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민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상복합 주거의 공유공간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최재순,곽인숙,Choi Jae-Soon,Kwak In-Suk 한국주거학회 200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6 No.6

        Housing consumers prefer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because of one-stop living style, and high quality of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idents community with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 apartments and the future residents who will live in the apartment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the public spaces and the influence of the space to form housing culture of residents family community. All data were taken from the response of two hundred forty three questionnaire to be gathered during 20th of June through 24th of August in 2003.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s, means, t-test,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PC+. Residents in four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feels that the public space in the apartments were mainly provided by their 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not for the residents. Physical conditions of public space in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should be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ing space in which nature and human can be coexisted. It also should be high-tech system housing with which SOHO can be operated. And different custom-made spaces which the residents' needs can be satisfying should be provided. The public space should be recommended to be multi-purposed room because the space will be differentiated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area, the residents' age differences, and the variety of the family's life style. Moreover, the various programs should be supplied to run the public space efficiently.

      • KCI등재후보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지반 액상화 발생을 모사하기 위한 조합 정현하중에 대한 실험적 고찰

        최재순,백우현,Choi, Jae Soon,Baek, Woo Hyun 한국방재안전학회 2018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액상화를 유발시키는 진동하중의 특성을 분석하여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의 거동을 잘 모사할 수 있는 표준 진동하중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실내진동시험에서 사용해 오던 정현하중이 실제 지진 하에서의 발생하는 액상화 거동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사례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해 재고찰하였다. 또한,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의 거동을 잘 모사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조합형 정현하중을 제안하고 이를 실내진동시험 및 진동대시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진동대시험은 주문진 표준사를 이용하여 상대밀도 40%로 재성형하였으며 정현하중 및 조합형 정현하중 시험에서는 1 Hz의 진동재하주기로 통일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정현하중시험에서는 0.3g로 최대하중을 재하하였으며 조합형 정현하중실험에서는 최대하중 0.03 g의 1차 정현하중과 0.3 g의 2차 정현하중을 재하하였다. 또한, 1차 정현하중의 재하시간은 5 초, 10 초 및 15 초로 변화시켜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정현하중시험과 1차 정현하중을 5초간 재하한 조합형 정현하중시험에서는 과잉간극수압의 변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1차 정현하중을 10초와 15초로 재하한 경우에는 2차 정현하중이 재하되는 시점에서 과잉간극수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유발되는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을 잘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상대밀도가 40%인 모래지반에 대해서는 제안된 조합형 정현하중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1차 정현하중의 재하시간은 10초를 초과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comparison on the fact that the sinusoidal load, which has been used so far in the laboratory cyclic test,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liquefaction triggering stud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henomenon that causes the soil liquefaction during the earthquake loading.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combined sinusoidal load and compares it with experimental results to load the conventional sine wave. In the comparison, the shaking table tests were carried out and the sample in the tests was remolded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40%, which is a condition where liquefaction is easy to occur. Firstly, the conventional cyclic test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that with the amplitude of sine wave was 0.3 g. Additionally, 3 types of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combination loads made up with 0.03 g sinusoidal load and 0.3g sinusoidal load. At that time, the loading time for the first sinusoidal load were changed with 5 seconds, 10 seconds, and 15 seconds. As a result, the test with the conventional sine wave and the test with the first sinusoidal loading for 5 seconds showed that the change of the pore water pressure gradually increased. But in the tests with the combined sinusoidal load which changed the first sinusoidal loading time with 10 and 15 seconds, it was found that the pore water pressure suddenly rose at a certain instant and liquefaction occurs. From the experimental comparison, it is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hat the time of the first sine wave is over 10 seconds at the proposed combined load for the soil condition with relative density 40%.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를 고려한 포장 보조기층의 적정입도분포에 관한 실험연구

        최재순(Jaesoon Choi),한누리(Nuri Ha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7

        최근, 시강우량의 최대치의 기록이 매년 바뀌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로의 침수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새로운 배수포장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보조기층에 대해서는 별도의 고려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층의 강도와 투수성을 함께 고려한 적정입도분포 기준을 제안하며, 이때 실내실험을 통해 각각의 강도특성 및 투수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실험에 앞서 국내외 보조기층 기준에 대한 시방기준을 토대로 4가지의 대표적인 입도분포를 산정하고 이를 실험하였다. 실험에 있어서 강도특성은 회복 탄성계수 산정을 비교하고, 투수특성은 수직방향의 상향 및 하향 투수계수를 비교하였다. 회복탄성계수 산정은 MR 시험을 통하였으며, 이때 본 연구에서는 진동삼축시험기기를 보완하여 이를 구현하도록 하였다. 투수시험의 경우에는 2가지 투수시험이 수행되었으며, 하향의 흐름에 대한 투수시험으로는 기존의 변수위 투수시험이 적용되었고, 상향의 경우 직경 150mm의 중형 Rowe Cell 투수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성계수와 투수계수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포장체 보조기층의 강도특성과 투수 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적정입도분포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적정입도기준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a top record of hourly-based rainfall has been changed annually and flood damages of road have in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pavements for drainage were developed and practically constructed but there was no considerations on sub-base. In this research, we proposed standard for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of sub-base to consider strength characteristic and drainage property. We focused to compare coefficients strength and permeability by laboratory tests. Prior to tests, 4 samples were selected under the consideration on the international or domestic design guideline. In the tests, strength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resilient modulus. Also,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coefficient of upward and downward permeability. Resilient modulus was determined with MR test using cyclic triaxial testing system. Two permeability tests were carried out. One is variable head permeability test for downward drainage and the other is Rowe Cell test for upward drainage. In the case of Rowe Cell test, middle-sized sampler with 150mm diameter was used for this study. Consequentially, we tried to find the optimum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to satisfy both of strength and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for sub-base.

