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강학활동 사례연구 -『계재강』의 를 중심으로-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2

        본고는 19세기 중반 안동지역에서 시행된 계재강회의 사례연구이다. 강회는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강학활동의 한 가지 방식으로서, 스승(장석)을 중심으로 선배와 후배 유생들이 문답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가는 세미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는 강회의 진행과정이 기록된 계재강의 와 장석 이한응의 문집인 .경암집.이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재강회는 1853년 10월의 계축강회를 시작으로 이한응이 대외활동을 줄인 1861년 이전까지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계재강의 에는 총 4회의 강회기록만 전해지지만, 그 사이인 1856년 10월경에 또 다른 강회가 있었고, 마지막 기록인 1857년 2월의 정사강회 이후에도 강회가 열렸다고 추론하였다. 둘째, 계재강회는 .대학., .중용., .근사록., .심경부주.로 이어지는 일련의 교육과정 하에 진행되었다. 계재강의 를 통해서는 .중용.과 .근사록.이 연속적으로 다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경암집.에 실린 배문록 의 증언에 의하면 이 외에도 .대학.과 .심경부주.를 학습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셋째, 계재강회는 장석 이한응을 중심으로 30여명의 제자가 참여한 강회였기 때문에,장석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강회가 진행될수록 점차 약화되어 마지막 기록인 정사강회에서는 제자들이 문답과 토론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변화를 보인다. 이렇게 볼 때 계재강회는 일정한 교육과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시행된 학습세미나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시행된 청량강회(1850년)나 호계강회(1856년)가 대규모의 일회성 학술세미나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Ge-Jae-Gang-Hue(溪齋講會). Gang-Hue was a method of Confucian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hich resembled seminar in western education. The record of the Gang-Hue (溪齋講義) helped to carry out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Jae-Gang-Hue began in October 1853 and was opened annually before 1861 when Lee, Han Eung(李漢應) stopped educational activity. Second, the curriculum was consisted of Confucian cannons and other important books. 『Great Learning(大學)』, 』Doctrine of the Mean(中庸)』, 』Thinking about near at hand(近思錄)』 and 』Confucian Cannon of Mind(心經)』 were core texts. Third, the Gang-Hue proceeded through various discourses. Reading,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and lecture were u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learning. Lastly, the type of discourse changed gradually. At the first Gang-Hue, the teacher(Lee, Han Eung) led the conversation, but afterwards the confucian student became to engage themselves in the Gang-Hue. In conclusion, Ge-Jae-Gang-Hue was a seminar which opened annually to study confucian core texts in order.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Ge-Jae-Gang-Hue(溪齋講會). Gang-Hue was a method of Confucian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hich resembled seminar in western education. The record of the Gang-Hue (溪齋講義) helped to carry out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Jae-Gang-Hue began in October 1853 and was opened annually before 1861 when Lee, Han Eung(李漢應) stopped educational activity. Second, the curriculum was consisted of Confucian cannons and other important books. 』Great Learning(大學)』, 』Doctrine of the Mean(中庸)』, 』Thinking about near at hand(近思錄)』 and 』Confucian Cannon of Mind(心經)』 were core texts. Third, the Gang-Hue proceeded through various discourses. Reading,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and lecture were u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learning. Lastly, the type of discourse changed gradually. At the first Gang-Hue, the teacher(Lee, Han Eung) led the conversation, but afterwards the confucian student became to engage themselves in the Gang-Hue. In conclusion, Ge-Jae-Gang-Hue was a seminar which opened annually to study confucian core texts in order.

