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LAN에서 RA 선수신을 이용한 mSCTP 핸드오버 성능 향상

        최순원(Soon-won Choi),김광렬(Kwang-ryoul Kim),민성기(Sung-gi Min)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3 No.2

        mSCTP(Mobile SCTP)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와 DAR(Dynamic Address Reconfiguration) 확장을 이용해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된 프로토콜이다. 현재 mSCTP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핸드오버 지연시간(Handover Latency Time)이 길어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지 못하며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Handover Decision)하는 명시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RA (Router Advertisement)를 미리 수신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RA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RA 캐시(Cache)를 이용한 방법, FMIPv6(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와 연동을 통한 방법, 듀얼 인터페이스(Dual Interface)를 이용한 방법 등 세가지를 소개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안의 성능향상을 확인 하기 위해 세가지 방식 중 FMIPv6와의 연동 방식을 리눅스 기반의 실제 시험 환경을 구성하여 핸드오버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한 결과 전체 핸드오버 지연시간의 대부분이 RA를 받는데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를 줄임으로써 전체 핸드오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e SCTP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implementation with the DAR (Dynamic Address Reconfiguration) extension is called the mSCTP (Mobile SCTP) that is proposed recently for mobility support in transport layer. The mSCTP does not satisfy short handover latency for real-time applications and it has no specific handover decision mechanisms. In this paper, we propose fast handover schemes for mobile nodes that are moving into different subnet using pre-acquisition RA (Router Advertisement) and L3 trigger for improving handover performance. Furthermore, we introduce three specific methods which are RA cache, FMIPv6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and dual interface and how proposed scheme can be interoperated with handover process respectively. Finally, we show two experimental results which are the mSCTP and the mSCTP using FMIPv6 on Linux platform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handover performance is improved with reducing the time of receiving RA which takes most of total handover latency.

      • KCI등재

        학습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최순원(Soon-Won Choi),김정겸(Jeong-Kyoum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과 학습목표지향성, 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여, 미래 학습자에게 학습민첩성이 필요한 역량임을 실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육군간부 425명을 대상으로 학습민첩성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을 시행하였다. VandeWalles (1997), 박정열(2019), Janssen(2000)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여 2020년 5월에 예비조사하여, 확정된 18개 문항을 구조화된 설문지로 사용하여 7월 한 달간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으로 측정 및 구조모형을 검증하고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부트스트래핑으로 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학습민첩성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습목표지향성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습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학습민첩성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o prove that learning agility is a necessary competency for future learners.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related to learning agility targeting 425 military officers nationwide. After a preliminary survey using tools developed by VandeWalles (1997), Park Jeongyeol (2019), and Janssen (2000), 18 confirmed questions were used 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fter measur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d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an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by bootstrapp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learning ag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learning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g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learning agility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learning ag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육군간부 조직민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최순원(Choi, Soon-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민첩성이 육군 간부의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2020년 육군에 복무하는 5년차 이상의 간부 425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민첩성의 하위요인인 신속성, 유연성, 정보체계는 육군간부의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때 긍정적 실책관리문화는 정보체계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만 유의했다. 이 결과를 통해 나타난 시사점은 첫째, 조직민첩성은 육군 간부의개인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온나라시스템 등 외부정보를 유통하는 체계를 구비및 유지해야 한다. 두 번째, 학습민첩성은 조직 정보체계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만큼학습민첩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도입하여야 한다. 세 번째, 상·원사 계층에 한하여조직신속성과 정보체계가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바, 육군은 실책을 긍정적으로관리하는 문화를 가진 “열린 육군(Open Army)”의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agility, learning agility, innovative behavior of army office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error management climate on the learning agility . A total of 425 offic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serving in the army in 2020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results found, first, that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agility, such as promptness, flexibility, and inform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agility of the officers; and second, learning ag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third learning agility had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and forth, that a positive error management climate was found to have effect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ystem and learning agility. Moreover,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 of organizational agility on the individual learning agility of army officers, a national system for distributing external inform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Second, as learning agilit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 and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agility and actively introduce it Introduced in order to develop into the capabilities of future army officers. Thir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rapidity and information systems on learning agility is controlled only at the upper and lower levels, and the army should encourage an “open army” with a climate of positively managing mista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