolitans such as Seoul and Busan while the areas neighboring the metropolitans experience the increase of income and population. Second, both income and population grow in Chungcheong area. Third,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population in some areas. Finally, population change does not have any effect on income level in other areas.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suggests that increase of both income and population is desirable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growth. 최근 지역성장의 대표지표로서 인구 일인당 소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인구와 소득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두 요소의 변화에 따라서 지역성장 정도도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일인당 GRDP를 기초로 하여 인구 및 소득의 증가율 변화를 지역순환가설(Regional cycle hypothesis)에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시/도의 지역발전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울이나 부산과 같은 대도시는 인구와 소득의 성장이 동시에 감소하는 데 비해 그 주변지역은 두 요인이 성장하는 패턴, 둘째, 충청권과 같이 인구 및 소득의 성장이 동시에 증가하는 패턴, 셋째, 인구감소로 인한 소득증가와 인구증가로 인한 소득감소를 나타내는 패턴, 마지막으로 인구의 감소 및 증가와는 별도로 소득수준이 고착화되어 있는 패턴 등을 발견하고 각 지역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가설 검증을 통해 11개 지역을 도시 성장형, 도시 순환형, 지방 성장형, 지방 개발형 등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한 결과 인구의 감소로 인해 자연히 얻어지는 소득의 증가보다는 소득과 인구가 동시에 성장하는 충청권과 같은 패턴이 지역성장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