      • KCI등재

        17세기 공도회(公都會)의 운영(運營)과 성격(性格)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17세기에 정비된 과시제도(課試制度)에 주목하여, 과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공도회(公都會)의 운영 방식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여기에는 과시정책 관련 자료가 수록된 「과시등록(課試謄錄)」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도회는 1639년 ``정사습``의 교육정책 일환으로 이전의 도회가 복설된 것으로서, 1654년 「사학응행절목」이 제정된 이후에는 사학의 공도회는 폐지되고, 지방의 유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으로 변경되었다. 둘째 복설 당시 공도회는 비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권장책이었으나, 1656년 공도회 폐지를 둘러싼 논란 이후에는 사실상 소과 초시로서 정착하였다. 셋째 17세기의 교육정책은 학습풍토를 정상화하려는 데에서 후퇴하여 제술과정을 중시하는 유생, 부형, 감사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procedure and the characters of the district examination in the 17th century of Choseon dynasty. It is especially based on the [Official Records of School Examination Policy(Gua-Si-Deung-Lok)].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ct Examination(Gong-Do-Hwe) was revived in 1639. The aims of the revival was to reorient the mood of the success oriented studying and to give some motivation of learning.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Rule of Four Grammar Schools] in 1654, Four Grammar Schools Examination(Sa-Hak-Hab-Je) was introduced in Four Grammar Schools and the District Examination was confined to the local students. Second at first the character of the examination was an unstable test. But after the disputation about the problem of the examination, the status of the examination became more strengthened as a part of the examination for the recruit of the bureaucrat. Third the change of the examination shows that the education policy in the 17th century turned to accept the demands of students, parents and the district governors. And it means that the policy for the reorientation of the studying was weaken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磻溪隨錄』「敎選攷說」에 나타난 柳馨遠의 敎育史觀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2

        본고는 ?敎選攷說?을 중심으로 유형원의 敎育史觀을 살펴보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교육사관이란 儒敎文化圈에서 교육과 선발제도의 역사에 대해서 그가 가지고 있었던 견해를 의미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敎選攷說?상권과 하권은 교육사관의 원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되는 체제로 재해석될 수 있다. 상권의 <三代敎人取士之法>과 <後賢所論術>은 덕행과 재예의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제도와 지방에서부터 심층적인 관찰과 추천이 이루어지는 선발제도의 이상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교육사관의 원론에 해당된다. 하권의 <漢代以下至今取士之法>과 <本國選擧制附>는 선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역사적 변화양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론을 구성하고, 마지막의 <選擧論議附>는 제도변화의 요인과 의미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그의 교육사관에서 역대 制度의 變化樣相은 삼대, 한대, 위진시대, 수당 이후로 구분된다. 우선 삼대는 교육제도와 선거제도가 완비된 이상적 시대로 제시된다. 漢代는 교육제도는 미비하지만 察擧制라는 선거방식을 통해 고대의 향거리선의 정신을 계승했다고 보고 있으며, 魏晉時代는 한대 찰거제의 한 변형인 九品中正制를 시행한 시기로서 후한말의 병폐가 심화된 시기로 이해된다. 隨唐以後는 선거제도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변화한 科擧制를 시행함으로써, 가장 문제가 많은 시기로 규정된다. 셋째 그의 制度變化要因에 대한 인식은 특정 개인의 욕심과 무지 그리고 인습적 태도를 강조하고, 역사변화에 대한 맥락적 설명을 간과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그는 역사의 진행과정을 고대의 이상적 상태가 점차 타락하는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제도변화의 의미를 하나의 방향으로 규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넷째 ?교선고설?은 近代以後의 敎育史學에 비하여 실증성, 맥락적 분석 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前近代시기에 이루어진 중요한 교육사 연구물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Yu Hyoung Won was a preeminet thinker in the 17th century in Korea. Usually, modern Korean historians regard him as the father of the new school "Sil Hak(實學)", so his masterpiece 『Ban Gye Su Rok(磻溪隨錄)』has been spotlighted since 1950"s. Especially ?Gyo Seon Ji Je(敎選之制)?in 『Ban Gye Su Rok(磻溪隨錄) 』which suggested his educational reform project was accepted as the key part by Korea educational historians. Bu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 which is coupled with ?Gyo Seon Ji Je(敎選之制)?has not been considered as a important thesis. It shows me that the researches on the『Ban Gye Su Rok(磻溪隨錄) 』are not sufficien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is not only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his educational reform project, but also the gate into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Confucian education. So this study aims at extracting his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history by analysing the content of ?Gyo Seon Go Seol(敎選攷說)?.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contains the ideal paradigm of the confucian education, the historiography of the selection system form BC 3th century to AD 17th century and the explanation of the causes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change. It means tha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was a sort of the educational history and Yu Houng Won was a historian of education in the 17th century. Second, ?Gyo Seon Go Seol(敎選攷說)?can be regarded as a sort of educational history, but has some shortcomings as a modern history of education. Yu Hyoung Won did not try historical analysis and did not focus on the historical context. But these shortcomings are not his own. The other historians in those days had common point of view. So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of education can be evaluated as a pre modern history of education. Nevertheless, his case sheds light on the way of the research in the pre modern history of the confucian education.

