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경 및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영아 모니터링 매트리스 개발

        최화진(Hwajin Choi),박수지(Sooji Park),신항식(Hangsik Shin) 대한전기학회 2014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14 No.1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unconstrained sensing platform for infants, including biomechanical signal and environment. For biomechanical signal measurement, we optimally place four bar type pressure sensors, FSR-408, on an infant mattress by considering anthropometric dimension of infants. A single temperature/humidity sensor, SHT71, is also placed beside the mattress to measure the environment. The developed system showed acceptable results from the test based on the infant phantom model as well as the commercialized device.

      • KCI등재후보

        자기결정력 증진 모델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일반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최화진,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2

        자기결정력은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성취할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하는 능력, 태도, 기술로 삶의 질 향상에 영향 미치는 주요 변인이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력 증진 모델을 적용하여 구안한 미술수업이 일반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A초등학교 6학년의 통합학급 2개 반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는 각각 일반학생이 28명, 정신지체학생이 2명씩 통합되어 있다. 자기결정력은 일반학생의 경우 자기결정력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정신지체학생은 미술활동과 관련된 자기결정기술을 선택하기, 결정하기, 참여하기, 평가하기 영역으로 나누어 각 4가지씩 총 16가지 기술로 분류한 뒤, 수업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미술수업에 적용한 자기결정모델은 자기이해 및 자아존중하기, 계획하기, 행동하기, 성과경험 및 조정하기 4단계이다. 이 모델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교육과정 목표에 따라 제시된 여러 가지 활동 주제와 재료를 학생 스스로 선택한 후, 같은 활동을 선택한 모둠원끼리 공동 작품을 계획하여 실행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하도록 되어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일반학생과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통합학급에서 모든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미술수업이 적용 가능하고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교과수업에 자기결정기술을 삽입하여 교수할 수 있는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Self-determination, a main variable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dicates the ability, attitudes, and skills to set goals and achieve them ba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elf-esteem. This study examined how a self-determination-enhancement-model-oriented art class influences general and disabled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ixth-grade classes at B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One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the control group. Twenty-eight general students and two mentally retarded students participated in each group. The general students'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self-determination, the researcher first categorized their self-determination behavior into four groups: (1) choice-making, (2) decision, (3)participation, and (4) evaluation, and subdivided each group into four skills, for a total of sixteen skills.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how frequently each skill occurred from videotaped classroom observation data. The self-determination model for the art class consists of four steps: (1) know and value yourself, (2) plan, (3) act, and (4) experience outcomes and adjust. The art class based on the four phases allowed students to (1) select several activity topics and materials, which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the art curriculum, and (2) make decisions while doing activities with their peers who selected the same activity.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general and mentally retarded students'self-determination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improved. The result implies that an art class is applicable for integrated classes and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This study provided a self-determination-skill-embedded lesson plan for a general subject area at an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