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르시시즘(narcissism), 영성, 그리고 전도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이 연구는 나르시시즘(Narcissism)으로부터 회복되는 과정과 영적인 성숙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전도임을 탐색하였다. 나르시시즘은 모든 생각과 감정 그리고 욕망이 자신에게 맞추어져 다른 사람들을 보지 못하고 폄하하고 무시하게 만든다. 이러한 사람들은 교회 안의 영적인 생활 속에서도 자신의 욕구에만 초점을 맞추어 하나님과 타인을 바라보지 못하는 비극적인 상황을 낳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회복되는 것은 캐서린 씨에나(Catherine of Siena)가 설명하는 영적인 성숙과 일맥상통한다. 캐서린은 영적으로 성숙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자신에 대한 지식을 깨닫고 하나님께 의지해야 하며 하나님의 끊임없는 사랑이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그 사랑이 이웃에게 향하게 된다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자신을 제대로 인식해야만 하나님의 사랑도 깨달을 수 있고 타인에 대한 연민도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영적 성숙과 나르시시즘으로부터의 회복의 공통점은 자신에 대한 깨달음이다. 인간의 한계성을 깨닫게 되면서 인간은 하나님을 찾고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깨달음으로 이웃에게 사랑을 전하게 되는 데 이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전도이다. 전도란 일회성의 사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고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들이 평생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나르시시즘의 회복과 영적 성숙은 위기의 한국 교회가 생각해야할 근본적인 전도의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ngelism and narcissism. Many people insist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with emergent crisis because of decreasing of congregation numbers. How can Korean Churches over the crisis? In this aspect, this article explored real meaning of evangelism to provide overcome the crisis. Evangelism is a process not an event. In this process, God has to make it come to life, grow and bear spirituality. But the problem is spiritual narcissism which can be described by God’s Words. In other words, individuals worship self and pray for their desires instead of God and others. Narcissistic people look for God who can satisfy their desire in their prayer and worship. In order to come closer to God, the self need to realize its own limitation and reality which is very similar to Catherine of Sinner’s spirituality. According to her, a growing self-knowledge is necessary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alize God’s love. Self-knowledge cannot be separated from knowledge of God and became the basis of spiritual journey, because self-knowledge helped the souls recognize their limitedness and responsibility. Therefore, spiritual growth and recovering from narcissism help people be aware their own reality and God's love. This awareness causes them to have compassion for neighbors. It can be the essential nature of evangelism.

      • KCI등재

        갈색거저리 유충의 대체 비율에 따른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 연구

        최주혜,용해인,구수경,김태경,최윤상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9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5 No.5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with mealworm (Tenebrio molitor L.) according to different replacement ratios. Methods: Seven different groups of patti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ratios (0%, 10%, 20%, 30%, 40%, 50%, and 60%) of mealworm. The patties were analyzed for cooking loss, reduction rate of diameter, pH, color, approximate compositions, shear for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Results: Cooking loss and reduction rate of diameter were significantly reduced depending on the addition level of mealworm (p<0.05). With increasing mealworm content in the patties, pH and fat content were increased but lightness, moisture content, protein content, and shear force were decreased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addition of mealworm as a substitute for meat.

