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직재문학(志賀直哉文學)소고 : 「 소승의 신양(小僧の神樣)」 을 중심으로

        최석재 한국일어일문학회 1994 日語日文學硏究 Vol.24 No.1

        志賀直哉は1910年「綱走まで」で文壇に登場して活潑な創作活動をすることによって作家としての位置をかためていく. この「綱走まで」を1910年(明治43年)4月創刊された文藝雜誌『白棒』に發表し, 以後多數の作品もこの雜誌に發表する.「白樺』を中心としてあつまった靑年作家たちを白樺派というが, かれらは西洋の人道主義や新理想主義の影響を受け, 自然主義や眈美的な情緖世界に反對して, 人間性の弱さや醜さを認めながらも, その中に理想を見いだそうとする, いわば現實に立脚した理想主義を唱え, 大正の初めの文壇の主勢力となった. 個性の尊重を特色としたので必ずしも一派の色彩にかたまらず, 各自の作風を自由に示した. かれらは何を見ても何をするにも一度自分で確めてみるところから出發したのである. 志賀は小說に必要な劇的條件, 思想, 主題, プロットのいろいろの制約から表現を解放し, 自己の心理や感情だけを表現する自由を手に入れた. 彼は作品の題材を狹く限定してはいるが, それは限定された中に自分の思想は完壁に表現し得る自信があったからである. そして彼が銳く, 簡潔な文章をつくりだすことができたのは, その生き方や作品への對しかたが自己に忠實であったからである. また志賀文學には作者の暖かい心が作品の底を流ていて, それが基調となっている作品がほとんどである. 1920年 表された「小僧の神樣」にもそのような志賀文の特徵がよく表われている. 志賀文學の成熟期に書かれた「小僧の神樣」にはわからないことをわからないままでおこうとする, 主人公の謙虛さがあり, そのような自己の中の不可知な部分に對して, 彼は自己の意志を超えたものとして認識したのである. これは今まで氣づかなかった自己の限界を認識し, さらには人間の限界性をさとることである.

      • KCI등재

        조사 ‘은/는’과 ‘이/가’의 의미

        최석재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5 No.-

        이 글은 그동안 분명히 정리되지 못한 ‘은/는’과 ‘이/가’ 조사의 의 미에 대하여 다루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은/는’의 의미는 화제 제시와 대 조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 연구의 결과 ‘은/는’이 화제 제시 기능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특별한 근거를 찾을 수 없었고, 대조 의미는 ‘은/는’의 지적하는 기능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임을 알 수 있 었다. 이에 두 조사의 의미를 새롭게 살펴본 결과 ‘은/는’의 기본 의미는 대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가’의 기본 의미는 상황을 묘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은/는’은 주어부의 대상을 지적하면서 술어부의 내용으 로 하여금 이를 풀이하게 만들어 무엇을 설명하는 문장을 만들며, ‘이/가’ 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연결시킴으로써 사건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묘사한다. 이러한 두 조사의 의미를 다양한 경우의 예문을 통하여 확인하 였다.

      • KCI등재

        감정동사의 정도성 연구 : 분노/불쾌 감정을 대상으로

        최석재 국제언어인문학회 2009 인문언어 Vol.11 No.2

        The level of Feeling Verb : in the case of Anger words Choi, Sukjae (Korea University) This paper aims to describe level's associated with Korean language's feeling verb. It is known that feeling verbs have a level which can be described by a number. However it has not been searched statistically as of yet. For survey, we narrowed the targets down to 60 words which has ‘anger’ meaning to raise the results' confidence. And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who were 25 years and over. Results showed ‘chiddulda(치떨다, grind one's teeth)’, ‘nobaldaebalhada(노발대발하다, furious)’, ‘yeokeopda(역겹다, disgusting)’, ‘jeongohada(증오하다, abhorrence)’, ‘keoknohada(격노하다, rage)’, ‘heomohada(혐오하다, aversion)’, ‘jinjeorinada(진저리나다, be choked)’, ‘jinnohada(진노하다, wrath)’ have high anger level over 7, and ‘pyorotonghada(뾰로통하다, sulky)’, ‘jiruhada(지루하다, boring)’, ‘saemnada(샘나다, jealoysy)’, ‘sikundunghada(시큰둥하다, sassy)’, ‘kuichanta(귀찮다, annoying)’, ‘pyeonchanta(편찮다, unwell)’ have low anger level of below 4. We compared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and male and female. Generally,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adults on the same word, and men also showed higher score than woman.

      • KCI등재

        복합명사 구성의 결합 분포와 품사 구조 연구

        최석재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말뭉치를 이용하여 복합명사 구성의 형태소 결합 분포 와 품사 구조 특징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복합명사 구성은 총 135,409 형태 유형이 발견되었으나 대부분은 저빈도 유형이고, 빈도 100 이상은 600여개이다. 결합된 형태소로는 10개가 결합된 것도 있으나, 2~3개의 형 태소가 결합한 것이 전체의 99%이다. 종류는 많지만 특정 구조로 실현되 는 경향이 강하여, 형태 유형의 절반 이상은 명사-명사 구조이다. 구조 유 형 분포는 989가지 구조 유형 중, 명사-명사 구조와 명사-접사 구조가 70% 를 차지하며, 합성어 구조(63%)가 파생어 구조(37%)보다 많다. 이러한 정 보는 언어 정보 시스템의 복합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사전 기술을 이용한 단어 유사도 측정 방안

        최석재 국제언어인문학회 2009 인문언어 Vol.11 No.1

        This paper aims to describe words similarity with intuition, objectivity, and measuring possibility.Measuring the words similarity have importance in that it gives us the standard with clearness. With the similarity standard we can decide which words could be called the ‘similar word’.But if we do not consider word's meaning in measuring the words similarity the result often does not comply with our intuition and not acceptable. So the measuring way should contain human intention which tells two words meaning are very close.To get the intention, dictionary's description were used. Because dictionaries are written by many experts in linguistics with accumulated efforts, we can regard it have proper description about words real meaning. So generally the descriptions comply with our intention. Descriptions were separated with words, and high frequency words were excluded. The result gives the words real meaning in forms of ‘word’.In addition to that, only the expressions which more than 2 dictionaries used are chosen. One dictionary some times can use unappropriated expressions, but if two or more dictionaries used the same expression, we can put higher trust on that expression. Consequently we get the objectivity.Finally when we use above results, we can draw its connection paths and calculate its similarity. When the two words are similar, they will have same expressions which tells its meaning. The same expressions, in other words ‘properties’ let the two words have connection path. And with this path, we clearly know they have similarity.When connection paths were drawn to all the words, the similarity can be counted. If two words have connection path directly we can say their similarity is 1st level, and if they are connected via another word we can say their similarity is 2nd level. In this way words similarity can be counted.And this paper designed the auto level-tracking program. It calculates the similarity level of two words. If there are some complements, the full process could be done automatically without human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