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등 비교구문상에서의 서술어 제약 : 한국어 ‘만큼’과 일본어 ‘ほどㆍぐらい’의 대조를 중심으로

        韓相龍(Han Sang-yong) 한국일본문화학회 2001 日本文化學報 Vol.10 No.-

        비교구문상에서 한국어의 ‘만큼’은 일본어의 ‘ほどㆍぐらい’와 대응된다. 이 비교소들은 동등 비교구문을 만들 수 있는데, 이는 비교대상과 비교기준이 하나의 명제이고 그 서술어는 정도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성립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ほどㆍぐらい’가 비교구문에서 서술어가 긍정인 경우와 부정인 경우 각기 상보적 분포임을 보이고, 문장서술어의 긍정과 부정이 내포문 서술어의 긍정과 부정에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 정도성을 띠고 있는 품사인, 형용사, 동사, 명사가 어떠한 의미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정도성을 갖게하는 기준은 무엇인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도성의 유무는 서술어의 의미자체에서 어떤 폭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동사의 경우처럼 정도성을 인정하기는 어려워도 비교기준과 비교 대상이 양이나 수에 의하여 계량화가 가능하면 차등 비교구문에서는 성립되지 않는 서술어라도 동등 비교구문에서는 서술어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In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Korean '만큼' is equivalent of Japanese 'hodoㆍgurai'. These comparativizers can create comparative construction of equality only when compared term and normal term are one proposition and the predicates have kind of degreement. This thesis deals with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omparativizers of '만큼' and 'hodoㆍgurai' respectively shows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case that the predicates are either affirmative or negative. It also treats the interrelation when the positive and negative of sentence predicates are those of embedded sentence predicates. And it signifies what specific meaning and what the basis for degreement are in the degree-related part of speech such as adjectives, verbs and nouns. It also explains comparative construction of equality is possible even if comparative construction of inequality is not possible in the cases that the degreement has certain variations in the meaning of predicates as well as that normal term and compared term can be measured by quantity and numbers though degreement is harldly recognizable like verbs.

      • Track 4 : 컴퓨터과학; 이차원 QR Code의 디코딩 알고리즘

        박광욱 ( Kwang Wook Park ),한상룡 ( Sang Yong Han ),장보현 ( Bo Hyun Jang ),이종연 ( Jong Y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2차원 QR code의 인코딩에 따른 디코딩 과정을 소개한다. 2차원 바코드인 QR Code는 기존 1차원 바코드의 용량, 크기, 방향에 대한 한계를 개선하여 개발되었다. QR Code는 모드와 버전에 따라 다른 인코딩 방법을 지원한다. 인코딩의 방법과 순서에 따른 디코딩을 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QR Code의 디코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문서화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디코딩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인 처리 절차를 소개하고 예를 통해 디코딩 과정을 상세히 이해시키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