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와 연계한 어린이 공연예술 프로그램 사례연구 -서울소재 국립기관 세 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빛 한국박물관학회 2020 博物館學報 Vol.- No.38

        Museums serve as a sociocultural space and educational institution to the public with the functions of collecting, researching, preservation and displaying. These roles of museums have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public to appreciate performing arts through tangible records and exhibitions as performing arts is momentary and intangible. Although performing arts sector accounts for 30% of the nation'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Korea, it is hard to find the exhibition halls which hold collection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ccordingl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doing best themselves to establish museums specializing in performing arts. Moreover, current museums also have more exhibitions regarding performing arts sector. The performing arts exhibitions require a detailed exhibition scenario and various exhibition techniques to display intangible themes. The visible exhibitions of performing arts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 linked programs can help the public to understand easily and enjoy exhibitions. In response,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ing arts exhibitions through three cases of the Seoul-based national museum centers and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the use cases of the children's linked programs. This analysis is crucia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performing arts exhibitions and the linked programs. Therefore, this case study will explore effective ways to hold exhibitions and education programs of performing arts. 박물관은 수집, 연구, 보존, 전시의 기능을 통해 대중에게 사회, 문화적 공간이자 교육기관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박물관의 역할은 공연예술 분야에서 더욱 중요해졌다. 공연예술은 공연과 동시에 사라져 버리는 ‘시간적․무형적’ 특성으로 인해 기록, 보존, 전시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대중들에게 공연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공연예술분야는 국가무형문화재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 있지만, 그 수에 비해 전시관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에 속한다. 이에 국가와 지자체에서는 공연예술 전문박물관을 설립하고 있으며, 기존 박물관에서도 공연예술분야의 전시 비중을 늘리고 있다. 공연예술전시는 무형의 주제를 전시하기 위해 면밀한 전시시나리오와 다양한 전시기법이 요구된다. 또한 공연예술전시는 연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무형의 한계를 보완하고 전시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서울 소재 국립기관 세 개의 사례를 통해 공연예술전시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연계한 어린이 공연예술 프로그램 활용사례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 사례분석은 공연예술전시 및 연계프로그램의 특징과 구성요소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사례연구를 통해 공연예술전시와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배양기법을 활용한 제주도내 내산 및 호염성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분석

        한빛,김민지,류다정,이기은,이병희,이은영,박수제,Han, Bit,Kim, Minji,Ryu, Dajung,Lee, Ki-Eun,Lee, Byoung-Hee,Lee, Eun-Young,Park, Soo-Je 한국미생물학회 2019 미생물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의 토양 및 해양 환경으로부터 약 70주의 미생물들을 분리하였으며, 16S ribosomal RNA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최종 21종의 미생물을 발굴하였다. 이들 미생물들은 5 강(Class) 16 속(Genus)에 속하며, 모두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미생물의 기질 특이성 및 고분자 물질 분해능을 바탕으로 내산성과 호염성 미생물들의 생리활성 표현형은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미생물 자원활용에 기초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solated about 70 bacterial strains from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in Jeju island, and finally, total 21 strains were obtained based on the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se isolated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16 genera of 5 classes and were identified as an unrecorded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ubstrate utilization and capability for polymer degradation, the physiological phenotypes for acid resistance and halophilic bacteria were observed to be distinct from each other, except for some acid resistance strains. This study might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utilization for indigenous microorganisms.

      • KCI등재

        문화매개공간으로서의 호텔아트레지던시의 특징 및 방향성

        한빛나 ( Han Bitna ),김선영 ( Kim Sun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6 No.-

        예술가들의 작품 활동을 돕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최근 호텔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호텔아트레지던시의 특성을 분석하고, 문화매개공간으로서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호텔아트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탐색적인 연구로서 심층인터뷰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인터뷰 대상은 ‘창녕호텔아트레지던시’와 ‘스와치아트피스호텔’의 CEO 및 입주 작가 등 12명이다. 연구결과, 호텔아트레지던시의 특성은 작업공간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비일상의 경험은 작가에게 긍정적 감정전달을 유도하며, 호텔은 공간의 의미가 확장되며 지역사회와의 다양한 소통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향후 호텔아트레지던시는 자유로운 창조의 장으로서 역할 수행, 홍보와 공간배치의 문제점 해결, 밀도 있는 작업을 위한 공간 확보 방법 강구, 작가들에게 판매 및 홍보의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호텔아트레지던시가 문화매개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확대하는 실무적·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A residency program that helps artists work is recently expanded to hotel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the hotel art residency program should aim fo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hotel art residency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as a cultural mediating space. As an exploratory study, an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was used, and the interview subjects were 12 people including the CEOs of 'Changnyeong Hotel Art Residency' and 'Swatch Art Peace Hotel' and resident artis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tel art residency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work space, the non-daily experience induces positive emotional delivery to the artist, and the hotel expands the meaning of the space and implies the possibility of various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it was analyzed that Hotel Art Residency needs to play its role as a place of free creation, solve problems in publicity and space arrangement, find a way to secure space for dense work,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ales and publicity to artis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park a practical and academic discussion on expanding the function of hotel art residency as a cultural mediation space.

      • KCI등재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인식 지형 도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 인식 비교

        한빛나라(Beetsnara Han),김혜정(Hyejung Kim),김영욱(Yungwook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이 연구는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은 높은 데 반해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 수준은 미흡하다는 평가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식과 행동 간의 불일치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기존 위험 인식과 해석수준이론을 참조하였고,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지형을 도출하였다.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지형을 비교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공중의 행동 의도 및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에서 두드러진 차이는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위험 인식, 대응 행동의 개인적 역량 평가, 정책 이해의 과정 등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일반인과 전문가의 공통적인 부분도 관찰되었는데, 그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반인과 전문가를 막론하고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체감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과 정책지지를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에너지 정책의 관계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알리고, 심리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 밖에도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 커뮤니케이션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단서를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that although the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s at its highest in the Korean society, its responsive practices or ac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estimated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is inconsistency between perceptions and behavior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pplied risk perception and construal level theory as the frameworks to investigate paradoxical incompatibility about climate change. Specifically, we explored socio-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Koreans’ decision-making processes associated with major energy issues through developing the perceptual maps of laypeople and experts. As a result, several noticeable differences have been captured in following areas: knowledge about the concept and causes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s, roles of individual people for adapt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upporting the policy. Meanwhile, laypeople and experts have also a consensus on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climate change. In the conclusion, we try to enric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climate-responsive behavioral intentions and support for low-carbon energy policy from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provide various socio-cultur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s.

      • KCI등재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과 사회불안의 관계: 타인기준-자기 효능감 불일치의 매개효과

        한빛,박기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타인의 기준과 자기 효능감 간의 불일치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은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평가절하’로 나눌 수 있다. 타인의 기준과 자기 효능감의 불일치가 두 해석편향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밝히기 위해, 대학생 5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SIAS),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척도(IPES), 긍정적 사건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DPES), 타인기준-사회적 자기 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타인기준-자기 효능감 불일치가 두 해석편향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모두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정보 처리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social events and social anxiety, and to examine how the discrepancies of others’ standards and self-efficacy mediated those factors. The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social events has been studied in two factors, which are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discounting of positive event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screpancies between others’ standards and self-efficacy, 584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cale(IPES), Discounting of Positive Events Scale(DPES), Others Standards-Self Efficacy Questionnaire.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discrepancies between others’ standards and self-efficacy. Results have shown that two interpretation biases of positive social events and social anxiety had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discrepancies of others’ standards and self-efficacy. With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social events and social anxiety was discussed in terms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end,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