      • KCI등재

        목회 돌봄 속에서의 시기심 - 족장 시대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9

        이 글은 목회 돌봄 속에서의 시기심에 관한 연구이다. 시기심이란 사회적 비교 속에서 내게 중요한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향해서 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관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될 때 그 관계를 지키기 위한 반응으로서의 질투와는 구별된다. 이러한 시기심은 자신이 시기하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것을 가지려는 욕심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욕심이 좌절되었을 때 분노하거나 우울해진다. 성경 속에서도 시기심을 경험하는 많은 인물들은 자신의 시기심으로 인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멀어지곤 한다. 하와, 가인, 에서, 그리고 요셉의 형들은 자신이 가지고 싶은 것을 가진 대상을 향해 시기심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자신이 시기하던 대상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가 멀어졌다. 시기심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를 멀어지게 하고 왜곡이 일어나게 하며 하나님이 주시는 희망과 소망을 가지고 살기보다는 현실에 갇혀서 지내게 된다. 시기심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부족함의 원인을 자신이 시기하는 대상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가짐으로 시기하는 대상과의 관계를 왜곡시킨다. 그래서 시기심을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은 심리학적 건강뿐만 아니라 목회적 돌봄 속에서도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시기심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 글은 세 가지 상담심리학적 접근을 제안한다. 1) 자신의 원초적인 욕망 살펴보기 2) 시기심을 자기 성장의 동기로 여기기 3) 시기하는 대상을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 바라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교회 공동체 안에서 시기심을 위한 효과적인 목회 돌봄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교회는 시기심을 부정하거나 억압하기 보다는 시기심으로부터 시작되는 자신의 욕망과 욕구를 잘 살펴보고 그러한 욕구가 자기 성장과 하나님과의 진정한 만남의 길로 가도록 도와줄 때 타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도 회복이 되어 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envy in pastoral care. Envy is the inferior feeling which is from social comparison. The envier feel they are deficient through comparison. Because this is hard for the envier, the envier tries to keep their dignity by wishing to destroy the inferiority they feel. Therefore, the envier tries to have the possession or success of the envied. When the envier fails to do this, the envier experiences anger or depression. In envy, the envier might think that the cause of their inferiority is the envied, which leads to the distor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er and the envied. In order to overcome envy, I suggest three psychological approaches; 1) examining the desire of the envier 2) regarding the envy as the motivation for one’s development 3) seeing the envied as the one who they are their own identity. These approaches are well understood as to how the church should look for people suffering from envy. In the Bible, many characters who experience envy are estranged from God because of their envy. Eve, Cain, Esau, and Jacob’s brothers show their envy toward the object they want.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God has become estranged. Instead of denying and oppressing envy, the church should help the congregation look at their own unsatisfied desire in envy. Also, the church must help the congregation to make way for self spiritual growth and meeting with God through this process. It is something that can be restored not only in relation to others but also in relation to God so that it can be grown spiritually.

      • KCI등재

        가난한 여성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에 대한 연구 - 막 12:41-44절에 나타난 과부의 이야기 -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이글은 막 12:41-44절에 나타난 ‘두 렙돈을 드린 과부’의 이야기를 통해 가난한 여성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사회 문화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면서 오늘날 한국 교회가 가난한 여성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 필요한 목회적 돌봄을 제안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으로 내담자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내담자들이 자신들이 경험하는 세상을 어떻게 해석하고 인식하는 가에 대한 관심 또한 사회과학적 인식론만큼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내담자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 심리내적인 탐구뿐만 아니라 가난과 같은 사회 문화적인 탐구가 중요한 주제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가난은 우선적으로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가난으로 인해 정신장애와 행동장애가 증가하였다. 또한, 여성들은 여러 가지 사회 구조적 문제로 직업의 불평등을 경험하고 남자보다 더 가난하다. 마가복음 12장 41~44절에 나타난 ‘두 렙돈을 드린 과부’의 내러티브는 성서가 증언하는 초기 기독교 시대의 가난한 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인 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마가복음 12장 41~44절의 내러티브 속에 나타난 가난이라는 것 그리고 과부라는 사실이 주고 있는 심리적 영향과 그 당시 가난한 여성 과부를 향한 사회적 문화적 특성을 탐구하면서 효과적인 목회적 돌봄이 어떻게 이 본문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예수님이 그 당시 공동체 안에서 유효하던 가치체계를 해체하면서 두 렙돈의 과부의 수치심을 만지시고 이해하신 것처럼 이 논문은 한국 교회가 가난한 여성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 그들의 상황을 공감하고 있는 그대로 지지하며 가난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가치의 해체를 위해 목소리를 낼 것을 제안하고 있다.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ntext of the client as well as social epistemology. In other words, pastoral counselors should know how their clients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world around themselves, give meaning to their life events and how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influence them. The problems of clients are related to social structure which is an ongoing process in which the meaning of their life is constructed. Poverty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that each clients authors their own meaning to make sense of their perceived reality. Many Scholars insist that poverty and mental health problems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WHO, poverty increased incidents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fact, 41% poor women in U.S. reports that they are depressed. Even though women's earnings have been increasing, they are still experiencing job segregation by gender. This poverty has negative consequences for mental health. The narrative of a poor widow in Mark 12:41-44 shows psychological status of poor women and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of poverty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astoral care of the poor women through examining the narrative of poor widow in Mark 12:41-44.

