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프 유형에 따른 분절의 협응 형태

        최성이(Sung Yi Choi) 한국무용과학회 200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 No.-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점프 동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밝히고 이를 무용동작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 본 연구의 결과 CMJ가 37.0±3.9 cm, SJ가 28.7±6.l cm의 점핑 높이로 CMJ가 약 8.3 cm 더 높이 뛴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5.90, p<0.05)를 보였다. 2. 도약 시의 발목의 각 움직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움직임의 결과는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더욱 자유롭게 하여 CMJ 점프가 더 높이 뛸 수 있도록 하는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3. 두 가지 점프 유형의 무릎관절의 각 움직임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두 점프 유형간에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4. 두 가지 점프 유형의 엉덩 관절의 각 움직임을 비교한 결과 각 움직임의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분절의 협응 형태를 비교한 결과, CMJ의 경우에는 던지는 동작의 형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SJ의 경우에는 미는 듯한 동작의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CMJ 즉 사전반동이 있는 점프가 SJ, 사전반동이 없는 점프에 비하여 더욱 효율적이며 더 좋은 수행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분절들의 움직임에 있어서도 더욱 자유로운 움직임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두가지 유형을 점프를 비교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동작의 근본적인 원리를 밝히려는 것이었다. 즉 하나는 미는 듯한 동작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던지는 듯한 동작 형태이다. 무용 작품 중 그 동작의 형태와 원리를 이해한다면 그 느낌 즉 사전반동이 없는 점프를 행할 때는 몸을 하늘로 밀어 올리는 느낌을 가지고 그 점프를 행한다면 아마 더욱 아름다운 점프를 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types of jumping movements the CMJ and SJ that has been argued to be an throw-like motion or an push-like motion. The filming was done by a high speed camera filming the right side of the subject with a filming speed of 50frames/sec. The reaction force data of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a force plat with a collecting frequency of 500Hz. Through this procedu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fine. The CMJ movenment jumped more higher than the SJ movemen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ang of motion of the ankle and hip joint was larger in the CMJ movement. The coordination of the segment were better in the CMJ movement, resulting that the CMI was a more efficient jumping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자 발레 전공자의 무용동작수행능력과 호흡순환기능의 상관성

        최성이(Sung Yi Choi),정미송(Mi Song Jung) 한국무용과학회 200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4 No.-

        여자발레전공자의 무용동작수행능력과 호흡순환기능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트레이닝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발레전공자 10명과 대조군으로는 일반 여자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및 심폐기능을 비교 검토 하였다. 첫째, 여자발레전공자들은 대조군보다 체중, 체지방량이 낮았으며, 평형성은 각각 61.7±18.1, 38.2±8.2로 평형성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둘째, O2max는 여자발레전공자와 대조군이 각각 62.7±7.2㎖/㎏/min, 33.0±1.3㎖/㎏/min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여자발레전공자와 대조군의 기초체력과 심폐기능을 비교한 결과, 여자발레전공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무용동작 수행능력과 호흡순환기능을 개선시키는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c information to the training program, we selected 12 female ballet dancers and 10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investigate th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First, weight and body fett of female ballet dancers were lower than tho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counterbalance of female ballet dancer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61±18.1, 18±18.2. Second, O2max was 62.7±7.2ml/kg/min in female ballet dancers, 33.0±1.3ml/kg/mi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s, female ballet dancers have possibility of improving basic physical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 KCI등재
      • KCI등재

        발레무용수(舞踊手)의 고관절(股關節)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최성이(Choi, Sung-Yi) 한국체육철학회 199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4 No.1

        Many ballet movements exceed the normal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of the lower extrmeties, and hip joint of Ballet dancers were changed to adapt to these special motion of balle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ip joint of ballet dancer. Various variables were measured in 16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group A) and 8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ballet at all (group B).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range of internal rotation of hip joint in flexion (43.13±2.73° in group A and 42.50±.438° in group B).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range of external rotation of hip joint in flexion (73.94±6.57° in group A and 60.00±7.50° in group B).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range of external rotation of hip joint in extension. (29.63±2.97° in group A and 16.88±3.63° in group B).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angle of femur neck anteversion. (6.94±4.06° in group A and 23.13±4.84° in group B). Finally hip joint of Ballet dancers were changed to adapt to the special motion of ballet and possibility of injury of lower extremities and spine can be reduced.

      • KCI등재

        발레 무용수의 족저압에 따른 2nd Position 동작과 2nd Position Releve 동작의 비교분석 연구

        최성이(Sung Yi Choi) 한국무용과학회 200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 No.-

        본 연구는 발레 무용수의 동작시 발가락에 가해지는 족저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기본적인 자세인 2nd Position 동작과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발가락 압력을 측정한 후, 이를 오른발가락과 왼발가락의 증족골부위와 지골부위로 구분하여 힘, 압력, 접지면적을 비교분석 함으로서 발레 무용수의 발가락에 가해지는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발레(Ballet)를 전공하는 S대 재학생 및 졸업생 22명으로, 경력은 3년에서 15년이었고, 연령은 22.5세, 신장은 161.5cm, 체중은 49.7kg이었다. 실험도구는 발바닥 압력 측정 시스템(EMED-SF Measurement System, Novel GMBH, 독일)을 사용했으며, 각 피검자의 동적인 상태에서의 오른발과 왼발에 가해지는 힘과 압력, 접지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Novel-win 08.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이를 오른발가락과 왼발가락의 힘, 압력, 접지면적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중족골과 지골 두 부위로 구분하여 SPSSPC+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5.70N이고, 지골의 평균은 1.85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증족골의 평균은 9.46N이고, 지골의 평균은 3.53N이었다. 또한 오른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힘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5.89N이고, 지골의 평균은 1.77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10.29N이고, 지골의 평균은 3.10N이었다. 또한 왼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힘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2nd Position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7.62N이고, 지골의 평균은 7.10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18.38N이고, 지골의 평균은 14.32N이었다. 또한 오른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압력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6.58N이고, 지골의 평균은 6.62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18.50N이고, 지골의 평균은 14.19N이었다. 또한 왼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압력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7.07N이고, 지골의 평균은 2.32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4.12N이고, 지골의 평균은 2.90N이었다. 또한 오른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접지면적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6.50N이고, 지골의 평균은 2.24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4.13N이고, 지골의 평균은 2.74N이었다. 또한 왼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접지면적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o identify the changes of ankle pressure affecting on phalanges in ballerina's mov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force, pressure and the osculating area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consisted of 22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ballet(Age M=22.5; Height M=161.5cm; Weight M=49.7kg). To measure the subject's force, pressure and osculating area, EMED-SF Measurement System(Novel GMBH, Germany) was used in this study.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Novel-win 08.7 and SPSSPC+ 8.0.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rce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of both feet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In addition the study argu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sure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of both feet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Further,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culating area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of both feed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