      • KCI등재

        숙종 대의 과시정책과 운영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숙종 대의 과시정책과 운영상황을 검토하였다. 숙종 대는 18세기에 과시제도가 학제 운영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전환점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종 대의 과시정책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하나는 과시의 제도적 위상을 강화하는 정책이다. 대표적으로 『태학성전』(1689)과 『수교집록』(1699)을 편찬한 조치를 들 수 있다. 1690년대에 이들 성균관 규정집과 법전을 편찬함으로써, 당시까지 수교에만 근거하여 운영되던 과시의 법적 근거가 강화될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과시의 교육적 기능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정책이다. 한 동안 폐지되었던 통독을 부활시켜 성균관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 부정행위자 처벌, 상피제 도입, 시관처벌 규정을 검토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둘째, 숙종 대 과시의 운영상황은 기본적으로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비록 갑술환국과 같은 정변이나 『예기유편』 및 『가례원류』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제도의 원만한 운영에 장애요인이 되기는 하였지만, 그 영향은 일시적이었다. 셋째, 숙종 대의 과시는 교육적 기능과 선발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교육적 기능이 강한 과시는 정기적으로 유생을 평가하는 통독·승보·합제를 들 수 있고, 이들 시험은 모두 대사성의 책임 하에 시행되었다. 이에 비하여 선발기능이 강한 과시는 전강·절일제·황감제와 같은 일회성의 시험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별 차이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승보·합제는 엘리트 선발의 기능도 수행하였고, 전강·절일제는 유생의 학업에 영향을 주는 교육적 기능도 수행하였다. 과시는 숙종 대의 이러한 정책적 변화를 겪으면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여 영·정조대에는 학제(學制)로 인식할 정도로 당시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policy and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s (Gwasi, 課試) in the Sukjong regime. This period was the turning point that the examination system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ducation system in the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two directions. One was the enforcement of the legal status of the examinations. In 1690`s Confucian University Code (Taehakseongjeon, 太學成典) and King`s Command Compilation (Sugyojiprok, 受敎集錄) were published. These rule books became the legal grounds of the examinations. The other was the enforcement of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fairness of the examinations.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xaminations was stable. Though the period of Sukjong regime was a turbulent era, the effect of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controversy were temporary. Third, the examinations can be divided in two groups. One group contained Tongdok(通讀), Seongbo (陞補), and Habje (合製). The function of the examinations was educational. The other group covered Jeongang (殿講), Jeolilje (節日製), and Hwanggamje (黃柑製). The function of the tests was selectional. But the division is not absolute. Because the educational examinations had the selectional function and the selectional tests had the educational function.

