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통영에서의 일본인 나전칠기 산업의 침투

        하훈 ( Ha Hoo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2

        나전칠기 기법은 예로부터 중국에서 조선,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칠공예 기법 중 하나였다. 중국에서는 조금, 일본에서는 시회가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나전칠기가 가장 보편적으로 발달하였다. 일본은 칠의 나라라고 할 정도로 칠 문화가 발달하였지만 나전칠기는 예외였다. 전통적인 조선의 공예 문화는 일본인의 필요에 따라 자주 왜곡되었다. 일본식 기술에 의해서 많은 변화와 왜곡을 감당하여야 했다. 그리고 그런 영향은 해방 이후까지 이어졌다. 우리 전통기법은 물론이고, 전통적인 일본식 기법도 변화를 맞이하여 독특한 통영지역의 나전칠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역사성에 대해서 검토하고 그 왜곡과 변화와 계승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없었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역사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종교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 하였다. 종교적인 관찰로서 사진자료에 기반을 두고 문양의 상징성이나 형태, 제작기법, 시문기법 등 의장에 관한 설명으로 집중하여 구성되었다. 식민지시기 및 사회상황으로 이어지는 근대 통영지역 나전칠기산업의 실상과 제한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나전칠기의 근대적 궤적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식민지시기 통영나전칠기 산업이 공업전습소를 시작으로 조선총독부의 연결고리에 의한 형성과 은사수산 산업으로 이어지는 일본인들의 나전칠기 산업의 형성과정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1)전통적인 관주도에 의하여 통영지역 나전칠기 업은 성장해왔다. (2)이주 일본인의 상업 자본에 종속되어 갔다. (3)통치구조의 강화를 위한 수단의 회유성 정책 이었다. (4)나전칠기 연구회를 창립하고 통영칠공조합에 가입하여 활동을 하였다. 이상과 같이 모든 쟁점은 일본인이 중심이 되었으며 해방이 될 때 까지 유지 되었다. 요컨대, 일본인 자본가들 눈에는 자신들의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서 식민지시기 조선은 기회의 땅이 되었다. 조선에 개척지의 이권을 노리고 이주한 일본인들은 표면적으로는 국가를 강조하였다. 내면에는 자신의 이익을 늘리는데 모든면에서 우선이 되었다. 개인 사업이 총독부라는 권력의 연결고리 아래서 국가적 사업이 포장되어 덧씌워져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전형적인 식민사업 이었다. Najeon chi-gi was one of the techniques that was introduced to Japan from China to Joseon. In China, Chogum was Makie in Japan, and in Korea, Najeon chi-gi was the most common. Japan has developed a culture of painting to the extent that it is a country of lacquer, but it was an exception to Najeon chi-gi. Traditional Joseon’s craft culture was often distorted by the needs of the Japanese. The Japanese style of technology required many changes and distortions. And that effect continued until after liberation. Traditional Japanese techniques,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techniques, have developed a unique Tongyeong Najeon chi-gi. There was no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distortion, changes and succession of historical facts. It focused on the history that led to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Based on the photographs as a religious observation, it was organized by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the chair, such as symbolism, form, production technique, and test methods. It dealt with the reality of the Najeon Chilgi industry in Tongyeong, the area leading to the colonial period and social. This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the modern trajectory of Najeon Chilgi.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ngyeong Najeon Chilgi industry was aimed at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Najeon Chilgi industry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link with the Eunsha Susan industry. Through this study (1)Traditional government initiatives have led to the growth of the Tongyeong region’s Najeon Chilgi. (2)It has been subjected to commercial capital of the Japanese immigrants. (3)It was a conciliatory policy of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4)The founded Najon Chilgi Research Institute and joined the Tongyeong Chil Gong Guild to work. As above, all the issues were centered on the Japanese and maintained until liberation. Therefore, in the eyes of Japanese capitalists,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me a land of opportunity as a means of their success. In short, in the eyes of Japanese capitalists,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me a land of opportunity as a means of their success. The Japanese who emigrated to Joseon for the right to take advantage of the frontier emphasized the nation on the surface. Inside, it was all about increasing one’s profits. It was a typical colonial project in which a national project was paved and overlaid under the power of the Government-General.

