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한 말레이시안 무슬림 관광시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희주 ( Hee Joo Han ),이재섭 ( Jae Sup Lee ) 관광경영학회 2009 관광경영연구 Vol.38 No.-

        다민족, 다문화 국가인 말레이시아는 2006년 8월 현재, 인구 2,673만 명 중 말레이계(무슬림)가 61%, 중국계가 24%, 인도계가 7%를 차지하고 있다(조선일보. 2007). 해외여행 주 수요층은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중국계이다. 그러나 지난 1971년부터 펼쳐진 부미푸트라정책(중국계 억제, 말레이계 우대) 덕분에 근년에는 무슬림 자산가 및 고소득층이 증가추세에 있고 중산층의 해외여행 또한 늘어나고 있다. 말레이시아 무슬림 관광시장조사(한국관광공사. 2006)에 따르면 말레이계 해외여행객은 전체 출국자의 약 20%에 이른다. 그러나 방한 말레이시아 관광객의 민족구성을 살펴보면 한류의 인기가 절정이었던 3-4년 전 전체의 10%를 차지하던 말레이계는 최근 5-7%(한국관광공사. 2008)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해외여행 빈도 증가가 한국을 찾는 실제 관광객 수 증가로 연계되지 못했음을 말해준다. 이에 인바운드 관광시장 다변화를 모색 중인 한국은 신규 잠재시장으로서 이들 말레이계를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말레이시아 무슬림관광시장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해 시장 진흥의 가능성을 살피고 이의 실현을 위해 앞서 고려할 점들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는 무슬림관광관련 문헌과 자료 검토, 국내와 말레이시아 시장 현지조사 및 관계자인터뷰 내용분석 등의 방법으로 이뤄졌다. 결과, 무슬림의 종교율법을 이해하고 손님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국내 수용태세 확충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슬림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할랄푸드`로만 식사한다. 기도의식 공간과 세정시설도 필요하다. 현재 7개 대체 할랄식당을 문 연 강원도(한국관광공사. 2006)와 서울에만 집중된 할랄식당을 전국으로 넓혀야하며, 한국은 이들이 편히 여행 올 수 있는 관광목적지라는 이미지를 확고히 심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

        스페이서 구조 및 음극 전해질 농도 변화에 따른 Pilot 규모 전기화학적 H₂O₂ 발생 장치의 최적화 및 성능 평가

        이진희(Jin Hee Lee),한희주(Hee Joo Han),이정훈(Jeong Hun Lee),장정화(Jung Hwa Jang),김대원(Dae Won Kim) 대한환경공학회 202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2 No.2

        목적 :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H₂O₂) 생산을 위하여 pilot 규모의 바이폴라형 전기화학적 발생 장치(bipolar-electrochemical generator or bipolar-electrolyzer)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 발생 장치 내 전해질의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양극 스페이서와 음극 스페이서의 구조 및 배치 변화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발생 농도와 발생 효율을 비교함으로써 최적 스페이서 구조와 배치 방안을 확립하고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 발생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 발생 장치 내 양극 스페이서와 음극 스페이서의 채널 서포터의 구조와 배치를 조절하여,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 발생 장치 내 양극 및 음극 스페이서의 구조와 배치를 최적화하였다. 또한 실제 산업에서 요구하는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전해질(Na₂SO₄)의 농도를 조절하여 발생한 과산화수소의 농도와 발생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및 토의 : 너비가 넓은 채널 서포터와 좁은 채널 서포터를 양/음극 스페이서로 적용하여 50 A에서 전기분해장치를 운영하였다. 그 결과, 너비가 넓은 채널 서포터를 사용하였을 때 2023.83 mg/L의 과산화수소 발생 농도를 보이며 좁은 채널 서포터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높은 과산화수소 발생 농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양/음극 스페이서의 채널 서포터 존재 유・무를 조합하여 50 A에서 전기분해하였을 때, 양극 스페이서에 채널 서포터가 없고 음극 스페이서에 채널 서포터가 존재할 때 가장 높은 과산화수소 농도(2295.95 mg/L)와 발생 효율(86.87%)을 나타냈다. 또한, 전해질(Na₂SO₄)의 농도를 10 PSU와 20 PSU로 조절하여 테스트하였을 때 전해질의 농도가 더 높을수록 과산화수소의 발생 농도(20 PSU, 80 A, 4217.74 mg/L)와 발생 효율(20 PSU, 80 A, 74.80%)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기화학적 과산화수소 발생 장치 내 스페이서의 형태와 배치를 최적화하여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높은 발생 효율로 생산하였으며, 본 논문의 과산화수소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실제 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developed pilot-scale bipolar-electrochemical generator (or bipolar-electrolyzer) for generating hydrogen peroxide (H₂O₂). By comparing H₂O₂ concentration and generation efficiency of H₂O₂ according to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anode/cathode spacer,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spacer have been optimised for high H₂O₂ concentration and generation efficiency. Methods : The concentration and generation efficiency of H₂O₂ were evaluated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channel supporter in anode/cathode spacer and we optimised the arrangement of anode/cathode spacer in electrochemical generator. Additionally, we also evaluated the efficiency of H₂O₂ generation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catholyte (Na₂SO₄). Results and Discussion : The electrochemical H₂O₂ generator applied anode/cathode supporter with narrow channel supporter showed high H₂O₂ concentration of 2023.83 mg/L. Electrochemical H₂O₂ generator with N-C type spacer (anode: no channel supporter, cathode: channel supporter) showed the highest H₂O₂ concentration (2295.95 mg/L) and H₂O₂ generation efficiency (86.87%). also, we observed that the electrolyzer with 20 PSU has higher H₂O₂ concentration (4217.74 mg/L) and generation efficiency (74.80%). Conclusions : As a results, We generated H₂O₂ with high concentration and high generation efficiency by optimising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spacer in electrochemical H₂O₂ generator. Also, We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bioplar-electrochemical generator in our study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industry.

