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숙분만시 Cortisol값과 특발성 호흡장애증후군과 비교관찰

        최인호(IH Choi),김영일(YI Kim),이준모(JM Lee),허필형(PH Hur),이진우(J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

        미숙분만시 발생된 IRDS와 미숙아의 제대혈증 cortisol값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만삭분 만 산모 20 예와 미숙분만 산모예를 대상으로 모체혈중 및 제대혈중의 cortisol의 변동을 측 정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엇다. 1. 미숙아 제대혈중 cortisol값은 정상대조군 보다 낮았으며 IRDS 환자군은 IRDS가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보다 낮았다. 2. 미숙분만의 모체혈중 cortisol값은 미숙아군의 제대혈중값보다 현저히 높았으나 IRDS 발생 여부와는 무관하였다. 3. 전체적으로 모체혈중 cortisol값이 증가함에 따라서 신생아의 제대혈중 cortisol값이 증가하 였으나 IRDS 환아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4. IRDS 환아군 및 IRDS가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의 제대혈중 cortisol값은 분만방법 및 신 생아의 체중과는 무관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보아 미숙아의 IRDS 발생시는 자궁내 태아혈중 cortisol값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certain relationship of idiopath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RDS) wiht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cord serum in premature delivery, those of 20 normal term and 41 premature delivery were measured by RIA and those data were evaluated in the view points of cortisol levels , method of delivery and neonatal body wei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rd cortisol levels in premature inf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mature infants and those in premature infants with IRDS were lower than those without IRDS. 2.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s in premature delivery were higher than those in premature infant`s cord serum regardless of IRDS 3. The cord cortisol levels gradually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s but this was not true in IRDS group. 4. cord cortisol levels of premature infants with or without IRDS were affected neither by method of delivery nor by neonatal body weight. considering above results , it can be imagined that the development of IRDS may be closely related with fetal serum cortisol levels but more extensive hormonal study is nesessary to obtain more acurate conclusion.

      • KCI등재

        임신성 고혈압성 질환에 있어서 신사구체여과 값의 측정

        박혜동(HD Park),이명우(MW Lee),최인호(IH Choi),김윤호(YH Kim),김수평(SP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

        저자들은 정상임신, 전자간증 및 자간증에서 신사구체여과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79년 3월1일부터 1980년 2월 28일까지 가톨릭의대부속 성모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임 신성 고혈압성질환 환자중, 그 기록과 이화학적 검사기록이 확실한 경증 전자간증 20예, 중 증전자간증 26예, 자간증 20예와 산모 및 태아가 모두 건강하였던 초임부 20예 및 경산부 20예를 대조군으로 삼아 혈청 creatinine값은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였다. 24시간뇨중 creatinine값은 folin-Wumethod에 의하여 측정하여 신사구체여과치를 산출 비교관찰한 바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청 creatinine의 평균값은 대조군에서는 0.93±0.18mg/dl, 경증 전자간증에서는 0.95±0.16mg/dl,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1.07±0.21mg/dl이었고, 자간증에서는 1.19±0.20mg/dl 이엇다. 2. 24시간뇨중의 Creatinine의 평균값은 대조군에서는 76.75±9.33mg/dl이었고, 경증 전자간증 에서는 68.90±7.91mg/dl,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65.85±8.91mg/dl이었고, 자간증에서는 59.45±5.65mg/dl이었다. 3. 24시간뇨량의 평균값은 대조군에서는 2207.5±313.4ml, 경증 전자간증에서는 1978.5±336.3ml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1838.4±369.1ml이었고, 자간증에서는 1645.0±238.9ml 이었다. 4. 신사구체여과치의 평균값은 대조군에서는 128.72±19.83ml/min, 경증 전자간증에서는 99.62±13.01ml/min,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78.69±9.53ml/min이었고, 자간증에서는 57.51±6.09ml/min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중증 전자간증 및 자간증에서는 신사구체여과치의 감소가 현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Renal funciton is reflected by many features such as glomerular filtration rate, excretion of water, electrolytes and metabolites. Renel function in normal pregnancy is altered as well as in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Glomerular filtration rate is the basis of most critical tests for renal function, which is probably a simple reflection of renal plasma flow. Although various reports have been made on decreased of GFR in hypertensive disorders in pregnancy compared to normal pregnancy, their decreasing values were contradictory . In this study , the rate of decrease of GFR in relation to classification of toxemia was evaluated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erum creatinine value was 0.93±0.18mg/dl in control group, 0.95±0.16mg/dl in mild preeclampsia , 1.07±0.21mg/dl in severe preeclampsia and 1.19±0.20mg/dl in eclampsia. 2. The mean creatinine value of 24 hours urine was 76.75±9.33mg/dl in control group, 68.90±7.91mg/dl in mild preeclampsia , 65.85±8.91mg/dl in severe preeclampsia and 59.45±5.65 mg/dl in eclampsia 3. The mean total volume of 24 hours urine were 2207.5±313.4ml in control group, 1987.5±336.3 ml in mild preeclampsia , 1838.4+-369.1 ml in severe preeclampsia and 1645.0±238.9 ml in eclampsia. 4. The mean GFR were 128.72±19.83ml/min in control group, 99.62±13.01ml/min in mild preeclampsia , 78.69±9.53 ml/min in severe preecampsia and 57.51±6.09ml/min in eclampsia. GFR of severe preeclampsia and eclampsi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control group.