      • KCI등재

        계곡지역의 산소음이온 분포

        김익산(Ik San Kim),이덕안(Duk An Lee),박송인(Song In Park),하훈(Hoon Ha),양수인(Su In Yang)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4

        계곡지역에서 산소음이온 분포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전남소재의 유명계곡 4곳을 선정하였다. 각 지역별 산소음이온의 최대값은 11,190~178,100 ea/mL이고, 평균값은 7,020~14,060 ea/mL으로 나타났다. 하루 중 오전 5시~7시경에 가장 높았고, 오후 12시~14시경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발생원인 폭포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남창과 대흥사지점은 7 m까지, 어치와 수락지점은 하방 50 m까지 그 영향이 미치는 걸 알 수 있었다. 기상조건과 음이온 발생과의 상관계수 산정결과 풍속과 -0.54, 습도와는 0.34를 보였다. 풍속은 장수마을(2011년)과 섬지역(2009년)에서는 음이온 발생과 상관이 없었고, 습도는 섬지역과 유사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바람이 없는 이른 아침에 계곡주변을 산책하는 것만으로도 요즘 유행하는 웰빙생활이라 할수 있겠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ion-distribution of the famous valleys in Jeollanam-do. Sampling sites were the valley region of Eochi, Surak, Daeheungsa and Namchang. The maximum values of the anion level were 11,190~178,100 ea/mL at each site and the highest value was measured at the Surak. The mean values showed 14,060 ea/mL in Surak, 8,590 in Eochi, 8,420 in Daeheungsa and 7,020 in Namchang. For a day, the highest Concentration showed in the 5:00 a.m to 7:00 a.m and the lowest values showed in the 12:00 p.m to 14:00 p.m.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ource, the anion tended to disappear within 7 m in Namchang and Daeheungsa. But, it influenced by 50 m in Eochi and Sura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4 with wind speed, 0.34 with humidity about the formation of an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ind speed in the island and longevity village where we had studied in 2009 and 2011. But there was similar correlation with humidity in the island region. Therefore, we can say that wellbeing life is walking around the valley early in the morning with no wind.

      • KCI등재

        쑥, 칡잎 그리고 다래잎의 채취시기 및 지역별 항산화,Tyrosinase 저해 및 Elastase 저해 활성

        송병준(ByungJun Song),조정용(JeongYong Cho),마승진(SeungJin Ma),박경진(KyungJin Park),박학재(Hag Jae Park),최경철(GyeongCheol Choi),하훈(Hoon Ha),나환식(HwanSik Na) 한국차학회 2017 한국차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채취지역 및 채취시기 별 산채류인 참쑥, 다래잎 그리고 칡잎을 대상으로 유용성분 함량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관매도에서 3월에 채취한 참쑥(MGM-3, 18.59 ± 0.66 mg GAE/g dry wt.), 장성군에서 5월에 채취한 참쑥(MJS-5, 18.70 ± 0.57 mg GAE/g dry wt.), 낭도에서 6월에 채취한 다래잎(BND-6, 18.15 ± 0.89 mg GAE/g dry wt.), 그리고 보성군에 5월에 채취한 다래잎(BBS-5, 17.59 ± 0.80 mg GAE/g dry wt.)에서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낭도지역에서 6월에 채취한 다래잎(BND-6)에서 69.91 ± 0.67 mg CE/g dry wt.로 높았다. 3종의 산채류 중 참쑥과 다래잎은 칡잎에 비해 상 대적으로 높은 DPPH radical-scavenging 및 nitrite scavenging 활성을 나타냈다. 낭도에서 6월(BND-6)와 보 성군에서 5월(BBS-5)에 채취한 다래잎이 다른 시료에 비 해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이 상대적으로우수하였으며, 이는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실험에 사용한 3종의 산채류의 경우 어린잎보다 성 숙한 잎에서 유용성분 함량이 높았고 생리활성 또한 우수 하였다. 그러나 해풍을 받은 섬 지역에서 자란 산채류가 육지에서 자란 산채류 보다 유용성분 함량 및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본 실험으로는 단정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건강에 도움을 주는 다래잎, 참쑥, 칡잎 등의 산채류를 이용하여 대용차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antioxidative, tyrosinase inhibitory,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ree alternative tea leaf materials (mugwort, bower actinidia, and arrowroot) as a function of the harvest time and regi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in the islands and lands of Jeollanamdo. Bower actinidia leaf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lthough they varied slightly with the harvest time and region. Bower actinidia showed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samples in the in vitro assay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nitrite radicals. In addition, bower actinidia was more effective at inhibiting tyrosinase and elastase than mugwort and arrowroot.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alternative tea leaf materials were proportionally correlated with their flavonoid contents. The bioactive compound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young leav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in the mature one. However, the bioactive compound content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leaves from the islands and lan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KCI등재

