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픈 소스 개발자들의 참여 의도 강화 기제 및 참여 지속 의도에 관한 연구: 사회 정체성 이론과 조직시민행동 이론에 기반하여

        최정홍,최주희,이혜선,황보환,이인성,김진우,Choi, Junghong,Choi, Joohee,Lee, Hye Sun,Hwangbo, Hwan,Lee, Inseong,Kim, Jinwoo 한국경영정보학회 2013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3 No.3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OSSD) differentiates itself from traditional closed software development in that it reveals its source codes online and allows anyone to participate in projects. Even though its success was in doubt, many of the open collaborative working models produced successful results. Academia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how develop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even when there are no extrinsic rewards for their efforts. Many studies tried to explain developers' motivations, and the pursuit of ideology, reputation, and altruism are found to be the answers. Those studies, however, focused mostly on how the first contribution is made out of a certain motivation. Nowadays, OSSD reaches at its maturity and 70% of professional developers have used or utilized open source software or code in their works. As the proportion of people experiencing OSS, the accounts from previous studies are expected to be weakened. Also, extant literature fails to explain how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OSS evolves over time and experiences. Given that changing over time or over experiences is the natural in the perception of motivation, studie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how the motivation changes or evolves are in need.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ain how the perception about OSS from past usage or related experiences leads to the intention to sustain OSS participations. By doing so, we try to bridge the gap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the actual phenomenon. We argued that perceived instrumentality about OSS learned from past experiences will first affect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towards general OSS community. And once the organizational identity is formed, it will affect the one's following behaviors related to OSS development, most likely to sustain the favoring stance toward OSS community. Our research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one in that it divides the paths from organizational identity formed to the intention to sustain the voluntary helping behaviors, by altruistic and conforming intentions. Drawing on this structural model, we could explain how organizational identity engages in forming the sustaining intention from past experiences, and that the intention to help at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works at different level in OSS community. We grounded our arguments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theory. We examined our assumption by construc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had 88 developers to answer our online surveys. The result is analyzed by PLS (partial least square) method. Consequently, all paths but one in our model are supported, the one which assum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instrumentality and altruistic intention. Our results provide directions in designing online collaborative platforms where open access collaboration is meant to occur. Theoretically, our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an occur from organizational identity, even in bottom-up organizational settings. More specifically, we also argue to consider both organizational level and individual level of motivation in inducing sustained participations within the platforms. Our result can be interpreted to indicate the importance of forming organizational identity in sustaining the participatory behaviors. It is because there was no direct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instrumentality from past experiences and altruistic behavior, but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bridges the two constructs. This means that people with no organizational identity can sustain their participations through conforming intention from only the perception of instrumentality, but it needs little more than that for the people to feel the intention to directly help someone in the community-first to form the self-identity as a member of the given community.

      • 동적인 정보 이용 컨텍스트에 기반한 모바일 대중교통 정보 서비스 디자인 제안

        최정홍(Junghong Choi),최주희(Joohee Choi),정상용(Sangyong Jung),박정아(Jungah Park)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는 버스 정보 서비스를 대상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여 모바일 정보 서비스 디자인 지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 교통 정보 시스템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및 정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정보 검색 상호작용의 계층적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 목적 분류 별 정보 니즈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탐색적 목적의 정보 사용시 사용자 측의 인지적 수준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확증적 목적의 정보 사용 시 감성적, 상황적 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기에 이에 기반한 디자인 구성이 필요함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of mobile information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terview and contextual inquiry was conducted. The transcripts are analyzed to identify users' general goals for using mobile information service, and to induce more specific informational needs upon each goal based on stratified model of information retrieval interaction. Findings are that a design emphasizing on cognitive level of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users with exploratory goals, and for users with confirmatory goals, design emphasis should be put on affective and situational level of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소셜 컴퓨팅 요소가 오픈 소스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주희(Joohee Choi),최정홍(Junghong Choi),문재윤(Jae Yun Moo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오픈 소스와 소셜 컴퓨팅의 결합인 소셜 코딩 플랫폼의 대표적인 사이트 Github(http://github.com)를 대상으로 소셜 컴퓨팅 요소들이 프로젝트 결과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츠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셜 컴퓨팅 요소의 적용 및 효과에 대한 논의는 갈수록 활발해지는 추세이나, 오픈 소스와 같이 대표적인 온라인 협업 공간에 소소의 적용 및 효과에 대한 논의는 갈수록 활발해지는 추세이나, 오픈 소스와 같이 대표적인 온라인 협업 공간에 소셜 컴퓨팅 요소를 적용하였을때 그것이 협업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보다 세부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1) 소셜 코딩 플랫폼의 시스템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2) 실제 프로젝트의 결과물과 시스템 요소 이용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성 및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성적 분석으로는 Github 이용자들의 인터뷰 결과에 기반하여 Github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요소들을 기본적인 기능에 따라 분류하였고, 정량적 분석으로는 시스템 요소들과 프로젝트 결과물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304개 프로젝트 샘플을 대상으로 다중 희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외부 연결 시스템 요소들이 프로젝트들의 코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한 합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 to understand how social computing features affect open source project"s outcom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social coding platform, Github(http://github.com). Though there is growing interest regarding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employing social computing features, yet empirical evidences related to the subject are still short. To bridge the gap, we conducted our research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the system features of social coding platform are classified? 2) How are the use of system features and project performance related to each othe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are performed: The system features of Github are clustered according to their usage in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feature uses and project outcome is identifi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use of inter-project support features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a project outcome.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is also discussed.

