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형 공익광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소현(Han, So-Hyun),전영훈(Jeon, Young-Hoon)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thod of revitalization for the urban public benefit square. From the viewpoint of the citizens welfare and space security, the construction of high-qualified public square is very important probl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well-constru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f public squares, and then tried to deduce concrete conditions of construction methods of revitalization. As the result of it, I could find three standpoints of conditions for the revitalized square, and each of those are urban context point, architectural planning & design point and synthetic point. For the urban context point, the conditions and details for the location of square, facade design of adjacent buildings and pedestrian’s circul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s basic elements, and for the architectural design point, the problem of dimensions, formations of space and site arrangement is in need of good design. And finally for the synthetic point of conditions, the diversity of programs as a software for activities and events of square, the influx of public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transition area and border space is the clue for the successful construction process.

      • KCI등재

        우리나라 지역별 건강수명과 관련요인

        한소현(So-Hyun Han),이성국(Sung-Kook Lee)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2

        연구 결과 우리나라 65세 전체 인구집단 중에 기대여명은 2005년도 18.15세, 2010년도 19.75세, 건강수명은 2005년도 11.41세, 2010년도 11.64세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65세 남자의 기대여명은 2005년도 15.80세, 2010년도 17.28세, 건강수명은 2005년도, 2010년도 각각 10.78세, 11.64세로 증가하였다. 65세 여자의 전국 기대여명은 2005년도 19.90세, 2010년 21.62세로 1.72세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건강수명은 기대여명과 달리 2005년도 11.88세, 2010년도에는 11.73세로 약간 감소하였다. 지역별로 65세 전체 기대여명이 제일 높은 지역은 모두 제주특별자치도이며, 건강수명이 제일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에서 제일 높았다. 지역별 65세 남자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은 모두 서울특별시가 가장 높았다. 건강비율은 2005년 서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10년 충청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65세 여자의 지역별 기대여명은 2005년도와 2010년도 모두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일 높았으며,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2005년도에는 서울특별시, 2010년도에는 충청남도로 나타났다. 65세 여자의 지역별 건강비율은 2005년도 서울특별시, 2010년도 충청남도가 가장 높았다. 상관분석 결과 65세의 건강수명은 기대여명과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과 평균기온, 인구천명당 병상수, 악성신생물 및 순환기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은 지역일수록 건강수명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산출 및 비교는 그 지역의 보건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각 지역 사정에 맞춘 건강증진 목표설정 및 관련 정책마련의 지표로서 이용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며, 이러한 지역별 기대수명 및 건강수명의 지역별 형평성 연구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산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gender-based Life Expectancy and Disability Free Life Expectancy of 65-year-olds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s of 16 in Korea based on the years 2005 and 2010 by using the Sullivan method. We used the Census in 2005, 2010,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10% sample). We also reviewed examining the changes in LE and DFLE and understand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DFLE of 65-year-olds of the year 2010 and related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LE of the group of all 65-year-old in Korea increased from 18.15 years in 2005 to 19.75 years in 2010 and DFLE increased from 11.41 years in 2005 to 11.64 years in 2010. Regionally, the highest LE for total of 65-year-olds was found to be the entire Jeju area and DFLE was the highest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highest LE and the highest DFLE for 65-year-old male were found to be in the city of Seoul. Regarding the regional LE of 65-year-old female, both in 2005 and 2010 Jeju area was seen to be the highest.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FLE of 65-year-olds in 2010 was found to be increasing with high 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and in regions with low average temperatures, low number of beds and low age standardized death rates of malignant neoplasms and circulatory disease.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김경한 ( Kyong Hahn Kim ),현경희 ( Kyung Hee Hyun ),한소현 ( So Hyun Han ),최수정 ( Soo Jeong Choi ),장명희 ( Myung Hee J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5 외국어교육연구 Vol.29 No.2

        지금까지 우리나라 특성화고의 직업영어 교육은 영어 교수·학습 원리에 대한 고려 없이 전문교과 내용만을 일대일 번역 식으로 가르치는 수업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특성화고의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1학년 기초영어부터 3학년 직업영어까지 위계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보통 영어 교과와 전문교과가 이원화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특히, 기초영어 과정은 일반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과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요구, 수준, 진학 등 특성화고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제 일반계고와 차별화되고, 영어 교수·학습 원리에 기반하며, 직업 상황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배양에 초점을 둔 직업영어 교육과정, 교재 및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에 입각하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은 향후 직업영어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특수목적영어교수법(ESP), 내용중심교수법(CBI), 의사소통중심교수법(CLT)에서 직업영어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찾고, 직업영어 교육과정의 방향과 직업영어 교수·학습의 원칙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해 전문가의 타당도 검사를 받아 모형을 수정하였다.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의 현장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인천광역시 소재 특성화고 1학년 30명을 대상으로 4차시의 시험 수업(pilot study)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관찰지 및 학생사후반응지를 분석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완성하였다.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has so far focused on improving English instruction in academic high schools, while ignoring the particular language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ew vocational high schools use texts specifically designed for vocational students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needs. Instead texts are used which focus on translation and vocabulary improvement, which do not enhance communicative skills are used.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new texts be developed, which focus on the particular communicative skills needed to prepare students for careers in various trades. With this unmet need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vocational English in Korean EFL contexts. Ideally, vocational English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Drawing from these three approaches, a voc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 was proposed and trialled in classroom settings. Both teachers and students found the instructional model more effective than the current mod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could be effective in training teachers to teach EFL in vocational schools, and thus result in an increase in instruction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students in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 우리 나라 5대 사망원인의 사망구조에 관한 연구

        한소현,이시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서울大學校 保健環境硏究所論叢 Vol.11 No.1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tial death rates of 5 leading causes of death. In this, therefore, analysis is made of age and regional differences in mortality rates by causes of death.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derived from the official mortality statistics of Korea from 1980 through 1999.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variation in mortality rates of 5 leading causes of death by region, sex, age and year observed. Death rates caused by circulatory disease and neoplasm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high, while mortality by digestive system stay almost same level and relatively low.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in mortality of 5 leading causes of death from neoplasm and circulatory system were higher in Jeonam and Kyungbuk and lower in city areas.

      • 우리나라 사망구조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소현,이시백 서울大學校 保健大學院 2001 보건학논집 Vol.38 No.1

        It is recognized that decreased mortality increasing the length of human life has been the major factor in acceleration of population increase. Therefore, death remains a subject of deep concern not only to the person but also government at all levels.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death rates of region which persist the general reduction in mortality.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of trend in differential mortality by region were derived from the official mortality statistic of Korea from 1980 to 1999. Mortality differentials were calculated for male and female by geographic region using age-adjusted death rates. It is apparent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ge-adjusted death rates by region. Mortality was higher in Jeonam and Kyungbuk provinces for each sex than kyung-gi province and city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