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지원기준 예측요인 탐색

        한성훈,심다빈,조영희,김동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4 장애와 고용 Vol.34 No.1

        Objectives: With the abolition of Grade of Disabilities, all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been classified as ‘severely disabled,’ but we want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bilities by disability grade to see if they are not all the same, and analyze the effects of ability deficits (employment, caregiver burden, caregiver life satisfaction)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ocial service support needs bas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Metho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key variables using 2,942 responses with an existing disabilit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KEAD EDI's 「2022 Survey on the Work &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terns by group. Results: The more severe the disability, the lower the levels of ADL, IADL, cognition, communication, employment, caregiver burden, and caregiver life satisfac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ability on employment, caregiver burden, and caregiver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ecaus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hibit varying degrees of disability and have different support needs, their functional limitations and social service need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to ensure that the right services are provided to those who need them. 연구목적: 장애등급제가 폐지됨에 따라 모든 발달장애인이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로 분류되게 되어 본 연구에서는 장애등급별 능력 차이를 분석하여 장애정도가 모두 같지 않음을 확인하고 능력 결함으로 인한 영향(취업 여부, 보호자 돌봄 부담, 보호자 삶의 만족)을 분석하여 장애 정도에 따라 복지서비스 지원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2022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기존 장애등급을 보유한 2,942건의 응답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차이 검증을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집단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가 심할수록 일상생활능력,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인지능력, 의사소통능력, 취업여부, 돌봄부담,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능력 수준이 취업 여부, 보호자 돌봄 부담, 보호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발달장애인은 다양한 장애 정도를 나타내며 그에 따라 지원 요구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능 제한과 복지서비스 필요도를 면밀히 조사하여 필요한 사람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지원하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차의 기술단계에 따른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 한국형사법학회 2020 刑事法硏究 Vol.32 No.3

        So far, the actors of driving have been identified to identify the subject of criminal responsibility due to an accident while driving an autonomous vehicle. In addition, the subject of criminal responsibility was reviewed for each technology level of autonomous vehicles. At present,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of autonomous vehicles is not autonomous driving, but a driver assistance system. Therefore, the subject of criminal responsibility can be clarified through the existing driver-centered liability law.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the current liability law as it is in the case of an accident during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such as Level 4. There have been no reports that an accident occurred while driving an autonomous vehicle in Korea. However, in the United States, there have been several accidents due to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mong them are deaths. If the autonomous vehicle is commercializ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it is obvious that the above accident will occur. The accidents require a new legal paradigm that is different from existing car accidents. This is because a complete autonomous vehicle may cause an accident due to errors such as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r an unclear cause of the accident. Accordingly, the problem of criminal liability related to autonomous vehicles needs to be fundamentally changed beyond the simple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legal system.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difficult to predict legal discussions related to autonomous vehicles. However,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era of an autonomous vehicle in the future, a drastic change to the legislative system centered on 'human' is required, and such a change requires the transition of the legal paradigm that includes the 'human' centered legal syste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omething to do.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such discussion. 자율주행차 운행 중 사고 발생에 따른 형사책임귀속의 주체를 규명하기 위해 운행․운전의 행위자를 특정한 다음 자율주행차의 기술단계별로 형사책임귀속의 주체를 검토하였다. 엄밀히 말하면 현재 자율주행차의 자율주행기술은 자율주행이라기 보다는 운전자 지원시스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운전자 중심의 책임법제를 통해서 형사책임 귀속의 주체를 명확히 할 수 있다. 그러나 레벨4단계와 같이 완전한 자율주행차의 운행 중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책임귀속의 주체를 명확히 함에 있어 현행 책임법제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에서 아직까지 자율주행차 운행 중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보도는 없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자율주행차의 운행으로 인한 사고가 여럿 발생한 바 있고, 그 중에는 사망사고도 포함되어 있다. 지금처럼 자율주행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여 자율주행차가 상용화 된다면 위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것은 자명한 일이며, 그러한 사고들은 기존의 자동차 사고와는 다른 새로운 법적패러다임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완전한 자율주행차는 핵심적인 기술인 자율주행시스템이나 인공지능의 오류 등과 같은 원인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고 사고원인이 불분명한 경우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현시점에서 자율주행차와 관련된 형사책임의 문제는 기존의 법체계를 단순 재구성하는 수준을 넘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한편 인공지능(AI)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자율주행차와 관련된 법적논의 또한 예측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향후 자율주행차 시대의 안정적 운용을 위