      • KCI등재

        18세기 과시운영체제 연구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조선후기 교육제도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과시체제의 형성 배경, 개별 과시의 유형, 그리고 과시체제의 기능을 고찰하는 내용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과시체제는 유생층의 증가에 따른 교육현안과 그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산물이었다. 당시 조정에서는 모든 유생층을 학교에 수용하는 대신, 재정적 부담은 적으면서도 소속 유생들의 학업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시제도를 활용하였다. 둘째 과시체제를 구성하는 과시들은 교육형 과시, 관리형 과시, 그리고 선발형 과시로 구분된다. 교육형 과시에는 통독과 승보가 포함되는데, 이들 과시는 1년간 일정한 과정에 따라 반복적으로 평가를 시행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영향력이 크다는 특성을 갖는다. 관리형 과시에는 합제와 공도회가 포함되는데, 이들 과시는 각각 중앙과 지방별로 소속 유생 전체를 대상으로 학업을 장려하는 성격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선발형 과시로는 성균관 과시인 전강과 절제를 들 수 있는데, 이 과시들은 1회성 시험으로서, 우등자에 대한 특혜가 강화되어, 사실상의 급제를 수여하기도 하였다. 셋째 과시체제는 학교제도나 과거제도의 한 부분으로 간주할 수 없는 독자적인 제도였다. 조선전기에는 학교제도의 한 부분으로서 장학책에 불과하였지만, 17세기에 과시의 재구조화가 진행되고, 숙종 대에 과시제도가 전면에 부상하면서, 학교제도의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여전히 유생의 학업을 장려하는 성격이 강하였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과거제도에 편입되지도 않았다. 넷째 과시체제는 조선후기 인재양성과 인재선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교육형 과시는 그 자체가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관리형 과시나 선발형 과시 또한 소속 유생층의 학업에 영향을 미쳤다. 이 점에서 과시체제는 조선후기 인재양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재선발의 측면에서도, 과시는 승보•합제→생원•진사→성균관상재생→전강•절제→급제로 이어지는 일련의 인재 선발 과정에서, 사전선발장치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system and function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s(Guasi, 課試) of Jeos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 were the rapid growth of the student po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policy of the authorities. The authorities could not reply the need of the expansion of the students accommodation, and so make use of the examinations as the policy alternative. Second, the examin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ne is education type, another is management type, and the other is selection type. Third,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 can be said to educate and management the students and select the elites. The strengthening of the system shows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朝鮮後期『靑衿錄』再考

        최광만(Choi, Kwang-Man) 교육사학회 2009 교육사학연구 Vol.19 No.1

        본고에서는 靑衿錄이 조선 후기의 교육 실태에 접근할 수 있는 주요 통로가 된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기존의 해석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제까지 청금록에 대한 해석은 지방 사족 자제들이 仁祖 시기에 추진된 교생고강법을 회피하기 위해 四學의 靑衿錄을 모방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肅宗 이전까지는 확산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과거응시자격을 강화하는 조치에 의해 제도적으로 정착하였다고 파악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청금록이라는 명칭이 주로 肅宗 以後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점과 청금록이 과거제도와 관련이 있는 이상 자의적으로 작성된 사적 문서가 아니라 制度的으로 公認된 名簿여야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해석에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청금록은 柳?垣의 지적처럼 士族子弟의 名簿일 수 있고, 기존의 연구처럼 이전의 東齋生ㆍ額內生ㆍ上額生의 명단과 중첩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결과일 뿐이고, 청금록이 정책적으로 공인된 이유가 설명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靑衿錄이 작성된 이유를 관련 政策의 變化 속에서 해명하고, 그 制度的 位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방 향교에서 청금록이 공인된 데에는 17세기부터 강화되는 敎育正常化 政策이 영향을 미쳤고, 특히 課試制度의 강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고 파악하였다. 즉, 1654년 (孝宗5년) 경을 전후로 추진된 교육정상화 정책과 課試政策을 통해 지방 향교의 靑衿錄 작성이 요청되기 시작하여, 肅宗 이후부터 확산되었다고 추정하였다. 과시제도의 운영을 염두에 둘 때, 각 鄕校는 응시자격을 갖춘 예비응시생 명단인 청금록을 작성하여 이 중에서 몇 명을 추천하고, 각 도에서는 이 추천자를 대상으로 抄擇하는 절차를 거쳤을 것이다. 그리고 각 도에서 추천된 자들은 다시 중앙에 모여 生進試의 會試에 응시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발ㆍ추천 과정에서 규정을 어기거나 실력이 못 미치는 자들이 응시하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자격심사를 강화하는 규정을 마련되었다. 1739년(英祖 15년) 경에 송인명이 제안한 내용은 이러한 간헐적 조치의 한 사례로 보인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할 때, 조선 후기 향교의 청금록은 단지 사족 자제의 명부로만 이해하기 어렵고, 당시 시행된 교육정책 및 과거정책의 산물로서 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 of Chong-Keum-Rok(靑衿錄)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Previously, researchers regarded it as a roster of country gentlemen(Sa-Jok, 士族). But some historical records, especially the Official Records of Educaion-based Examination Policy(Gua-Si-Deung-Lok, 課試謄錄), shows a different aspect of the Rost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oster was made not in the In-Jo regime(1623-1649) but in the Hyo-Jong regime(1649-1659). And in the 18c, it became widespread in ditrict public schools. Second, the Roster was not of the country gentlemen, but of the applicants for the education-based examination(Gua-Si, 課試). Though it is possible that the country gentlmen used it for his success, at first the Roster made as a record of the applicants in the policy of the education-based examination. Third, the Roster is a key point to find the tendency of the educational policy in the la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so it is important that researchers change their standpoint from political to educational one. These results demand to change the negative standpoint of the present, which regards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s demolished. And they suggest that it needs to recast the educational facts of the period and to take more careful approach to the concrete situation in time and district.