      • KCI등재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우영(WY Lee),허필형(PH Hur),이창석(CS Lee),최인호(IH Choi),김수평(SP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8

        1974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동안 가톨릭의과대학 부속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자궁적출술 총 1,007예중 자궁선근증 136예에 대하여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관찰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선근증의 발생빈도는 13.5%이었다. 2. 호발연령은 40세에서 49세였으며, 평균연령은 42.6세이었다. 3. 경산부의 발생율이 미산부보다 7.5배로 높았다. 4. 자궁선근증을 가진 자궁은 정상자궁보다 더욱 그 무게가 증가되었으며, 136예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예에서 81~120gm의 사이에 있었다. 5. 자궁선근증의 경우 분만회수의 증가에 따라 자궁의 무게도 크게 증가하였다. 6. 전 136예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예에서는 아무런 증상을 호소하지 않았고, 골반내동통, 월경통, 월경과다등이 주요증상을 이루었다. 7. 수술전 진단의 정확도는 10.3%이었으며, 수술후 육안적진단의 정확도는 22.8%이었다. 8. 합병질환중 자궁근종이 26.5%로 가장 많았고 골반내막증은 8.1%를 보였다. 9. 자궁내막 소견은 증식기가 68.4%, 분비기가 14.0%를 나타냈다. This is the report of a retrospective study of 136 consecutive instances of adenomyosis among 1,007 hysterectomies, identified histologically at the St. Mary`s Hospital of Catholic Medical College during the 5 year period from January, 1974 through December, 1978. The results of clinicopathologic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Routine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1,007 uteri revealed with adenomyosis in 136 specimens, and incidence of 13.5%. 2. The highest age incidence was in 40 to 49 years of age group, an incidence of 55.9% and the mean age was 42.6 year old. 3. Adenomyosis was more likely to occur in the parous woman than non-parous woman, such as 88.2% and 11.8% respectively. 4. A uterus containing adenomyosis weighs on the average more than a normal uterus, the most prevalent uterine weight was from 81 gram to 120 gram, an incidence was 35.2%. 5. The correlation of uterine weight and parity in adenomyosis was parallel, that is, more weight in higher parity. 6. Nearly one-fifth of the 136 patients analyzed for this report had proffered no symptoms of adenomyosis, an incidence of 19.1%. 7. Pelvic pain, dysmenorrhea, and menorrhagia were the common symptom of adenomyosis, an incidence of 38.2%, 33.8% and 31.6% respectively. 8. Only 14 of the 136 patients(10.3%) showed a preoperative diagnosis of adenomyosis. 9. Thirth-one patients(22.8%)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s adenomyosis postoperatively by surgeons. 10. Myoma was the most common associated lesion in adenomyosis, an incidence of 26.5%. 11. External endometriosis was found in 8.1% of cases in this study. 12. Proliferative endometrium was the most frequent endometrial finding of adenomyosis, an incidence was 68.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