        고체연료 사용시설의 배출가스 특성

        이덕안 ( Duk-an Lee ),양정고 ( Jeong-go Yang ),박보영 ( Bo-young Park ),김환범 ( Hwan-beom Kim ),하훈 ( Hoon Ha ),양수인 ( Soo-in Ya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시설 3기(유연탄, 유연탄과 SRF, 유연탄과 SRF)와 소각시설 2기(SRF, Bio-SRF)를 선정하여 먼지 등 10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방지시설 후단에서 대기오염물질을 실측하여 먼지, SO<sub>x</sub>, NO<sub>x</sub>의 uncontrolled 배출계수를 도출하였다. 배출 평균농도는 먼지 1.54 mg/S㎥ ~ 4.34 mg/S㎥, SO<sub>x</sub>는 불검출 ~ 12.21 ppm, NO<sub>x</sub>는 19.34 ppm ~ 68.89 ppm으로 배출되었고 모두 배출허용기준 이내이었다. 중금속 6종(Cd, Cu, Ni, Pb, Zn, Cr)을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중금속은 유연탄 사용시설에서 Ni 21.2 μg/S㎥로 배출되었다. 그리고 특정대기유해물질인 Cr은 5개 시설에서 1.5 μg/S㎥ ~ 14.0 μg/S㎥으로 비교적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벤젠은 5개 시설 중 Bio-SRF 사용시설에서 11.0 ppb, SRF 사용시설에서는 4.0 ppb로 낮게 나타났다. 고체연료 사용시설의 먼지 배출계수는 12.80 g/kg ∼ 38.12 g/kg, SO<sub>x</sub> 배출계수는 0 g/kg ∼ 5.52 g/kg, NO<sub>x</sub> 배출계수는 0.75 g/kg ∼ 8.54 g/kg으로 나타났다. 실험값은 고시에 의한 산출값 보다 낮게 나타났다. 특히, 먼지 배출계수는 SRF와 Bio-SRF 모두 5.0A와는 다르게 나타났고 NO<sub>x</sub> 배출계수는 연소방법, 연료의 종류(SRF, Bio-SRF)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별도의 배출계수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SO<sub>x</sub> 배출계수는 반드시 방지시설 전단측정을 하여 배출계수 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10 items including particulate matter, among three thermal power generators (bituminous coal, bituminous coal and Bio-SRF, bituminous coal and Bio-SRF) and two incineration facilities (SRF, Bio-SRF) using solid fuel. The uncontrolled emission factors of particulate matter, SO<sub>x</sub>, and NO<sub>x</sub> were obtained by measuring air pollutants at the end of the prevention facility. The average emission concentrations were as low as 1.54 mg/S㎥ ~ 4.34 mg/S㎥ for particulate matters, not detected ~ 12.21 ppm for SOx, and 19.34 ppm ~ 68.89 ppm for NO<sub>x</sub> within all emission limits. Analysis of six heavy metals (Cd, Cu, Ni, Pb, Zn, Cr) reveale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as obtained for Ni 21.2 μg/S㎥ in the bituminous coal facility. The concentration of Cr, a specific air pollutant,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at 1.5 μg/S㎥ ~ 14.0 μg/S㎥ at five facilities. Benzene concentration was lowered to 11.0 ppb in the Bio-SRF facility and to 4.0 ppb in the SRF facility among the five facilities. The emission factors of the solid fuel facilities for particulate matter, SO<sub>x</sub>, and NO<sub>x</sub> were 12.80 g/kg ~ 38.12 g/kg, 0 g/kg ~ 5.52 g/kg, and 0.75 g/kg ~ 8.54g/kg. The experimental value was lower than the calculated value. Especially, the particulate matter emission factor was different from 5.0A for both SRF and Bio-SRF, and the NO<sub>x</sub> emission factor seems to depend on the combustion method and the type of fuel used (SRF, Bio-SRF). The SO<sub>x</sub> emission factor must be estimated by measuring the shear of the prevention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전남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차들의 항산화, α-Glucosidase 저해 및 항염증 활성