      • KCI등재

        치매에 대한 사회구성학적 이해를 근거로 한 효과적인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이 글은 치매라는 실재에 대한 고정관념이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는 입장에서 치 매의 실재에 대해서 탐구하여 치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러한 이해 속에서 기독교 공동체가 어떻게 치매를 이해하고 치매환자를 돌보아야 하는지를 재고찰함으로 치매 환자와 가족들을 위해서 제공할 수 있는 목회적 돌봄을 살피는 것이 그 목적이다. 치 매라는 질병은 뇌의 질환으로 인한 인지적 행동적 감정적 손상과 연관이 있는 질병으 로 심하게 진행되면 기억력이 손실되고 타인에게 온전히 의존해서 살아가기도 한다. 그래서 치매환자들은 인간으로서의 기능이 어렵고 어떻게 자신들의 병이 진행되는지 에 대해서 알 수 없다는 불안감으로 힘들다. 또한, 현대 사회가 치매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부정적 고정관념으로 인해 수치심을 경험하고 스스로 더 고립되어 살아간다.2)그래서 이 연구는 치매의 원인이나 증상의 발전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고 치매 환자 들의 입장에서 치매를 바라보는 사회구성학적 접근을 통해 치매에 대한 실재를 탐구 하였다. 이러한 탐구는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치매를 이해하고 치매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사회 구성학적 입장 에서 치매는 원인도 불분명하며 증상의 호전이나 발전이 다양하다. 정상적 노화와 치 매 구분도 애매하다. 무엇보다, 치매 환자들의 기억력이나 지남력의 결핍은 그들을 결 핍된 존재라고 여기게 만든다. 그러나 치매는 각 개인의 경험과 환경 그리고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무엇보다도, 관계는 치매환자들의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중요 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래서 이 글은 기독교 공동체는 치매 환자 들을 결핍된 존재가 아닌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영혼을 가진 존재로 바라보고 기억하 고 사랑하며 관계를 맺을 때 그들을 더 효과적으로 돌봄임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dementia as a social stereotype,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dementia and to explore how the Christian community understand dementia and provide effective care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ementia is a disease that is linked to cognitive and behavioral damage caused by brain diseases, and when it progresses badly, people may live entirely depend on others. Therefore, dementia patients have difficulty functioning as human beings and are anxious not to know how their disease progress. Also, they experience shame and live more in isolation due to the negative stereotypes that modern society has about dementi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dementia causes and symptom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explored the reality of dementia through a social constructive approach to dementia from the perspective of dementia patients. This exploration giv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to understand dementia and effectively care for dementia patients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From a social constructive perspective, the cause of dementia is unclear and symptoms vary. The distinction between normal aging and dementia is also ambiguous. Above all, the memory or lack of power in dementia patients makes them think they are deficient. However, dementia varies depending on each person's experience,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Above all, relationships have looked a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symptoms in people with dementi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looks at dementia patients not as deficient beings but as beings with souls that God loves, remembers, loves, and takes care of them more effectively.

