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함경애,변복희,천성문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gratitud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401 male and female third grade students from 4 middle schools in Busan. The data analysis were use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titud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following stress coping strategies: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Gratitude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and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blem-focus coping strateg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atitud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influence of gratitude on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high and low level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the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the emotion-focus coping strategy. Therefore,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it is important not only to promote their gratitude but also to provide enough support for them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of active problem solving in stressful situations. In additi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in counseling situ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감사성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역할을 규명하려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곳의 중학교 3학년 남녀 401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감사성향은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나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높은 관련성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혜택을 떠올려 감사를 느끼고 표현하게 하는 활동들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감사성향이 낮다 하더라도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하며 주변의 충분한 격려와 지지는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문제들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감사성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녕감이 증진되고,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지만 감사성향과는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비록 문제 해결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감사성향을 높여주면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안녕감을 느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활동을 개발할 때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정서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덧붙였다.

      • KCI등재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함경애 한국재활심리학회 2015 재활심리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원가족 건강성과 자아분화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3년 이상의 양육 경험이 있는 30대∼50대 중에 여성 289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건강성 척도, 자아분화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분화가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효능감과 원가족 건강성 및 자아분화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아분화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아분화는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성숙도와 행복의 관계에서 성별 차이 분석: 교차-지연 패널 모형 중심으로

        함경애,박현주 한국교육치료학회 2017 교육치료연구 Vol.9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an effectiveness an structured, 8-session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happiness with a large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components of happiness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and tested i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differed by gender. Two hundred and twenty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and completed career maturity and happiness inventories twice before program (Time 1) and 4 weeks after program (Time 2). Cross-lagged panel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to Time 1, students’ levels of career maturity and happ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ime 2. Furthermore, cross-lagged pane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or male students, career maturity at Time 1 predicte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at Time 2. However, no causal relationships was found in femal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행복 수준의 향상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진로성숙도와 행복(삶의 만족감, 긍정 정서, 부정 정서)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였다. 부산 지역 총 223명의 중학생(남학생 105명, 여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8회기에 걸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교차-지연 패널 모형 검증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4주 후의 진로성숙도와 행복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서 실시 4주 후 프로그램 참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행복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남자 중학생의 경우 진로성숙도 사전 점수와 4주 후 삶의 만족 및 긍정 정서 점수 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발견된 반면, 여자 중학생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 중학생의 경우, 진로성숙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실시로 주관적 행복 수준, 특히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저녁식사 빈도에 따른 우울, 학업성취도 및 인터넷 중독의 차이

        함경애,송연주,이동훈 한국재활심리학회 2014 재활심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저녁식사 빈도에 따른 우울, 학업성취도 및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지역에 소재한 20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총 74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일주일에 보호자와 함께 하는 저녁식사 횟수에 따라 0〜2번, 3〜5번, 6〜7번의 세 집단으로 나눈 후,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저녁식사 횟수에 따라 나누어진 세 집단에 따른 우울, 학업성취도 및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직업이 없고 급식지원을 받지 않고 양친부모 가정 학생들이 저녁식사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직업 유무, 급식지원 유무, 한부모가정 유무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저녁식사 빈도가 높은 집단이 저녁식사 빈도가 낮거나 보통인 집단보다 우울, 인터넷 중독을 낮게 지각하였다. 반면 학업성취도에 대해서는 저녁식사 빈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함경애,김미옥,최영옥,천성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9 No.1