      • KCI등재

        17세기 과시제도의 형성과정

        최광만 ( Kwang Man Choi )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2

        이 글은 조선후기 교육제도에서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는 과시제도의 형성과정을 추적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과시제도의 재구조화 과정이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는?과시등록?을 기본 자료로 하되, 조선후기적인 과시제도가 규정되어 있는 ?속대전?을 개념틀로 삼아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의 과시제도는 1639년(인조17) 소학고강의 신설로 인한 공도회의 실시, 1655년-1659년(효종6-10) 사학합제의 시행과 공도회의 분리 그리고 1663년(현종4) 성균관 과시를 비롯한 제반 과시규정의 정비의 단계를 거쳐 확정되었다. 이후 몇 차례 부분적인 조항이 변경되기는 하였지만, ?속대전?의 규정으로 정착되기까지 큰 변화는 없었다. 둘째, 조선후기 과시제도는 변화된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정책, 즉 소학교육 강화정책, 재가유생 중심의 학교운영 정책에 영향을 받으면서 강화되었다. 그리고 17세기 중반 이후 과시제도가 확립되면서 18세기에는 조선후기의 중요한 교육제도로서 교육현실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셋째, 과시제도의 확립은 조선후기의 교육을 조선전기처럼 학교제도와 과거제도만으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변화된 조선후기의 교육환경에서 과시제도가 미친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Guasi Jedo, 課試制度) of Joseon Dynasty in 17th century. The primary sources are Guasi Deungrok(課試謄錄) and Sok Daejeon(續大典).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important phenomena of the process a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Hak(小學) test in 1639, the establishment of the Sahak Hapje(四學合製) in 1655-1659 and the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in 1663. Secondly, the examination system wa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policy in 17th century. And the examination system became an important composing el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Lastly, the National Encourgement Examination System is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Joseon Dynasty educational system. It is not found even in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So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Korea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 KCI등재