      • 사회적 개발의 효과 : 소셜 컴퓨팅 요소가 오픈 소스 개발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주희(Joohee Choi),최정홍(Junghong Choi),문재윤(Jaeyoon Moon),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에서는 오픈 소스와 소셜 컴퓨팅의 결합인 소셜 코딩 플랫폼의 대표적인 사이트 Github(http://github.com)를 대상으로 소셜 컴퓨팅 요소들이 프로젝트 결과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각각 진행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으로는 github 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요소들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였고, 정량적 분석으로는 시스템 요소들과 프로젝트 결과물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외부 연결 시스템 요소들이 프로젝트들의 코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 to figure out how social computing features affect open source project's outcom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social coding platform, Github (http://github.co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are performed: The system features of Github are clustered according to their usage in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feature uses and project outcome is identifi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use of inter-project support features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a project outcome.

      • KCI등재

        집단지성을 위한 개방 협업 플랫폼 디자인: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를 통해

        한정필 ( Jung Pil Han ),문재윤 ( Jae Yun Moon ),최정홍 ( Jung Hong Choi ),최주희 ( Joo Hee Choi ),김진우 ( Jin Woo Kim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1

        유비쿼터스 정보통신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대중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식 공유로 집단 지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인터넷의 공개 협업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수의 개발자가 참여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인프라의 상당 부분은 아파치 웹서버, 리눅스 운영체제 등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기반이다. 그래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집단 지성의 가능성을 대변하는 사례로 많이 거론한다. 그러나 그중 집단의 지성을 이끌어 내는 데 성공하는 사례는 극히 일부분이다. 실제로는 다수의 참여를 유도하지 못해 실패하거나, 다수가 참여해도 실패한다. Sourceforge 혹은 Github 등의 프로젝트 플랫폼에는 누구나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두 협업 환경은 기능의 차이 때문에 프로젝트의 생성, 집약, 분포, 소멸 과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협업 플랫폼에 대한 사례를 연구해 다수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개방 협업 플랫폼이 개발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The promise of collective intelligence emerging from voluntary participation, contribution and knowledge sharing brought about by ubiquit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recent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like. Of many related phenomena, open source software (OSS) development has been touted as one of the leading examples that speak to the potential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fact, much of today`s Internet infrastructure depends on OSS such as the Apache web server or the Linux operating system. However, such high-profile cases are unfortunately the exception rather than the norm - the vast majority of OSS projects fail to take off and are abandoned. Recently, the advent of novel open collaboration platforms for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such as Github, has prompted researchers to go beyond investigating OSS phenomena at the project level to understanding how the design of open collaboration platforms may impact the overall sustainability of open source software more broadly. For example, stark differences are shown with respect to overall rates of project initiation, distribution of open source projects, concentration of developer activities, and rates of project abandonment across open collaboration platforms such as Sourceforge and Github, two open platforms that offer different approaches to collaborative work. This paper builds on our past work investigating developer behaviors on Sourceforge and Github to derive insights into how the design and structure of open collaboration platforms may influence the broader sustainability of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