        본 연구는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경남, 울산 내에 소재하는 초,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다차원 완벽주의척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척도, 교사 직무스트레스척도, 옥스퍼드 행복척도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설문지 중 276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고 주요변인들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7.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예상한 대로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의 완벽주의 차원에 따라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행복으로 가는 경로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유무가 달라짐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분석결과에 대해 요약하고 교사의 완벽주의 차원에 대한 의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job stress and happiness by teacher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Three hundred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ere given questionnaires assessing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problem solving, job stress and happiness. Of the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76 were returned and analyzed. We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model.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eacher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n their happiness. In addition, it is implied that depending on the level of teachers' perfectionis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job stress can be different through the path from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to happiness. Further suggestions can be mad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교사의 자기애적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함경애,이은혜,박명숙,천성문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eacher's narcissism propensity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measuring overt narcissism,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and self-esteem were completed by 300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Busan. To verify the effects,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applied to see if the relationship among vert narcissism,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and self-esteem could differ depending og gender. Also,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narcissism propen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narcissism propensity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problems and self-esteem.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overt narcissism propen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was not mediated by self-esteem.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vert narcissism propen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Consequently, the narcissism propensity perceived by teachers has influences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was shown to mediate only the path between covert narcissism propen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Therefore, these finding give deep and reasonable understandings on the associations among teacher's narcissism propensity(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and self-esteem.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애적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 중, 고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외현적 자기애 검사, 내현적 자기애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대인관계문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변인들 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첫째, 교사의 자기애적 성향 중 외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이 통제되었을 경우 외현적 자기애의 효과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자아존중감은 외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기애적 성향 중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이 통제되었을 경우 내현적 자기애의 효과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자아존중감은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을 위한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함경애,천성문,노진숙,송부옥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eatment program for overcoming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boy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ocedure is as follows: research, analysis, construction, development, treatment and evaluation. In the stage of research and analysis, a variety of precedent studies were reviewed and a survey of needs was done to 159 in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boys. In the stage of construction, sub-objectives for each session were set based on development principles which mean a complex approach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strategies and on goals to improve academic achievment for overcoming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boy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activity plans selected by its goals, objectives and session objective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experts' advices and the last program was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activity plans included self-awareness, self-merit understanding, setting goals, time management, modifying cognitive distortions and perfectionism, reducing anxiety, self reward system, and so on. In the stage of treatment and evalu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in an experimental group, 10 in a controlled group. The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minutes each week (total ten times) for 10 weeks. Scales for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efficacy, perfectionism and anxiety were used along with academic achievement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rocess of the data was estimated by ANCOVA through the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 shows this program decrease the frequency of procrastination, maladjustment-perfectionism and anxiety,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ast,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next studies were described.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절차는 조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및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 및 분석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59명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분석에 따라 차시를 구성하였다. 설계단계는 남자 중학생을 위한 학업적 지연행동을 극복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하고자 하는 목적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전략의 복합적인 접근이라는 개발원리를 토대로 각 차시별 하위목표를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목적, 목표, 차시별 목표에 따라 선별된 활동안을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활동안은 학업적 지연행동에 대한 자기알기, 자기 장점과 성공 경험을 통한 긍정적 힘 알기, 비합리적 신념 및 완벽주의 성향 수정, 자기 삶의 목표 및 우선순위 설정, 계획표 짜기 등 시간관리, 불안다루기, 자기강화 전략 및 긍정적 적응 훈련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그 효과 검증을 위해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0명으로 나눠, 실험집단에 대해 총 10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에 학업적 지연행동 및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불안 척도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으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남자 중학생들의 학업 지연행동 중 지연빈도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불안을 감소시켜주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자해행동

        함경애(Ham, Kyong-ae),김서영(Kim, Seoyoung),이동귀(Lee, Dong-gwi),손하림(Sohn, Har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성인 516명 중 자해 경험이 있는 1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초발 자해행동은 평균 15.70세(SD = 3.11)에 시작되었고, 고의로 자신을 때리거나, 깨물거나, 벽이나 책상 등에 머리를 부딪히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해행동 시작 계기에 대한 다중응답분석결과, ‘우연히 자해라는 것을 발견해서(45,7%)’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해 경험이 있는 집단이 비(非)자해집단에 비해 의사소통기술을 제외한 심리부적응 관련 변인(정서강도 및 반응성, 분리 상실 경험, 파국화, 고통감내력 부족, 감정표현 불능, 사회적 문제 해결 부족)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이 높을수록, ‘분리 상실 경험’이 많을수록, ‘고통감내력’이 부족할수록 자해경험이 있는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다섯째, 수정된 통합적 자해행동모형(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Jacobson & Batejan, 2014)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은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해 자해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분리 상실 경험은 자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ngagement mechanism of self-injury based on multifaceted risk factors suggested by the revised version of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the total of 516 participants, 132 young adults who reporte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with self-injury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ly more sign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e.g., higher trait affect intensity and lower distress tolerance) than the group without engagement in self-injury. Among the risk factors, trait affect intensity,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and low distress tole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path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affect intens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via low distress tolerance, while the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directly predicted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완벽주의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자동 사고의 매개효과

        함경애(Ham, Kyong-A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완벽주의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자동 사고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울산 소재에 재학중인 초등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발표불안, 부정적인 자동 사고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생의 부정적인 자동 사고가 완벽주의와 발표불안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불안과 완벽주의 및 부정적인 자동 사고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완벽주의와 부정적인 자동 사고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인 자동 사고는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자동 사고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Speech Anxiety Children’s. The research conducted survey abou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eech anxiet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by 312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Kyung-nam province, Ulsa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between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betwee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peech Anxiety respectively. Seco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Thir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모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함경애(Ham Kyong ae),신지영(Shin Ji Young),이동훈(Lee Dong 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모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모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76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73부를 제외하고, 총 72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양육태도 중 돌봄은 충동성 및 인터넷 중독과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 양육태도는 충동성 및 인터넷 중독과, 충동성은 인터넷 중독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 양육태도 중 돌봄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약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모 양육태도 중 통제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약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충동성의 수준에 따라서 모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es' perceived maternal rearing attitudes and internet addictions. The other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ring attitudes and internet addictions. A total of 800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of which 760 of them were collected. Among them, 727 were usable for this study, and was analyzed using SPSS 20.0.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aring rearing attitudes of mother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s. Controlled rearing attitudes of moth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s, and impuls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weak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was observed between caring rearing attitudes of mother and internet addictions. Third, the weak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was observed between controlled rearing attitudes of mother and internet addictions. In short,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o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s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ulsiv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