        김진영(Jin Young Kim),조정용(Jeong-Yong Cho),박경진(Kyung Jin Park),박숙(Sook Park),문희(Hee Moon),안양준(Yang Joon An),하훈(Hoon Ha),양수인(Soo In Yang),마승진(Seung Jin Ma),나환식(Hwan Sik Na) 한국차학회 2016 한국차학회지 Vol.22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antioxidative, α-glucosidase inhibitory,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five teas [Boseong green tea (BG), Damyang Jukro tea (DJ), Gurye yellow tea (GY), Boseong black tea (BB), and Jangheung Chungtaejeon tea (JC)] produced in Jeollanamdo. BG and JC showed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the other tea samples in the in vitro assay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nitrite radicals. In addition, BG and JC were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α-glucosidase than GY and BB. DJ, having low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hig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hich was similar to those of BG and JC. All of the tea samples had weak cytotoxicities on macrophage RAW 264.7 cells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ey also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via th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nitrite 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lthough their activities were slightly differ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a manufacturing method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ea cul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tea samples.

      • KCI등재

        전남지역「가고 싶은 섬」의 건강치유물질 특성

        강광성 ( Gwang-seong Gang ),김행범 ( Haeng-beom Kim ),박현수 ( Hyun-soo Park ),김계홍 ( Kye-hong Kim ),김환범 ( Hwan-beom Kim ),하훈 ( Hoon Ha ),양수인 ( Soo-in Ya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전라남도가 2016년도에 선정된 전남지역「가고 싶은 섬」에 대한 섬 공기질의 건강치유물질인 테르펜 분포량과 음이온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가고 싶은 섬의 침엽수림과 상록활엽수림에서 이루어졌으며 2016년 5월 ~ 9월 중 수행하였다. 테르펜 분포량 조사결과 침엽수림인 진도 관매도가 1,200 pptv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종별 테르펜류의 분포량은 침엽수림에서는 고흥 연홍도(1,181 pptv), 여수 낭도(1,150 pptv), 신안 반월도(1,029 pptv)순으로 타났으며, 상록활엽수림에서는 완도 소안도(851 pptv), 강진 가우도(748 pptv), 신안 박지도(627 pptv)순으로 나타났다. 테르펜류 성분별로는 침엽수림에서는 주로 α-pinene과 β-pinene이 검출되었으며, 상록활엽수림에서는 α-pinene과 δ-limonene, sabinene이 많이 검출되었다. 음 이온은 강진 가우도에서 최대값인 1,350 ea/cc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지점의 농도는 346 ea/cc∼ 828 ea/cc 범위로 측정되어 2015년에 조사된 도시공원(순천 장대공원)의 음이온 평균값 88 ea/cc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건강에 유해한 물질인 총부유세균과 PM-10은 자연수준 상태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전라남도「가고 싶은 섬」의 대기환경은 매우 안전하고 건강치유물질이 풍부한 환경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ot only on the health healing material but also on the amount of terpene distribution to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Jeollanam-do.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coniferous forest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hich is stand of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Jeollanam-do visited frequently from May to September 2016. As a result, the amount of terpene distribution was 1,200 pptv(mean value) in the coniferous forests of Gwanmaedo, the forests of Yeonhongdo (1,181 pptv), Nangdo(1,150 pptv), Banwoldo(1,029 pptv), Soando(851 pptv), Gaudo(748 pptv), Bakjido(627 pptv). A large amount of α-pinene and β-pinene was mainly detected in the coniferous forests, while the amount of α-pinene and δ-limonene and sabinene took up a large share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n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The maximum value of anions was measured as 1,350 ea/cc in Gaudo. The mean value at all research sites was ranged from 346 ea/cc to 828 ea/cc. These were much higher than the average anion value of 88 ea/cc in the city park(Jang-Dae Park). Total airborne bacteria counts and PM-10 content being classed as a hamful influence material on the health were natural state level.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ambient air characteristics of「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in Jeollanam-do was estimated to very safe and pleasant environment.