      • KCI등재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에 관한 소고

        한성훈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4

        We have reviewed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seizure and search of digital evidence that have been revealed through object determination so far. (the question of the objectivity of seizure search, the requirements of seizure search and scope of execution. problems with the method, the time of termination of seizure and search, the right of participation of the suspects) This problem is not new but it is a problem that has been discussed in academia early on. The key to such discussion is the legitimacy of digital seizure, resulting in the restriction and control of seizure of digital evidence. It is believed that the target decision provides a reasonable basis for these areas. In particular, when the search for digital evidence increases, the storage medium itself is taken out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investigating agency office in the form of hard copy or imaging, and ensuring the right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the information retrieval search process is a reasonable interpretation Respectiv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tive truth discovery and due process principles) This is because the Criminal Procedure Law has various procedural restrictions, in particular,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execution of a search warrant. On the other hand, the conflict and harmonious interpretation of the factual discovery and the due process principle which can be called the purpose or ideology pursued by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not limited to the digital evidence, but the procedure for preparing the criminal procedure and interpreting the criminal procedure law Right legitimacy is as important as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In order to establish these values,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digital evidence as a subject of seizure and search, as discussed in the main text. In order to protect the confidentiality of privacy,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privacy, which can occur through the seizure and search of digital evidence, It is not enough to effectively prevent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he legal nature of the process of retrieving, outputting and copy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investigation agency. However, such legislation should be more detailed and elaborate, reflect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대상결정을 통해 드러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과 관련한 몇 가지 쟁점, 즉 압수수색의 대상성 문제, 압수수색의 요건과 집행범위․방식에 관한 문제, 압수․수색의 종료시점과 피압수자의 참여권 문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핵심은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적법성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제한과 통제로 귀결된다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 형사소송법이 특히나 압수·수색영장의 집행과 관련하여 당사자의 참여권 등 각종 절차적 제한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저장매체 자체를 직접 또는 하드카피나 이미징 형태로 수사기관 사무실 등 외부로 반출하고 이후 정보검색과정에 피압수자의 참여권을 보장하는 것은 우리 형사소송법이 추구하는 목적 내지 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실체적 진실발견과 적법절차원칙과의 관계에 대한 나름의 합리적인 해석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한편 형사소송법이 추구하는 목적 내지 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실체적 진실발견과 적법절차원칙의 갈등과 조화로운 해석은 비단 디지털 증거에서만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지만, 형사절차를 마련하고 형사소송법을 해석함에 있어 절차적 정당성이 실체적진실의 발견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증거를 압수․수색의 대상으로 입법화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예외적인 상황에 해당하여 정보저장매체를 압수․수색하고 난 이후의 수사기관의 정보탐색행위에 단순히 당사자의 참여권을 보장하는 것만으로는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의 비밀의 자유, 정보의 자기결정권, 재산권 등의 침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수사기관의 관련 정보검색과 출력 및 복사라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대해 입법적인 해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만 그러한 입법은 디지털 증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현재의 기술상황을 충분히 고려하는 등 세밀하고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Design of robust controller of a watertight damper driving system for offshore rigs

        한성훈,장지성 대한기계학회 2018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2 No.8

        Semi-submersible drilling rigs are offshore plants that perform function such as ocean exploration for oil and gas acquisition, drilling and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of crude oil and gas. Semi-submersible drilling rigs use watertight dampers as emergency buoyancy holders. Since the watertight damper is an emergency shutoff device, it is mainly driven by a pneumatic driving system that can operate without power supply. Pneumatic driving system has highly non-linear characteristics due to compressibility of air and external disturbance such as static and coulomb friction. In this paper, a new control algorithm is proposed for the watertight damper driving system based on the sliding mode control. To evaluate control performance and robust stability of the designed controller, the contro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using the state feedback controlle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ack & pinon type of pneumatic driving system for driving the watertight damper using the sliding mode controller that can obtain excellent control performance against the parameter changes and the disturb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