      • 해수에 잠겨 있는 제주화산체의 범위 추정

        고창성(Chang-Seong Koh),박원배(Won-Bae Park),고기원(Gi-Won Koh),박준범(Jun-Beom Park),문덕철(Duk-Chul Moon),한희주(Hee-Joo Han)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180여 만 년에 달하는 화산활동을 통해 형성된 제주화산체는 바다 속 어디까지 분포하고 있는 것일까? 제주도의 지질에 대한 조사·연구가 진행된지 10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 궁금증은 풀리지 않고 있다. 우리는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진행된 심부 시추조사 및 용암류 연대측정, 부속도서의 지질과 연대측정에 대한 연구결과, 2007년 국립해양조사원에 의해 발견된 탐라해저분화구, 제주도 동-서부 연안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를 위한 시추조사 등으로부터 얻어진 정보와 제주도 주변해역 수심정보(전자해도)를 이용하여 제주화산체의 범위를 추정하였다. 우리는 제주도 주변 (-)60 m 등수심선까지 제주화산체가 연장되어 있음을 제시한다. 통계상의 제주도 면적은 1,850.16 km²(지적면적)이나, (-)60 m 등수심선까지 연장할 경우 화산체의 면적은 2,646.2 km²로 현 면적보다 약 796 km²가 더 넓다. (-)60 m 등수심선은 대체로 남-북보다는 동-서지역이 현 해선에서 바다 쪽으로 더 멀리 확장되며, 이는 구성암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차이는 동-서쪽으로 신장된 섬의 모양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애월·모슬포·위미·표선·월정리 지역은 현재의 해안선에서 약 3-4 km 거리까지 연장되며,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은 우리의 제안을 뒷받침해준다. 첫째, 제주도 동북부 김녕리-한동리 앞 수심 20~40 m 지점에서 시행된 해상시추에서 해수면 하 (-)50~70 m 깊이까지 육상 환경에서 정치된 용암류, 용암류가 바다 속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쇄설성 각력 암층(hyaloclastite breccia), 육상환경을 지시하는 고토양층이 시추코아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양상은 해발 50 m 이하 해안저지대에서 이루어진 해수면 하 (-)100~150 m 심부시추조사에서도 확인되었다. 둘째, 유리쇄설성 각력암층은 서귀포 일대의 남부지역을 제외한 제주도 해안지역 65개 시추공에서 그 존재가 보고되었고, 그 중 19개 공에서는 2개의 층준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제주화산체의 수평적 성장이 (1) 육상환경에서 분출한 용암류에 의한 성장, (2) 육상 분출 용암이 바다로 유입되고 용암삼각주를 만들면서 성장하는 과정을 겪은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탐라해저분화구는 표선항에서 남동쪽으로 4 km 떨어진 수심 60여 m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용암채널, 용암팽창구조, 투물러스 등의 용암지형이 보고되었는데, 이는 육상환경에서의 용암분출과 정치를 의미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