      • KCI등재

        나르시시즘(Narcissism)과 사회적 관계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social relationship problems of narcissism and to examine how to solve them. Social relations are an important factor in human survival. Due to social relationship, humans have survived and prospered. So alienation from these social relationships or loss of social relationships is painful for humans. Humans strive not to be alien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When alien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the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anterior insula of the human brain are activated. This is where human brain are also activated when they feel physical pain. In other words, human physical pain and mental suffering from social alienation are related to each other. Social pain can be reduced when human physical pain is reduced, and the relief of social pain from social support brings relief of physical pain. It is difficult for narcissists to establish a long-lasting relationship with others because of their excessive thinking about themselves and lack of empathy for others. Also, other people are just tool that makes narcissists feel great. That’s why relationships with others are exploitative in narcissists. Narcissists may seem indifferent to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ir focused attention, but they feel more pain and become most aggressive when they are alien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This shows that narcissists have a greater desire than to be indifferent to social relations. In order help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s among narcissists, this article explores two effective solutions through narratives in the Bible. The first is to meet Jesus sincerely and the other one is to show empathy and understanding toward narcissists through empathetic physical contact. 이 글은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narcissists)이 형성하는 사회적 관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적 관계는 인간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인간들은 생존하고 번성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소외나 사회적 관계의 상실은 인간에게 고통스러운 일이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될 때 인간의 배측 전대상피질(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dACC)과 전측섬엽(anterior insula, AI)은 활성화 된다. 이곳은 인간이 신체적 고통을 느낄 때도 활성화 되는 곳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소외로 인한 정신적 고통은 서로 연관이 있는 것이다. 인간의 신체적 고통이 적을 때 사회적 고통이 적어질 수 있고, 사회적 지지로 인한 사회적 고통의 경감은 신체적 고통의 경감을 가져온다.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은 자신에 대한 과도한 생각과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으로 인해 타인과의 지속적인 관계형성이 어렵다. 또한 타인은 자신이 대단하다고 느끼게 해주는 도구에 불과하다. 그래서 타인과의 관계가 착취적이다. 그런데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은 자신에게 집중된 관심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에 무관심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들은 오히려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될 때 더 많은 고통을 느끼고 가장 공격적이 된다. 이는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이 사회적 관계에 무관심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큰 열망이 있지만 왜곡된 자아상으로 인해 그 관계 형성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의 건강한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해 이글은 누가복음 10장 38-42절에 나타난 마르다의 내러티브와 마가복음 8장 22-25절에 나타난 시각장애인을 향한 예수님의 행동을 통해 공감적인 신체적 접촉이 사람들의 고통과 아픔을 치유하는데 효과적임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중독과 영성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이 연구는 중독과 영성에 관한 것이다. 내담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학에서는 많은 이론과 기술들을 연구하여왔다. 그리고 많은 현대의 상담심리학자들은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는 영적인 문제와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내담자의 영적인 건강이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관성에 바탕을 두고 이 글은 어떻게 영성이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중독자들의 중독 회복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영성이 어떻게 중독자들의 심리적 영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중독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AA(Alcoholic Anonymous)의 영성을 중심으로 어떻게 영성이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중독에서 치유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AA의 영성은 공동창시자인 빌 (Bill. W)의 종교적 회심의 경험에 바탕을 둔다. 이러한 종교적 회심에 근간을 두고 발전시킨 AA의 12가지 프로그램은 중독자들로 하여금 중독에서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알코올 중독자들은 자신이 중독을 조절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이러한 이해는 자신의 중독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초월자, 즉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것에서부터 중독의 회복이 시작된다. 즉 중독자들의 자기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이 새로운 하나님의 이해를 가져오고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알코올 중독자들이 중독으로부터의 회복을 경험한다. AA의 이러한 영성은 목회상담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자아의 조절능력을 높여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자아의 한계성과 무기력을 인정하고 초월자에 온전히 의지할 때 알코올 중독의 회복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것은 목회상담학적으로 상담 속에서 영성이라는 것을 재해석 하도록 도와준다. AA에서는 자신이 중독에 무기력하고 자신의 중독이 치유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믿는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사모와 신뢰는 중독자들의 삶을 바꾸고 의미 있게 살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영성은 목회상담가들에게 내담자의 자기 기만적이고 때때로는 과장된 자기 이해를 현실적인 이해로 인도해 주어야 한다는 사실의 중요성을 알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중독자인 내담자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신비한 하나님의 은혜와 도우심이 필요한 것임을 기억하게 해준 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심리적 문제와 영적인 문제는 별개의 것이 아니며 하나님의 도우심이 내담자의 문제 해결에 중요한 일임을 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bout addiction and spirituality. There are many theories and practices in counseling in order to solve patients' problems. Many modern psychologists insist that mental health and spiritual health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spiritu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aspect of recovery from mental problems. This study explores how spiritual health affects on mental health. Many people are addicted to certain substances in their life journey. Some is addicted to gambling. Some is addicted to drug. Some is addicted to alcohol. Those who experience addiction are suffering from physical and emotional attachment to substances in their life. These mental problems disturb people to connect with God. In other words, mental problem cause people to make a distance from God, Based on this, this study explores how spirituality affects on mental health among patients, especially alcohol abusers. The spirituality of AA helps alcohol abusers experience recovery from alcohol addiction and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God. Bill W is the co-founder of AA. From his personal conversation experience in his alcoholism, the spirituality of AA is beginning. Through the spirituality of AA alcohol abusers can shift their will of addiction to God through God’s help. Alcohol abusers believe that they can stop drinking through God’s grace toward them. In other words, alcohol abusers can experience recovery from the alcohol through recognizing their powerlessness over addiction and believing God can help them be sobriety. This is very important understanding in pastoral counseling, because it is a different approach from general position in psychology which emphasizes self-control as Mary Fukuyama and Todd Sevig insist. Rather than attaining individual control over the problem, alcohol abuses admit that they are powerlessness over addiction and look for God’s grace. This spirituality let us know that pastoral counselors help alcohol abusers shift self-deceit understanding of addicted people to realistic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we should remember that God’s grace and guidance is necessary in order to heal the problem of alcohol abusers.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and spiritual heath are not separated and God’s grace is the important in terms of healing.