      • KCI등재

        국내 동남권 지역의 전력구 지반에 대한 지진시 액상화 위험도 작성 연구

        최재순(Jae-soon Choi),박인준(Inn-Joon Park),황경민(Kyengmin Hwang),장정범(Jungbum J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9 No.10

        2016년 경주지진에 이어 2017년에도 포항지진이 발생하여 우리나라 동남권 지역이 지진의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항지진에서는 연안의 퇴적지반에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크게 중요시되고 있다. 지반 액상화는 지표면 위의 구조물뿐만 아니라 지중의 시설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한 시설물의 액상화 위험도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지진이 발생한 동남권 지역의 전력구를 대상으로 지진 시 액상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발생 가능한 지진은 재현주기 1,000년으로 고려하였으며 지진 시 액상화 위험도는 액상화 발생가능성 지수를 통해 검토하였다. 액상화 위험도 분석은 2단계로 진행되었으며 1단계에서는 동남권 전력공동구 설치위치의 지반조사자료를 토대로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수를 산정하여 액상화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때, 지반 내 증폭현상은 지반종별 지반증폭계수를 통해 고려되었다. 2단계 위험도 분석은 1단계 분석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게 판정된 전력구 주변의 시추공 정보를 바탕으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수를 재산정하여 지진 시 액상화 위험도를 재분석하였다. 이때, 이용된 지반 조사자료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의 자료이며 지진응답해석에서는 3가지의 실지진 가속도 시간이력곡선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지중 시설물에 대한 액상화 위험도 평가를 1단계 광역기반의 액상화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고 2단계 평가에서는 1단계 평가에서 위험한 곳으로 평가된 지역에 대해서 지진응답해석을 동반한 위험도 평가를 재수행하는 것이 매우 합리적이고 유효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Following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the Pohang Earthquake occurred in 2017, and the south-east region in Korea is under the threat of an earthquake. Especially, in the Pohang Earthquake,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ccurred in the sedimentation area of the coast, and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is very important. The soil liquefaction can affect the underground facilities directly as well as various structures on the 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liquefaction risk of facilities and the structures against the possible earthquakes and to prepare countermeasures to minimize th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eismic liquefaction risk about the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in the southeast area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in Korea recently. In the analysis of seismic liquefaction risk, the earthquake with return period 1000 years and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are used. The liquefaction risk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liquefaction risk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using the ground survey data of the location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in the southeast region. At that time, the seismic amplification in soil layer was considered by soil amplific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soil classific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liquefaction risk analysis based on the site response analyses inputted 3 earthquake records were performed for the locations determined to be dangerous from the first step analysis, and the final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was recalculated. In the analysis, the site investigation data were used from the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DB Center. Finally, it can be found that the proposed two stage assessments for liquefaction risk that the macro assessment of liquefaction risk for the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ing the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 in Korea is carried out at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again with site response analysis for the dangerous regions of the first stage assessment is reasonable and effective.

      • KCI등재
      • 국내 Micro 및 Macro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 제안

        최재순(Jae Soon Choi)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재난은 모든 시설물의 내진설계시 최우선되는 것이 액상화에 대한 발생가능성 검토이다. 이러한 일련의 검토과정은 액상화 평가를 통해 수행되며 이 결과들을 종합하여 지도에 나타내는 것이 액상화 위험도이다. 액상화 위험도 작성은 수치지도의 크기와 관련하여 시설물 기초지반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주로한 Micro 액상화 위험도와 구 또눈 군 이상을 대상으로 액상화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여 지진시 지반피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Macro 액상화 위험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액상화 피해가 전무한점과 중진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에서 적용가능한 Micro 액상화 위험도와 Macro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때, Micro 액상화 위험도에서는 지반증폭에 대한 예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반응답해석을 포함하였으며 Macro 액상화 위험도에서는 수많은 입력자료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지반응답해석의 수행을 지반증폭계수로 대치하도록 하고 각각의 액상화 위험도들을 작성하였다. In seismic designs of all facilities, a review for liquefaction potential is prior. This assessment process is carried out through the assessment for the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for liquefaction potential, the index for mapping on liquefaction hazard such as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proposed by Iwasaki can be calculated. There are two kinds of liquefaction hazard maps according to the scale of target area. One is a micro liquefaction hazard map for seismic facilities’ construction. The other is a macro liquefaction hazard map for preparing of seismic prevention methods in metropolitan area or the whole country.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applicable mapping methods for Micro and Macro liquefaction hazard in Korea. In the proposal of two mapping methods, we consider that there is no liquefaction hazard in Korea until now and it has been known that Korea is classed as midium seismicity region. In the Micro liquefaction mapping, the site response analysis is included in the assessment process of liquefaction potential. In the Macro mapping, the soil factor according to the soil classification can replace the site response analysis to apply the big-data of boring hole investigation results. Finally, we drew 4 Micro hazard maps of Seoul and Gyeonggi area applied 4 peak bedrock accel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