      • KCI등재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 중 게르마늄(Ge) 분포 특성

        김경수 ( Gyeong-soo Kim ),배주순 ( Ju-soon Bae ),송승리 ( Seung-ri Song ),윤설희 ( Seol-hee Yun ),박귀환 ( Gui-hwan Park ),하훈 ( Hoon Ha ),양수인 ( Soo-in Ya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 중 게르마늄 분포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지리산 구례지역 지하수에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다는 보고에 의해 구례지역 토양과 농산물의 게르마늄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토양 중에 중금속이 일정량 존재하므로 게르마늄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토양오염실태조사지침에 근거하여 지목별 항목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구례지역 토양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에서 게르마늄 함량은 1.032 ∼ 1.979 ㎎/kg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게르마늄 성분은 0.943 ∼ 19.518 ㎍/kg으로 분석되었으며, 쑥부쟁이 나물과 쌀에서 과일류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토양오염실태조사 지침의 지목별 항목 분석결과 Cd, Cr<sup>6+</sup>, Hg, CN, 유기인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pH의 평균이 5.9, Cu, Pb, Zn, Ni, As는 각각의 평균이 19.3, 14.3, 66.1, 19.7, 5.44 ㎎/kg 이었다. 결과적으로 Ni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전국 평균농도 이하로 나타나 지리산 토양은 오염되지 않은 청정한 토양으로 평가된다. 토양 중 게르마늄과 유해중금속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e distribution in Jirisan Gurye area. Content of Ge in the soil and crops was analyzed since several previous reports said that Ge was contained in the ground water from the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s and G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Ge, simultaneously. The analysis was based on Soil Contamination Actual Condition Survey Guideline. The content of Ge in Jirisan Gurye soil was 1.032∼1.979 mg/kg. The Ge content in crops was verified to 0.943∼19.518 ㎍/kg. It was shown that higher concentration was obtained in aster and rice than in frui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il samples, Hg, Cd, Cr<sup>6+</sup>, CN, organic phosphorus were not detected and each average concentration of Cu, Pb, Zn, Ni, and As was 19.3, 14.3, 66.1, 19.7, 7.45 mg/kg. The results showed that heavy metal contents are much less than the national average concentration except Ni showing the soil of Jirisan is not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It is shown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Ge and harmful heavy metal.

      • KCI등재

        청각장애 학생의 工藝學習指導를 通한 表現力 伸長에 대한 연구 : 再活用 材料를 中心으로

        河壎 한국공예학회 2001 조형디자인연구 Vol.4 No.1

        Impair school middle and high student, judging from growing steps, are apt to be deprived of confidence of expression and learning desire because expression doesn't go well, through power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makes progress. I tried to make students develop there interest in art learning. through the practice of Craft art using the special material at hand centering the subject of case study in order to grope for a device for having a confidence of expression and extension of expressive abilities. The result is as follows making go beyond, fixed materials and applying expression through all over the field of text book, confidence of expression and interest became to grow higher and learning motivation was allured and imaginative expressing ability soon become to grow higher and it kept on original expression. Trough having to experience which make a can parative appreciation his work with other the appreciation abilith was promoted, of student become more interested in art lesson.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직업교육으로서 공예교육에 관한 연구

        하훈 한국공예학회 2000 조형디자인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 교육에 있어서 공예교육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수업방법 개선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대구, 경북의 청각장애 영역이 있는 학교의 교육계획서 및 교사 등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 분석 및 현장 경험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예교육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전공 지도교사가 없어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둘째, 교재 교구 등 기자재가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셋째, 장애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환경이다. 넷째,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전문대학 수준의 교육과정 등 제반 시설 및 환경이 갖추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