      • KCI등재

        어린이 돌봄에 대한 여성 신학적 조명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이 연구는 어린이의 고통에 관한 것이다. 많은 어린이들은 자신의 힘을 오용하는 어른들로부터 정신적 육 체적 고통을 당하고 있다. 어린이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그들의 행동과 생각을 형성하 고 있는 사회적 가치나 신념 그리고 종교적 가치로 인한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힘없이 고통당하고 있는 어린이들을 이해하고 돕기 위해 여성 신학적 관점에서 어린이들의 생각과 행동을 형성하는 사회적 구성물 로서의 가치와 신학을 탐구하는 것이다. 여성 신학적 입장은 인간의 고통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가족의 역사나 심리내적 연구뿐만 아 니라 그들이 속해 있는 사회적 가치와 구조 속에서 이해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고통은 그들이 속 한 사회의 가치와 서로 연관 되어 있다. 특별히 힘없는 어린이의 고통은 그들이 속한 한국 사회의 유교적 가치와 전통적 어린이에 대한 신학은 어린이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부모에게 순종하고 효도 하는 것이 어린이의 덕목이다. 이러한 유교적 가치로 인해 어른들은 자신들의 힘을 왜곡하고 오용하게 되 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어린이들은 종종 무능력함을 느낀다. 한국 교회 안에 있는 어린이에 대한 신학은 원 죄라는 신학과 연결됨으로 한국 교회 안에 있는 어린이들은 힘없고 무능력하다는 사실을 지지한다. 다시 말하면, 어린이들은 죄인이고 그들의 죄를 회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어린이들이 한국 교회 안에서 힘없고 무능력한 존재(helpless being)라는 사실을 강화시킨다. 여성 신학적 입장에서 이러한 이해는 사회적 구성물로서 어린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재구성 되야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교회나 가정에서 상호성을 기독교적 덕목으로 가르치고 구체화 시키기를 제안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suffering of children. Many children are suffering from adults who misuse their power over children. One of the important influences that shape children's thought and behavior in terms of suffering experience is social values and religious beliefs.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ideologies and structures on which children's suffering is based from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help children who is suffering. Feminist theology is concerned to provide a more inclusve theological framework for dealing with issue of the marginalized within their contexts. It provides that social ecological structure, such as culture, political, and religious beliefs, become the foundation for suffering and social policies becaus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Children often feel helpless in unilateral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other adults, and certainly their power is minimized and distorted due to Confucian values. Theology of childhood in Korean church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supported the idea of the helpless being of children in the Korean church. All human are sinners because of original sin. It means that children are also sinners and therefore need to repent their sin. This understanding reinforced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as helpless being in the Korean church.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se understandings are social construction and need to be reconstructe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pastoral care for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moral virtues that include the community including church must reinforce mutuality being taught and embodied in the home and church