        『태학성전』의 학사운영규정 분석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4 교육사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태학성전』의 학사운영규정을 분석하여, 17세기 말 성균관 학사운영의 구조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태학성전』의 내용은 각각 별도로 마련된 규정들을 수합?정리한 것으로서, 학사운영을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항목을 재구조화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고, 사전작업으로 성균관 교관과 유생의 규모를 확인하였다. 17세기 말의 성균관은 지관사 이하 겸학유까지 19개 직제의 교관이 거재생진 40명, 하재생 20명, 사학거재생 20명을 기본으로 해서 거재하지 않는 다수의 방외유생 및 청금유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성균관 학사운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균관의 학사운영은 일상적 강학과 과시 두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일상적 강학은 거재생에게 한정된 학사운영으로서, 일차적으로 거재생진과 하재생 및 사학거재생 별로 별도의 규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위계성은 엄격하지 않았는데, 제술의 경우 거재생진 이외에 하재생?사학거재생 중 자원자에게도 적용하는 탄력성이 있었다. 다음으로 과시는 거재생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방외유생 및 청금유생에게도 개방되었다. 이점에서 과시는 거재생은 물론 거재하지 않는 유생의 학업까지 장려하는 기능을 수행하였고 할 수 있다. 둘째, 정기적인 평가 위주의 학사운영이었다. 평가의 중요성은 과시만이 아니라, 일상적 강학에서도 나타난다. 일상적 강학규정조차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제술 및 고강시험에 관한 것이고, 평상시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이처럼 평가가 학사운영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성균관에서는 각종 시험과 과시의 일정을 정례화하고 효율적으로 정비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셋째, 학사운영의 주 대상은 거재생이지만 여타 관할 유생의 참여도 고려하였다. 상재의 경우는 윤회거재를 통해 동등한 기회가 부여될 수 있도록 하였고, 하재?사학의 경우는 과시(특히 합제)를 통해 청금유생이 동등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것은 조선후기 변화된 교육여건에서 성균관의 학사운영이 가능한 관할 유생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the regulations in the 『Confucian University Code, 太學成典』 and revealing the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operation of the Confucian University(成均館) i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operation was divided into two domains. The one was a usual test domain and the other was a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課試) domain. The former was applied to the resident students(居齋生) and the latter was applied to both the resident students and the outside students(方外儒生). Second, the various examinations played a central role of the educational operation. So the schedule of the examinations was carefully designed to promote the learning of the students. Third, the primary beneficiary of the educational operation was the resident students. But the Confucian National University endeavored to strengthen the opportunity of the outside students. The rotation system of the boarding(輪回居齋) and the roster of the students(靑衿錄) were used as the important means to the educational equity.

      • KCI등재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과시제도를 구성하는 개별 과시가 조선 전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설되고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세기의 과시는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춘추과시, 사학생과 각 도 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회가 있었다. 태종대에 권학사목 에 의하여 과시법이 모색되고, 세종대에 춘추과시와 도회 규정이 정비되면서 각각 과시로서 성립되었다. 세조대에는 경학교육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제술 중심의 과시는 약화되었지만, 예종대에 다시 재개되어 성종대에는 『경국대전』 <장권>의 규정으로 수록되었다. 둘째 16세기에는 다양한 과시가 마련되었다. 16세기의 과시들은 이전의 춘추과시·도회와 같이 『경국대전』의 과시를 계승한 유형, 윤강·윤차 및 승보와 같이 학교시가 과시로 변화된 유형 그리고 정시·전강과 같이 신설된 유형으로 구분된다. 승보는 일찍부터 과시로 운영된 듯하지만, 나머지 과시들은 주로 중종과 명종대에 과시로 법제화되었다. 이러한 과시의 신설 경향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셋째 조선전기에 다양한 과시가 신설된 요인은 표층적·심층적 두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표층적인 요인으로는 제술·고강 병행정책을 들 수 있다. 제술과 고강을 병행하려는 정책 때문에 제술로 평가하는 과시와 고강으로 평가하는 과시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 것이다. 또한 심층적인 요인으로는 교육진흥에 관한 당시의 인식을 들 수 있다. 조선전기의 교육당국은 유생들이 자발적으로 학교에 오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이 있었고, 이 때문에 강한 인센티브를 주는 과시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이점에서 과시는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으면서 교육을 진흥시키려는 고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ollow the estabishment of Gua-Si in 15C-16C of Jo-Seon Dynasty. Gua-Si means the test which evaluates the students, selects some ones and gives the incentive to enter themselves for the second or the last stage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ecruiting bureaucra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15C, only two Gua-Sis were established. Those were Chun-Chu-Gua-Si and Do-Hue. The former was for the students of Seong-Gyun-Gwan(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was for the students of Sa-Hak(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Hyang-Gyo(Public Distruct Schools). Second, in 16C, many new Gua-Sis appeared. For example, Jeon-Si? Jeon-Gang(for Seong-Gyun-Gwan), Yun-Gang?Yung-Cha (for Seong-Gyun-Gwan and Sa-Hak) and Seung-Bo(for Sa-Hak) were instituted. And the former Gua-Sis, eg. Chun-Chu-Gua-Si and Do-Hue were strengthened. Third, the factor of the increasing Gua-Sis was the educational policy which balanced the educuatio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the cogni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which guarante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more deeply influenced the process. In short, Gua-Si was the product of the educational ado in the 15C-16C of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