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상 및 교통조건이 고속도로 화물차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최새로나,김미정,오철,이기영,Choi, Saerona,Kim, Mijoeng,Oh, Cheol,Lee, Keeyo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3

        교통안전 측면에서 화물차 관련 교통사고 심각도는 화물차의 차량 중량, 물류수송특성, 후행차량의 시거제약 등과 관련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화물차사고의 심각도에 미치는 기상 및 도로 교통요인을 도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고심각도의 확률적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상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속도 단속, 속도 관리전략, 화물차 전용차로 등과 같은 교통류 관리전략이 사고심각도 감소를 위한 대책으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화물차 사고발생 및 사고심각도 감소를 위한 교통 관제 및 운영관련 전략 수립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ruck-involved crashes is of keen interest because such crashes are highly associated with greater potential leading to severer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of truck-involved crashes on freeways. In addition,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 is applied to identify causal factors affecting truck crash severity under normal and adverse weather conditions.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es are discussed with truck operations strategies including speed enforcement, variable speed limit, and truck lane restriction, from the safety enhancement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traffic control and operations strategies to reduce truck-involved crashes and injury severity in practice.

      • KCI우수등재

        주행 및 교통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격운전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수빈(PARK, Subin),김윤종(KIM, Yunjong),오철(OH, Cheol),최새로나(CHOI, Saerona)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 No.-

        공격운전은 주변차량 운전자를 위협하며 주행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공격운전의 법제도 마련, 검지, 관리방안 등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격운전의 주행행태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Multi-agent 주행 시뮬레이션과 교통류 시뮬레이션 VISSIM을 이용하여 공격운전의 거동을 구현하였다. 교통류 시뮬레이션과 상충분석을 이용하여 공격운전이 교통운영효율성 및 교통안전성 측면에서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나리오는 다양한 교통상황과 공격운전차량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상충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공격운전 주행행태는 교통안전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운영효율성 분석결과 흥미로운 점은 서비스 수준 A, B, C 경우 공격운전차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평균주행속도가 증가하였다. 이와 반대로 서비스 수준 D와 E인 경우 공격운전차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평균 주행속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공격운전을 줄이기 위한 교통안전정책 마련 시 기초자료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ggressive driving leads to a greater crash potential because it threatens surrounding vehicles. This study conducted traffic simulation experiments using driving behavior data obtained from multi-agent driving simulations. VISSIM traffic simulator and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 were used to identify the impacts of aggressive driving on traffic stream in terms of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Market penetration rates (MPR) of aggressive driving vehicle, coupled with various traffic condition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impacts. As expected, it was identified that aggressive driving vehicles tended to deteriorate the traffic safety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al efficiency, interesting results were observable. Under level of service (LOS) A, B, and C,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travel speed increased with greater MPRs. Conversely, the average travel speed decreased with under LOS D and E conditions.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effectively used for developing safety-related policies for reducing aggressive driving behavior.

      • KCI우수등재

        주행 및 교통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격운전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수빈(PARK, Subin),김윤종(KIM, Yunjong),오철(OH, Cheol),최새로나(CHOI, Saerona)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36 No.3

        공격운전은 주변차량 운전자를 위협하며 주행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공격운전의 법제도 마련, 검지, 관리방안 등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격운전의 주행행태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Multi-agent 주행 시뮬레이션과 교통류 시뮬레이션 VISSIM을 이용하여 공격운전의 거동을 구현하였다. 교통류 시뮬레이션과 상충분석을 이용하여 공격운전이 교통운영효율성 및 교통안전성 측면에서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나리오는 다양한 교통상황과 공격운전차량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상충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공격운전 주행행태는 교통안전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운영효율성 분석결과 흥미로운 점은 서비스 수준 A, B, C 경우 공격운전차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평균주행속도가 증가하였다. 이와 반대로 서비스 수준 D와 E인 경우 공격운전차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평균주행속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공격운전을 줄이기 위한 교통안전정책 마련 시 기초자료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ggressive driving leads to a greater crash potential because it threatens surrounding vehicles. This study conducted traffic simulation experiments using driving behavior data obtained from multi-agent driving simulations. VISSIM traffic simulator and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 were used to identify the impacts of aggressive driving on traffic stream in terms of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Market penetration rates (MPR) of aggressive driving vehicle, coupled with various traffic condition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impacts. As expected, it was identified that aggressive driving vehicles tended to deteriorate the traffic safety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al efficiency, interesting results were observable. Under level of service (LOS) A, B, and C,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travel speed increased with greater MPRs. Conversely, the average travel speed decreased with under LOS D and E conditions.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effectively used for developing safety-related policies for reducing aggressive driving behavior.

      • KCI우수등재

        Multi-agent 주행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격성향 위험운전 이벤트 검지기법 개발

        김윤종(KIM, Yunjong),오철(OH, Cheol),최병호(CHOE, Byongho),최새로나(CHOI, Saerona),김기용(KIM, Kiyong) 대한교통학회 2018 大韓交通學會誌 Vol.- No.-

        공격운전은 밀착주행과 급감속과 같은 행위로 상대 운전자를 위협하는 고의적인 행동으로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운전이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Multi-agent 주행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공격운전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호작용을 차량거동형태를 분석하였다. 운전자의 고의적인 공격의지 검지를 위해 주행패턴을 효과적으로 상대 평가할 수 있는 지표(Erratic Driving Index, EDI)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상용차의 디지털운행기록계 자료를 활용한 위험운전 검지기법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EDI를 연계한 공격운전 검지 방법론을 새롭게 개발하였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공격운전을 억제하고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운전자 행태 관리를 위해 본 연구의 결과물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tentional aggressive driving (IAD) is defined as a hazardous driving event that the aggressive driver intentionally threatens neighbor drivers with abrupt longitudinal and lateral maneuvering.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detecting IAD ev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aggressive driver and normal driver. Three major aggressive events including rear-close following, side-close driving, and sudden deceleration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algorithm. Then, driving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multi-agent driving simulator to obtain data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tection algorithm. In order to detect the driver’s intention to attack, a relative evaluation index (Erratic Driving Index, EDI) reflecting the driving pattern was derived. The derived IAD event detection algorithm utilizes both the existing absolute detection method and the relative detection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etecting IAD events in support of in-vehicle data recorder technology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