      • KCI등재

        청소년들의 자기 조절 능력 발달을 위한 제안 : 뇌 발달을 중심으로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이 글은 청소년들의 자기 조절 능력 개발을 위한 제안을 신경과학적 입장에서 탐구하였다. 청소년기는 어른이 되어 가고 있는 중요한 변화의 시기이다. 청소년들의 심리적, 신체적, 그리고 행동적 변화는 그들의 뇌 변화와 연관이 있다. 청소년기 뇌 발달의 큰 변화는 전두엽과 변연계에서 일어난다. 전두엽은 인간을 이성적으로 만드는 자기 조절 능력과 연관이 되어 있고 변연계는 감정을 생기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변연계 안에 위치한 편도체(Amygdala)와 해마(Hippocampus)는 충동적이고 본능적인 감정과 연관된 체계로서 전두엽이 온전히 발달이 되지 않을 때 활성화가 된다. 전두엽이 미완성된 상태인 많은 청소년들은 이성적이기 보다는 충동적이며 즉각적 만족을 위해 행동한다. 또한 청소년기 때 증가하는 호르몬인 도파민은 즐거움을 추구하게 만드는 화학작용으로서 청소년들로 하여금 즐거움을 추구하여 도파민을 받아들이는데 집중하게 한다. 그 결과 많은 청소년들은 충동적이고 감정적으로 행동함으로 중독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충동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이 자기 조절 능력이다. 자기 조절 능력은 청소년들의 충동과 감정을 조절하여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심리적 문제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 글은 청소년들의 자기 조절 능력이 개발되기 위해 필요한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자녀들의 자기 조절 능력 개발에 필요한 부모들의 양육태도(따뜻함, 엄격함, 지지적인)와 뇌를 변화 시키는 뇌 훈련들(작업 기억 능력 향상훈련, 명상, 유산소 운동, 전략 개발)이 그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기 조절 능력 개발을 위해 교회가 청소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종교적 실천들을 신경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explored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adolescence from a neuroscience perspectiv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of change that is becoming an adult. Psychological, physical and behavioral changes in adolescences are related to changed in their brains. Major changes in brain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occur in the frontal cortex and limbic system. The frontal cortex is associated with the self-regulation ability to make human beings rational, while limbic system is associated with creating basic emotions. The amygdala and hippocampus located in the limbic system are associated with impulsive, instinctive emotions, and are activated when frontal cortex is not activated. But since the frontal cortex of adolescence is still incomplete, many teenagers exercise for impulsive and immediate gratific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limbic system. Also, dopamine, an increasing hormone in adolescence, is a chemical process that allows adolescence to pursue pleasure, and thus focus on accepting dopamine. As a result, many adolescence start experiencing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ddi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ir impulses and urges. The self-regulation ability can control these impulsive and emotional urges and desire. The self-regulation ability plays o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many psychological problems as well as helping adolescence to think rationally by controlling their impulses and emotions. So, this article is suggesting two ways for adolescence to develop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That is the parenting attitude that need to improve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brain training that change the brain’s structure and function. Also, this article looked at the religious practices that the Church could provided to adolescences in order to develop their self-regulation of adolescences from a neuroscienc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